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폐증 조기 평가' 진료의, 자폐아 2세 이전 진단에 큰 도움"

  미국 인디애나 주가 1차 진료의들에게 제공하고 있는 자폐증 조기 평가(EAE: Early Autism Evaluation) 허브 시스템이 자폐아를 2세 이전에 진단하는 데 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미국 인디애나 대학 의대의 레베카 킨 임상 정신의학 교수 연구팀은 EAE 훈련을 받은 1차 진료의의 자폐증 조기 진단 정확도가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 전문의 못지않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의학 뉴스 포털 메드페이지 투데이(MedPage Today)가 최근 보도했다.

 EAE 훈련을 받은 1차 진료의들과 ASD 전문의들에게 생후 14∼48개월 된 유아 126명 중 자폐아를 가려내게 한 결과, 두 그룹의 자폐아 진단 정확도가 82%로 비슷하게 나타났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EAE 훈련을 받은 1차 진료의 그룹은 자폐아의 진단 정확도를 평가하는 기준인 민감도(sensitivity) 가 81.5%, 특이도(specificity)가 82.4%로 나타났다.

 허위 양성률(false positive)은 5%, 허위 음성률(false negative)은 14%였다.

 이 결과는 ASD의 진단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획일적인 평가 모델이 필요하지는 않다는 증거일 수 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거주 지역의 1차 진료에서 자폐증 평가가 필요한 아이들에게 EAE 모델이 도움이 된다면 ASD의 전문적 진료 부담을 줄일 수 있을 것이며, 보다 높은 수준의 전문적 진단이 필요한 아이들에게 더 많은 기회가 돌아갈 것이라고 연구팀은 강조했다.

 현재 자폐증 평가가 필요한 아이들이 너무 많아 ASD 전문의들이 감당할 수 있는 수준을 초과하고 있는 형편이며, 이 때문에 ASD 진단이 지연되고 있는 만큼 혁신적인 해결책이 필요하다고 연구팀은 지적했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 소아과 학회(AAP) 학술지 '소아과학' 최신호에 발표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통풍 유발하는 '고요산혈증' 유전요인 351개 발견"
질병관리청은 고요산혈증 발병 위험을 높이는 351개의 유전 요인을 찾아내 고위험군 선별이 가능해졌다고 밝혔다. 고요산혈증이란 단백질의 일종인 '퓨린'을 과다하게 섭취할 경우 체내에 요산이 쌓여 발생하는 질환으로, 극심한 통증을 동반하는 통풍과 고혈압, 심혈관질환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질병청 국립보건연구원과 성균관대 삼성융합의과학원 원홍희 교수 연구팀은 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사업과 영국·일본 바이오뱅크 등에 등록된 유럽인·한국인·일본인 102만9천323명의 유전체 정보를 분석했다. 그 결과 고요산혈증에 영향을 미치는 351개의 유전 요인을 찾아냈으며, 이 중 단백질 상호작용과 관련된 'KLHDC7A' 등 17개의 유전자는 기존 연구에서 보고되지 않은 요인이었다고 질병청은 설명했다. 한국인을 대상으로 이러한 유전적 요인의 위험도를 분석했을 때, 위험 요인을 보유한 상위 10% '고요산혈증 고위험군'은 하위 10%의 저위험군과 비교해 통풍 발병 위험도는 7배, 고혈압 발병 위험도는 1.5배 높았다. 질병청은 "유전적 요인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은 생활 습관을 개선하더라도 일반인에 비해서 높은 요산 수치를 보이기 때문에 고요산혈증 발병에 주의해야 한다"며 "유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