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18일 조간)

▲ 경향신문 = 뒷걸음친 공공사회지출, 정부 역할 높여야

'말·공세' 험해지는 여야 대치, 정치 파국 우려스럽다

"인권은 좌우로 나뉠 수 없다"는 송두환 인권위원장 일침

▲ 국민일보 = 명분 없이 시민들의 발만 묶은 파업…철도개혁 서둘러야

▲ 서울신문 = 실손보험 간소화법 '선개정 후보완'이 순리다

정책 실패 가리려 통계 조작, 文정부 농단 엄벌해야

농성장 앞 칼부림까지 벌어지는 李대표 단식

▲ 세계일보 = 김명수, 퇴임 직전 최강욱 재판…정치적 고려 있어선 안 돼

보궐선거 원인 제공자 김태우 공천하는 여당의 비상식

이번엔 '李 방탄용' 총리 해임안, 私黨 재확인한 민주당

▲ 아시아투데이 = '통계조작·왜곡'은 망국병, 초기에 발본색원해야

1200조원 우크라이나 재건사업은 한국에 기회

▲ 조선일보 = 느닷없는 내각 총사퇴 요구, 단식 출구 찾기용 상식 밖 행태

간첩단 사건마다 재판 지연 전술, 사법 허점 보완 서둘러야

오죽 외압에 시달렸으면 노조가 '통계 조작' 제보했겠나

▲ 중앙일보 = "지난 정부 통계조작"…철저한 수사로 정치 시비 차단해야

이재명 단식 중단하고 여권도 진정성 있게 대화 나서라

▲ 한겨레 = '철도 경쟁'이 부른 갈등, 더 커지기 전 노정 대화 필요

결국 김태우 공천, 법치도 국민도 아랑곳않는 여권

이재명 대표, 이제 단식 중단하라

▲ 한국일보 = 자연계열 평균 못 미친 첨단학과 경쟁률, 미래 있겠나

김태우 구청장 후보 선출…집권당 책임 있는 자세 아니다

유엔 제재 지키면서 북한 돕겠다는 푸틴의 궤변

▲ 대한경제 = 젤렌스키가 요청한 우크라이나 재건 협력, 양국 '상생의 길' 본격화

대한경제가 제안하는 건설산업 혁신 방안

▲ 디지털타임스 = 민주, 총리해임결의 추진…결과 뻔한 정치공세 집착 이유 뭔가

나랏빚 10년새 두배…그런데도 재정 준칙 법제화 뭉개는 野

▲ 매일경제 = 중국인, 고용보험기금도 쌈짓돈 빼먹듯…제도 악용 막아야

추석 연휴 앞두고 2차 파업 예고한 철도노조의 민폐 행보

민주당의 난데없는 韓총리 해임안, 누가 납득하겠나

▲ 브릿지경제 = 대·중소기업 상생경영, '윈윈' 전략이어야 한다

▲ 서울경제 = 급여 지출이 수입보다 4배 빠르게 증가…연금 개혁 시급하다

"총리 해임" 으름장 巨野…'방탄'에 빠져 국정 공백은 안중에 없나

1인당 나랏빚 2200만원, 방만 재정 멈추라는 경고다

▲ 이데일리 = 文정부 조직적 통계 조작…범죄 아니면 뭔가

다수당의 습관성 정치적 겁박, 볼썽사납다

▲ 이투데이 = 통계 조작은 국정농단…성역 없이 진상 규명해야

▲ 전자신문 = 삼성디스플레이가 증명한 초격차의 힘

송출 수수료 협상 기준 급하다

▲ 파이낸셜뉴스 = 이 대표는 단식 중단하고 내각 총사퇴 거둬들여야

우크라이나 재건사업에 '한강의 기적' 전수하길

▲ 한국경제 = 이번엔 내각 총사퇴, 총리 해임안까지…이성 잃은 민주당

우크라 재건 사업 본격화…'6·25 참화' 극복 경험 전수 기회다

상습적 유류세 인하 연장…조삼모사식 정책 언제까지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복지장관, 자살대응 현장 실무자 간담회…"예방센터 보강"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은 "자살예방센터를 보강하겠다"고 밝혔다. 정 장관은 지난 8일 서울 중구 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 자살 예방 분야 현장 실무자 간담회를 열어 자살 예방 사업 현황과 애로 사항 등을 논의한 뒤 이같이 말했다. 정 장관은 "자살은 조용한 재난"이라며 "고립의 사회에서 연결의 사회로 나아갈 수 있도록 현장의 신속한 위기 대응과 정부의 정책 지원이 함께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자살예방센터는 자살 예방을 위한 교육·홍보, 고위험군 발굴, 자살 시도자 등의 위기 지원, 자살 사망 사후 대응 등의 사업을 수행하는 기관이다. 전국에 255개소가 있지만, 예산 부족 등으로 인해 55개소만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있고 나머지는 정신건강복지센터에 소속된 팀 등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고 한다. 복지부는 자살 사망자 유족에 대한 원스톱 심리·법률·일시 주거·행정 처리 지원 서비스 지역을 9개에서 12개 시도로 확대했으며 전국 확대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배활립 서울 중구 정신건강복지센터장은 "관련 인력이 자살예방센터 1개소당 3.6명으로 열악해 고위험군을 밀착 관리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박준희 서울 노원경찰서 형사와 홍승택 서울시 소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