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19일 조간)

▲ 경향신문 = 세수 59조 펑크에 '민생 영향 제한적'이란 정부의 후안무치

제1야당 대표 단식에 '자해·잡범' 거론한 한동훈의 거친 입

정치의 파국, 윤 대통령이 출구 열어야

▲ 국민일보 = 3년 8개월 만에 의원직 상실로 끝난 최강욱 의원 재판

병원행 이재명 대표, 약속한 대로 영장 심사 받아들이길

▲ 서울신문 = '지연된 정의' 논란 남긴 최강욱 의원 유죄 판결

'방탄 단식'이 빚은 정치 막장극 이제 끝내라

'의대 블랙홀'에 갇힌 인재 육성, 이대론 미래 없다

▲ 세계일보 = 200억원 배임·800만달러 뇌물' 영장 李, 불체포특권 포기하라

최강욱 의원직 상실, 입시 비리·사법정치 근절 계기 삼아야

경찰 현장 인력 증원, 치안 대응 사고 면책 입법도 필요하다

▲ 아시아투데이 = 병원이송 다행이지만 '법 앞의 평등' 훼손 않길

유엔 총회, 안보·경제 두 마리 토끼 다 잡을 기회

▲ 조선일보 = 한쪽만 지키는 남북 군사 합의, 기념 아니라 폐기 검토해야

임기 83% 지나서 최강욱 의원직 상실형, 이게 정의인가

이 대표 한 사람 때문에 국정 왜곡·마비, 더 이상은 안 된다

▲ 중앙일보 = 여야의 극한 대치로 민생 실종된 '블랙홀' 정기국회

3년 8개월 동안의 '지연된 정의' 최강욱 유죄 판결

▲ 한겨레 = 법 위반 지적하는데 "투자 비난 부당" 동문서답 이균용

59조 세수 펑크, 대국민 사과하고 '세입 경정 추경'해야

'정치'가 사라진 여야 대립, 집권세력 책임 더 무겁다

▲ 한국일보 = 14년 미뤄진 실손청구 간소화, 국민 불편 언제까지

역대급 59조 세수 '펑크', 기재부에 나라 살림 맡겨도 되나

이재명 병원이송, 검찰은 영장…민주당 정도를 택해야

▲ 대한경제 = 타협없는 체포동의안·해임건의안 정국에 민생은 실종

세수추계 잘못은 인정하면서도 외국 핑계만 대는 정부

▲ 디지털타임스 = 고준위폐기물 임시방편 필요하나 영구시설 계획 차질 없어야

李, 특권 포기 약속한 만큼 체포동의안 부결 꼼수 더는 말아야

▲ 매일경제 = 이재명 영장청구, 건강악화 핑계로 또 체포동의안 부결할건가

올해 세수 오차 59조, 원인분석부터 철저히 해라

"중·고교에 기업가정신 과목 신설" 재계·학계 제언 즉각 실천을

▲ 브릿지경제 = '김동철호' 한전의 길은 정치 배제와 구조개혁

▲ 서울경제 = '허위 인턴' 최강욱 유죄…이제는 '조국 사태' 진정 사죄하라

'불체포 특권' 포기 약속한 李, 의원들의 자유투표에 맡겨야

엉터리 세수 추계 반복…경제 컨트롤 타워 자격 있나

▲ 이데일리 = 민·학·연의 '산업대전환' 제언, 말로만 끝낼 일 아니다

단식으로 법치에 맞선 이 대표, 당당히 판사 앞에 서라

▲ 이투데이 = '지체된 정의' 법언 곱씹게 하는 최강욱 유죄성도

▲ 전자신문 = 사회적 약자 가전접근성 확 높이길

첨단산업 생태계, 확실한 규제혁신 필요

▲ 파이낸셜뉴스 = 美 자국이기주의 더 강해진다는 헤리티지 보고서

역대급 세수 결손 59조, 내년이 더 문제다

▲ 한국경제 = 국회의원 임기 끝날 무렵에야 유죄 확정된 최강욱

외평기금까지 끌어다 '세수 펑크' 메우는 나라 살림

美 빅3 파업에 웃는 테슬라…기업 경쟁력은 이렇게 엇갈린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복지장관, 자살대응 현장 실무자 간담회…"예방센터 보강"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은 "자살예방센터를 보강하겠다"고 밝혔다. 정 장관은 지난 8일 서울 중구 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 자살 예방 분야 현장 실무자 간담회를 열어 자살 예방 사업 현황과 애로 사항 등을 논의한 뒤 이같이 말했다. 정 장관은 "자살은 조용한 재난"이라며 "고립의 사회에서 연결의 사회로 나아갈 수 있도록 현장의 신속한 위기 대응과 정부의 정책 지원이 함께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자살예방센터는 자살 예방을 위한 교육·홍보, 고위험군 발굴, 자살 시도자 등의 위기 지원, 자살 사망 사후 대응 등의 사업을 수행하는 기관이다. 전국에 255개소가 있지만, 예산 부족 등으로 인해 55개소만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있고 나머지는 정신건강복지센터에 소속된 팀 등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고 한다. 복지부는 자살 사망자 유족에 대한 원스톱 심리·법률·일시 주거·행정 처리 지원 서비스 지역을 9개에서 12개 시도로 확대했으며 전국 확대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배활립 서울 중구 정신건강복지센터장은 "관련 인력이 자살예방센터 1개소당 3.6명으로 열악해 고위험군을 밀착 관리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박준희 서울 노원경찰서 형사와 홍승택 서울시 소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