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약 경구용 세마글루티드 50mg, 당화혈색소 2% 포인트↓"

 당뇨약 경구용 세마글루티드(제품명: 오젬픽)는 용량 25mg이나 50mg이 장기간의 혈당을 나타내는 당화혈색소(A1c) 강하 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밝혀졌다.

 14개국 177개 의료기관에서 진행된 무작위 대조군 설정 3상b 임상시험에서 이 같은 결과가 나왔다고 헬스데이 뉴스가 최근 보도했다.

 당화혈색소는 산소를 운반하는 적혈구의 혈색소(헤모글로빈) 분자가 혈액 속의 포도당과 결합한 것이다.

 적혈구는 일정 기간(약 120일)이 지나면 새로운 적혈구로 대체되기 때문에 당화혈색소는 대체로 2~3개월 동안의 장기적인 혈당을 나타낸다. 수치가 6.5%를 넘으면 당뇨병으로 진단된다.

 미국 하버드 대학 브리검 여성병원 내분비내과 전문의 바니타 아로다 교수 연구팀이 지휘한 이 임상시험은 2형 당뇨병 환자 총 2천294명을 대상으로 68주에 걸쳐 진행됐다.

 BMI는 체중(㎏)을 신장(m)의 제곱으로 나눈 수치로 서방에서는 18.4 이하면 저체중, 18.5∼24.9면 정상, 25∼29.9는 과체중, 30∼34.9는 비만, 35∼39.9는 고도비만, 40 이상은 초고도 비만으로 분류된다.

 임상시험 참가자는 평균연령 58.2세, 남성 58.3%, 여성 41.7%였다.

 이들은 무작위로 진짜 약이 투여되는 실험군(1천606명)과 가짜 약이 투여되는 대조군(688명)으로 나뉘었다.

 실험군에는 경구용 세마글루티드 14mg(536명), 25mg(535명), 50mg(535명)이 하루 한 번 투여됐다.

 임상시험은 누구에게 진짜 약 또는 가짜 약이 투여되는지를 참가자와 연구자가 모두 모르게 하는 2중맹(double blind) 방식으로 진행됐다.

 52주 후 세마글루티드 14mg 그룹은 당화혈색소가 1.5%포인트, 세마글루티드 25mg 그룹은 1.8% 포인트, 50mg 그룹은 2% 포인트 각각 떨어졌다.

 특히 임상시험 전에 1~3가지 당뇨약으로 혈당이 제대로 관리되지 않았던 환자들의 경우 세마글루티드 25mg 또는 50mg은 14mg 그룹보다 혈당이 뛰어나게 관리되고 BMI도 더 많이 낮아졌다.

 부작용은 위장장애로 대부분 가볍거나 보통 정도였다. 세마글루티드 15mg 그룹은 76%, 25mg 그룹은 79%, 50mg 그룹은 80%가 위장장애가 나타났다.

 세마글루티드는 장기 지속형(long-acting)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1(GLP-1) 수용체 길항제로 인슐린 분비를 자극해 혈당을 떨어뜨린다. 2017년 12월 미국 식품의약청(FDA)의 승인을 받았다.

 이 임상시험 결과는 영국의 의학 전문지 '랜싯' 최신호에 발표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공부 잘하는 약으로 알려진 '메틸페니데이트' 오남용, 생명 위협도"
모든 약물은 오남용을 유의해야 하지만 학구열 강한 우리나라에서 특히 주의를 요구하는 약이 있다.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ADHD) 치료제로 잘 알려진 '메틸페니데이트'가 그것이다. 메틸페니데이트는 중추신경계에 존재하는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과 교감신경계를 자극해 집중력을 조절하는 노르에피네프린을 증가시키는 약물로 의료용 마약류(향정신성 의약품)에 해당한다. 화학식은 C14H19NO2다. 6세 이상 소아 및 청소년의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등 증상을 나타내는 정신과 질환인 ADHD 치료 등에 활용된다. 복용 시 도파민 등 수치를 높여줘 집중력, 업무 수행 능력 등을 일시적으로 향상하기 때문에 '공부 잘하는 약'으로도 와전돼 있다. 하지만, 이 약을 오남용할 경우 두통, 불면증, 식욕 감소 등 부작용은 물론 심각한 경우 환각, 망상, 자살 시도까지 나타날 수 있다. 또, ADHD 환자가 아닌 사람이 사용할 경우 생산성 향상에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호주 멜버른 대학 신경과 전문의 엘리자베스 바우먼 교수 연구팀은 ADHD 환자가 아닌 사람이 메틸페니데이트 등을 사용하면 문제를 해결하려는 의욕은 높아질 수 있어도 막상 작업 생산성은 감소한다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