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16일 조간)

▲ 경향신문 = '새벽 로켓배송' 쿠팡 하청노동자 죽음, 이런 비보 언제까지

'김기현 2기'로 봉합한 여권 쇄신, 환골탈태할 수 있는가

만시지탄인 의대 '정원 1000명' 확대, 의협은 수용하라

▲ 국민일보 = 의대 정원 1000명 확대 전망…의협도 국민 여론 따라야

▲ 서울신문 = 국민의힘, 내년 4월 당 간판 내릴 생각 아니라면

중동 진출 새 지평 연 한·UAE 자유무역협정

의대 1000명 증원, '성공조건'부터 단단히 갖춰라

▲ 세계일보 = 의대 정원 파격 확대 꼭 관철해 국민 불편 해소하라

북·러 무기 거래 현장 포착, '다층 제재' 강도 높여야

與 "김기현 체제로 쇄신안 마련"…국민 눈높이에 맞나

▲ 아시아투데이 = 국가의 품격 드높인 인도주의 외교 다시 빛났다

국민의힘, 위기감 보여주는 쇄신안 나와야

▲ 조선일보 = 의대 정원 확대 불가피, 현실 안 맞는 의료 수가도 함께 개선해야

영장 판사에 욕설, 법무장관 집 앞엔 흉기, 도 넘은 사법 협박

탈북자 집단 북송에 한국 대사 "中 특성 이해해야" 안이한 정부 인식

▲ 중앙일보 = 대통령 눈치만 보는 여당으론 총선도 기대 어려워

의대 정원 확대, 불가피한 선택이다

▲ 한겨레 = 지금이 '확장재정'이라는 경제부총리의 궤변

임명직만 선거 패배 책임지는 정당, 이전에도 있었나

예고된 민간인 참사, 이스라엘 지상군 투입 중단해야

▲ 한국일보 = '中 탈북민 북송' 美 의회까지 비판하는데 침묵하는 정부

20개 넘는 연금개혁안…의지 있다면 정부가 단일안 내라

당 대표 놔둔 채 친윤 꼬리 자르기로 민심 수습되겠나

▲ 대한경제 = 한·UAE 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 '新중동붐' 확산 계기로

건설 규제법안 쏟아내면서 '경제 활성화' 외치나

▲ 디지털타임스 = '주담대'로 배만 불리는 인터넷은행…본래 허가취지 실종됐다

의대정원 확대, 필수의료 인력 대폭 확충 안 되면 하나마나다

▲ 매일경제 = 280조 썼다면서 저출산 현금지원은 선진국 3분의 1에 불과하다니

연금개혁 시나리오만 20개…이달 내 정부 단일안 내라

與 임명직 당직자 사퇴, 쇄신은 계속돼야 한다

▲ 브릿지경제 = 속도·방향 모두 불투명한 근로 시간 제도 개편

▲ 서울경제 = '與 심판' 62%…찔끔 쇄신안 아니라 대통령·대표부터 달라져야

더 복잡해진 연금 개혁안, 단일안 서둘러 21대 국회서 마무리하라

필수의료 붕괴 속 의대 정원 확대 불가피, 의협 반대 명분 없다

▲ 이데일리 = 의대 입학 정원 확대…국민 건강 위해 당연한 결정이다

150년 기술기업 도시바의 굴욕…남의 일로만 볼 수 있나

▲ 이투데이 = 18년째 묶인 의대 정원, 대폭 확대 불가피하다

▲ 전자신문 = 전통시장 DX 지속 지원을

기업 데이터 폭증 대비해야

▲ 파이낸셜뉴스 = 한-UAE 자유무역협정, 신중동 붐 확산 발판 삼길

자영업 연체 위기 넘기려면 대출 부담 퇴로 터줘야

▲ 한국경제 = 드러난 북·러 무기 거래, 대한민국 안보에 비수다

의대 정원 '1000명+' 파격 확대…필수·지역 의료 확충도 병행해야

UAE와 아랍권 첫 FTA 체결…新중동붐 확산 계기로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복지장관, 자살대응 현장 실무자 간담회…"예방센터 보강"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은 "자살예방센터를 보강하겠다"고 밝혔다. 정 장관은 지난 8일 서울 중구 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 자살 예방 분야 현장 실무자 간담회를 열어 자살 예방 사업 현황과 애로 사항 등을 논의한 뒤 이같이 말했다. 정 장관은 "자살은 조용한 재난"이라며 "고립의 사회에서 연결의 사회로 나아갈 수 있도록 현장의 신속한 위기 대응과 정부의 정책 지원이 함께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자살예방센터는 자살 예방을 위한 교육·홍보, 고위험군 발굴, 자살 시도자 등의 위기 지원, 자살 사망 사후 대응 등의 사업을 수행하는 기관이다. 전국에 255개소가 있지만, 예산 부족 등으로 인해 55개소만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있고 나머지는 정신건강복지센터에 소속된 팀 등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고 한다. 복지부는 자살 사망자 유족에 대한 원스톱 심리·법률·일시 주거·행정 처리 지원 서비스 지역을 9개에서 12개 시도로 확대했으며 전국 확대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배활립 서울 중구 정신건강복지센터장은 "관련 인력이 자살예방센터 1개소당 3.6명으로 열악해 고위험군을 밀착 관리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박준희 서울 노원경찰서 형사와 홍승택 서울시 소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