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25일 조간)

▲ 경향신문 = '홍범도가 대적관 흐린다'는 육참총장, 반헌법적 궤변이다

자사고·외고 날개 달아주며 사교육 잡겠다는 정부의 모순

의혹투성이 YTN 민영화, '강행·속도전' 이유가 뭔가

▲ 국민일보 = '한국형 제시카법' 추진, 실효성 있도록 정교하게 다듬어야

여야 피케팅·고성 중단 합의, 정치문화 확 바꾸는 계기 되길

▲ 서울신문 = 이화영 재판부 교체 요구, 사법방해 아닌가

국민 선택은 '선별복지', 여야 퍼주기 유혹 끊어라

양대노총 회계 공시, 노조 운영 정상화로 이어져야

▲ 세계일보 = 주가조작 혐의·문어발 확장 카카오, 초심으로 돌아가라

'한국형 제시카법' 입법예고…아동 성범죄 근절 계기 삼길

양대 노총 회계공시 참여, 불씨 살린 노동 개혁 더 속도 내야

▲ 아시아투데이 = 한은총재, "가계부채 증가 안 잡히면 금리 인상"

정부의 원칙 있는 대응이 62년 노조 성역 깼다

▲ 조선일보 = 지옥 같은 북송 또 1000여 명 대기 중, 유엔에 호소해야

여야 비난 팻말 고성 야유 않기로, 모처럼 신사협정 지켜지길

양대 노총 회계 공개, 정부가 원칙 지키니 바로잡히는 것

▲ 중앙일보 = 한국형 '제시카법', 위헌 논란·주민 갈등 해소가 관건

1%대로 추락한 잠재성장률, 한국경제 비전은 무엇인가

▲ 한겨레 = YTN 지분 매각, 방송 공공성 훼손 우려된다

잠재성장률 첫 1%대 추락, 연구개발 예산부터 복원해야

여야 '피켓·고성 자제' 신사협정, 협치 물꼬 틀 계기 되길

▲ 한국일보 = 문어발 확장하다 재벌 구태에 물든 카카오 '벤처 신화'

비방 금지 '신사 협정' 여야, 협치로 승화 시키길

43년 만의 한·사우디 공동선언, 성장·외교 지평 넓히길

▲ 대한경제 = '외국인 숙련기능인력제' 건설업계도 적극 활용해야

달성 요원한 2030 NDC 목표, '전략적 조정' 검토돼야

▲ 디지털타임스 = 사우디와 협력 심화…수소경제·중견국 외교무대 거점 돼야

2040년 유소년인구 반토막…혁명한다 각오로 출산대책 세우라

▲ 매일경제 = 與 "이장·통장 수당 40만원으로"…총선 앞 선심쓰기 아닌가

文정부 이번엔 국가채무 조작 의혹…철저한 진상규명을

재건축 주민부담 줄여달라는 서울시장의 읍소, 野 외면 말라

▲ 브릿지경제 = 국회서 막힌 '재초환법', 서둘러 처리해야 한다

▲ 서울경제 = 한은 총재 "부동산 대출 규제 구멍"…가계부채 억제 속도 내라

'이재명 방탄' 위해 전방위 검찰 압박 몰두하는 巨野

노조 회계 투명성, 법과 원칙에 따라 시행하고 뿌리내려야

▲ 이데일리 = '유럽의 병자' 딱지 뗀 그리스, 한국 정치권에 교과서다

힘 실리는 금리 인상론…경기보다 물가 안정 우선해야

▲ 이투데이 = 귀족노조 '돈 잔치' 앞에서 비정규직 눈물 흘린다

▲ 전자신문 = 클라우드 네이티브 전환 성공하려면

공공 망분리 규제 개선, 혜안 모아야

▲ 파이낸셜뉴스 = 친시장·긴축 정책으로 13년 만에 부활한 그리스

양대 노총 회계공시 수용, 원칙 지킨 개혁 첫 성과

▲ 한국경제 = 바지사장·핫바지·삑사리…민주당 품격은 겨우 이 수준인가

양대 노총 '회계 공시제도' 수용, 이제 노동 개혁 첫발 뗐을 뿐

블루오션으로 떠오른 사우디 시장…한국 신성장동력이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복지장관, 자살대응 현장 실무자 간담회…"예방센터 보강"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은 "자살예방센터를 보강하겠다"고 밝혔다. 정 장관은 지난 8일 서울 중구 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 자살 예방 분야 현장 실무자 간담회를 열어 자살 예방 사업 현황과 애로 사항 등을 논의한 뒤 이같이 말했다. 정 장관은 "자살은 조용한 재난"이라며 "고립의 사회에서 연결의 사회로 나아갈 수 있도록 현장의 신속한 위기 대응과 정부의 정책 지원이 함께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자살예방센터는 자살 예방을 위한 교육·홍보, 고위험군 발굴, 자살 시도자 등의 위기 지원, 자살 사망 사후 대응 등의 사업을 수행하는 기관이다. 전국에 255개소가 있지만, 예산 부족 등으로 인해 55개소만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있고 나머지는 정신건강복지센터에 소속된 팀 등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고 한다. 복지부는 자살 사망자 유족에 대한 원스톱 심리·법률·일시 주거·행정 처리 지원 서비스 지역을 9개에서 12개 시도로 확대했으며 전국 확대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배활립 서울 중구 정신건강복지센터장은 "관련 인력이 자살예방센터 1개소당 3.6명으로 열악해 고위험군을 밀착 관리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박준희 서울 노원경찰서 형사와 홍승택 서울시 소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