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21일 조간)

▲ 경향신문 = 노숙농성 허용해 집회 자유 지평 넓힌 판결, 헌법대로다

12·12 쿠데타와 이완용 두둔한 신원식, 국방장관 자격 없다

'불체포특권 포기' 약속 어긴 이재명 대표, 유감이다

▲ 국민일보 = 윤미향 2심서 의원직 상실형…지금이라도 사퇴해야

이재명의 노골적 방탄 요청, 명분도 없고 신뢰도 잃었다

▲ 서울신문 = '조작' 거부한 통계청장, 그를 경질한 文정부

대법원장 임명동의안 정치 무기화 안 된다

李 체포안 표결, 민주당 이름 먹칠하지 말라

▲ 세계일보 = 윤미향 '의원직 상실' 항소심 판결, 늦어도 너무 늦었다

尹정부 경제·안보 때리며 자화자찬한 文, 낯 뜨겁지 않나

유엔서 북·러 거래 제재·글로벌 격차 해소 역설한 尹 대통령

▲ 아시아투데이 = 대폭 삭감된 내년 R&D 예산안, 전면 재검토하길

민주당, 오늘이라도 노란봉투법 처리 중단해야

▲ 조선일보 = 감시 사각지대서 국민 세금 도둑질이 일상 된 정부 출연기관들

의원직 상실형으로 죗값 100분의 1도 못 갚을 윤미향

'불체포 포기 또 거짓, 단식은 방탄용' 새삼 혀를 차게 하는 이 대표

▲ 중앙일보 = 법과 규정을 잘 몰랐다는 이균용 대법원장 후보자

"불체포특권 포기" 약속 뒤집은 이재명 민주당 대표

▲ 한겨레 = 공수처 수사받는 감사원, 되레 주심위원 고발 '물타기'

대법원장 아니라 '검찰 수사'를 받아야 할 이균용 후보자

강제동원 왜곡 심해진 '군함도' 전시, 동조만 하는 정부

▲ 한국일보 = 취지 반영 못하는 대형마트 의무휴업, 재검토 필요하다

백지신탁 무력화시킨 김행, 검증마저 거부할 건가

'불체포특권 포기' 약속 결국 걷어찬 이재명 대표

▲ 대한경제 = 불법하도급까지 사라져야 건설 현장 정상화가 완성된다

국회, '방탄 족쇄' 벗어던지고 정치복원 길 열어야

▲ 디지털타임스 = ADB, 韓 올해 1.3/% '최저 성장' 유지…과감한 대응책 내놔야

'무기징역급' 의혹 李 체포동의안 표결, 역사에 오점 안 돼야

▲ 매일경제 = 법안발의 해놓고 심사땐 침묵…날림법안 증거아닌가

이재명 체포안 가결이 민주당 사는 길이다

세계 경제 성장률 올리면서 한국은 동결한 OECD

▲ 브릿지경제 = 규제가 여전히 기업 성장의 발목을 잡고 있다

▲ 서울경제 = 尹 "北 도발 방지 유엔과 협력"…촘촘한 대북 국제 제재 나서야

李체포안 표결 앞두고 '개딸' 협박까지…양심 투표가 해법이다

쪼그라드는 韓 사회, 고급 인재들 살고 싶은 '매력 국가' 만들라

▲ 이데일리 = 치솟는 국제유가, 유류세 인하 재연장 불가피하다

대형마트 의무 휴업 폐지할 이유, 대구가 보여줬다

▲ 이투데이 = "제약적 통화정책 필요하다"는 OECD의 쓴소리

▲ 전자신문 = 규제 혁파, 강력한 실천 필수

'플랫폼 자율규제' 법안 환영한다

▲ 파이낸셜뉴스 = 李 대표는 불체포 특권 포기 대국민 약속 지켜야

불안한 車 수출과 물가, 경제 활력소가 절실하다

▲ 한국경제 = 의원직 상실형 받은 윤미향, 양심 있다면 지금이라도 그만둬야

대구에서 확인된 '대형마트 규제 역설'…그래도 쏟아지는 반시장法

25년 만의 한·일 성장률 역전…반도체 탓만 할 순 없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복지장관, 자살대응 현장 실무자 간담회…"예방센터 보강"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은 "자살예방센터를 보강하겠다"고 밝혔다. 정 장관은 지난 8일 서울 중구 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 자살 예방 분야 현장 실무자 간담회를 열어 자살 예방 사업 현황과 애로 사항 등을 논의한 뒤 이같이 말했다. 정 장관은 "자살은 조용한 재난"이라며 "고립의 사회에서 연결의 사회로 나아갈 수 있도록 현장의 신속한 위기 대응과 정부의 정책 지원이 함께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자살예방센터는 자살 예방을 위한 교육·홍보, 고위험군 발굴, 자살 시도자 등의 위기 지원, 자살 사망 사후 대응 등의 사업을 수행하는 기관이다. 전국에 255개소가 있지만, 예산 부족 등으로 인해 55개소만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있고 나머지는 정신건강복지센터에 소속된 팀 등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고 한다. 복지부는 자살 사망자 유족에 대한 원스톱 심리·법률·일시 주거·행정 처리 지원 서비스 지역을 9개에서 12개 시도로 확대했으며 전국 확대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배활립 서울 중구 정신건강복지센터장은 "관련 인력이 자살예방센터 1개소당 3.6명으로 열악해 고위험군을 밀착 관리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박준희 서울 노원경찰서 형사와 홍승택 서울시 소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