"임신 전반기 혈압 패턴으로 자간전증 예측"

 임신 전반기에 혈압 패턴을 보면 임신 후반기에 임신 중독증인 자간전증이나 임신성 고혈압이 나타날 것인지를 예측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자간전증이란 임신 후반기에 갑자기 혈압이 오르고 소변에 지나치게 많은 단백질이 섞여 나오는 단백뇨가 나타나면서 손, 다리, 얼굴이 부어오르는 증상으로, 대표적인 임신 합병증의 하나다.

 세계적으로 임신 여성의 2~8%에서 나타나는 자간전증은 비만, 당뇨병, 자간전증 가족력 등이 위험 요인으로 알려져 있지만, 생물학적 근본 원인은 밝혀지지 않고 있다.

 미국 카이저 퍼머넌트 연구소의 에리카 건더슨 박사 연구팀이 임신 여성 약 7만5천명의 주기적 혈압 측정 자료와 전자 의료기록을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미국 과학진흥협회(AAAS)의 과학 뉴스 사이트 유레크 얼러트(EurekAlert)가 최근 보도했다.

 연구팀은 임신 20주 이전에 주기적으로 3~4번 측정한 수축기(최고) 혈압 패턴을 6가지 유형으로 나누었다.

 이를 바탕으로 연구팀은 임신 후반기에 자간전증이나 임신성 고혈압이 나타날 위험이 어느 정도인지를 예측할 수 있었다.

 이 6가지 유형의 혈압 궤적은 다음과 같다.

 ▲ 혈압이 상당히 낮아짐(100→94mmHg)

 ▲ 혈압이 약간 낮아짐(107→102mmHg)

 ▲ 혈압이 중간 정도 내지 빠르게 낮아짐(121→108mmHg)

 ▲ 혈압이 약간 올라감(110→112mmHg)

 ▲ 혈압이 중간 수준에서 안정됨(120→118mmHg)

 ▲ 혈압이 높은 수준에서 안정됨(129→126mmHg)

 이 중 ▲약한 혈압 상승 ▲중간 수준에서의 혈압 안정 ▲높은 수준에서의 혈압 안정 등 3가지 유형으로는 실제로 임신 후반기에 자간전증 또는 임신성 고혈압이 발생한 여성의 74%를 예측해 낼 수 있었다.

 이는 백인, 흑인, 히스패닉, 아시아계 여성 모두 마찬가지였다.

 연구팀은 임신 16~20주 이전에 나타난 혈압 패턴을 근거로 자간전증 위험 여성을 가려낼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할 계획이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 심장 협회 저널 최신호에 발표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공부 잘하는 약으로 알려진 '메틸페니데이트' 오남용, 생명 위협도"
모든 약물은 오남용을 유의해야 하지만 학구열 강한 우리나라에서 특히 주의를 요구하는 약이 있다.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ADHD) 치료제로 잘 알려진 '메틸페니데이트'가 그것이다. 메틸페니데이트는 중추신경계에 존재하는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과 교감신경계를 자극해 집중력을 조절하는 노르에피네프린을 증가시키는 약물로 의료용 마약류(향정신성 의약품)에 해당한다. 화학식은 C14H19NO2다. 6세 이상 소아 및 청소년의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등 증상을 나타내는 정신과 질환인 ADHD 치료 등에 활용된다. 복용 시 도파민 등 수치를 높여줘 집중력, 업무 수행 능력 등을 일시적으로 향상하기 때문에 '공부 잘하는 약'으로도 와전돼 있다. 하지만, 이 약을 오남용할 경우 두통, 불면증, 식욕 감소 등 부작용은 물론 심각한 경우 환각, 망상, 자살 시도까지 나타날 수 있다. 또, ADHD 환자가 아닌 사람이 사용할 경우 생산성 향상에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호주 멜버른 대학 신경과 전문의 엘리자베스 바우먼 교수 연구팀은 ADHD 환자가 아닌 사람이 메틸페니데이트 등을 사용하면 문제를 해결하려는 의욕은 높아질 수 있어도 막상 작업 생산성은 감소한다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