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중보정 허리둘레 지수', BMI 보완한 건강척도로 활용 가능"

고려대 안안병원 연구팀, 체성분 지표 'WWI' 활용가능성 확인

 국내 연구진이 체질량지수(BMI)나 허리둘레(WC)를 대체할 지표로 '체중 보정 허리둘레 지수'(WWI)를 개발해 건강척도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했다고 고려대 안암병원이 .23일 밝혔다.

 병원에 따르면 내분비내과 김남훈, 김경진 교수팀은 2008∼2011년 국민건강영양조사 데이터를 활용해 WWI의 활용 가능성을 분석한 후 그 결과를 노인의학 분야 국제학술지 '악액질·근감소·근육 저널'(Journal of Cachexia, Sarcopenia and Muscle) 최신호에 게재했다.

 WWI는 앞서 고려대 통계학과 박유성 교수팀과 안암병원 김신곤, 김남훈 교수팀이 개발한 체성분 지표로, 허리둘레를 체중의 제곱근으로 나눈 것이다.

 가령 허리둘레가 80㎝, 몸무게가 64㎏인 사람이 있다면 WWI는 80을 64의 제곱근 8로 나눈 10이 된다. BMI와 마찬가지로 고가의 장비 없이도 간단하게 산출할 수 있다.

 연구팀은 또 남성은 10.4, 여성은 10.5가 건강한 체성분지수를 예측하는 최적의 WWI라고 확인했다.

 김경진 교수는 "BMI의 가장 큰 약점은 지방, 근육, 골밀도 등 각각의 체성분을 명확하게 반영하는 데 한계가 있는 것인데 이번 연구를 통해 WWI가 이를 보완할 차세대 건강 척도로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김남훈 교수는 "WWI는 기존 연구에서 인종에 관계없이 동일하게 적용가능함을 확인한 지표"라며 "BMI를 넘어 보다 보편적인 건강 지표로 활용할 수 있겠다"고 말했다.

고려대 안암병원 김남훈(왼쪽), 김경진 교수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공부 잘하는 약으로 알려진 '메틸페니데이트' 오남용, 생명 위협도"
모든 약물은 오남용을 유의해야 하지만 학구열 강한 우리나라에서 특히 주의를 요구하는 약이 있다.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ADHD) 치료제로 잘 알려진 '메틸페니데이트'가 그것이다. 메틸페니데이트는 중추신경계에 존재하는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과 교감신경계를 자극해 집중력을 조절하는 노르에피네프린을 증가시키는 약물로 의료용 마약류(향정신성 의약품)에 해당한다. 화학식은 C14H19NO2다. 6세 이상 소아 및 청소년의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등 증상을 나타내는 정신과 질환인 ADHD 치료 등에 활용된다. 복용 시 도파민 등 수치를 높여줘 집중력, 업무 수행 능력 등을 일시적으로 향상하기 때문에 '공부 잘하는 약'으로도 와전돼 있다. 하지만, 이 약을 오남용할 경우 두통, 불면증, 식욕 감소 등 부작용은 물론 심각한 경우 환각, 망상, 자살 시도까지 나타날 수 있다. 또, ADHD 환자가 아닌 사람이 사용할 경우 생산성 향상에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호주 멜버른 대학 신경과 전문의 엘리자베스 바우먼 교수 연구팀은 ADHD 환자가 아닌 사람이 메틸페니데이트 등을 사용하면 문제를 해결하려는 의욕은 높아질 수 있어도 막상 작업 생산성은 감소한다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