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부전 줄기세포 치료, 삶의 질 호전"

 심부전의 줄기세포 치료가 환자의 삶의 질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는 임상시험 결과가 나왔다.

 심부전은 심장의 구조 또는 기능 이상으로 혈액을 온몸에 펌프질해 내보내는 심장 좌심실 기능에 문제가 발생, 체내의 모든 기관과 조직에 대한 혈액 공급이 부족해지는 질환이다. 호흡곤란, 피로, 하지 부종 등의 증상으로 일상생활에 제한을 받고 삶의 질이 떨어진다. 고혈압, 당뇨병, 동맥경화 등이 위험 요인이다.

 미국 메이요 클리닉 심장 전문의 야마다 사츠키 박사 연구팀이 10개국 39개 의료기관에서 표준 치료로 효과를 얻지 못한 진행성 심부전 환자 315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임상시험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헬스데이 뉴스(HealthDay News)가 최근 보도했다.

 임상시험 참가자들은 무작위로 두 그룹으로 나뉘어 한 그룹에만 줄기세포 치료가 시행됐다.

 연구팀은 임상시험이 진행되는 동안 일정한 간격을 두고 환자들에게 효과를 스스로 평가하도록 했다.

 그 결과 줄기세포 치료 그룹은 줄기세포 치료를 받지 않은 그룹에 비해 삶의 질이 꾸준히 좋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줄기세포 치료 그룹은 또 사망률과 입원율도 낮았다.

 이 임상시험의 특이한 점은 임상의가 임상시험 결과를 평가한 것이 아니라 환자 자신이 느끼는 효과를 스스로 말하게 한 것이라고 연구팀은 강조했다.

 이 연구 결과는 '줄기세포 중개의학'(Stem Cells Translational Medicine) 최신호에 발표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출생통보·보호출산제 19일부터 시행…정부, "최후 수단" 강조
의료기관에서 태어나는 모든 아동의 출생이 자동으로 등록되는 '출생통보제'와, 아이를 키우기 힘든 임산부가 가명으로 아이를 낳을 수 있게 돕는 '보호출산제'가 19일부터 시행된다. 지난해 6월 발생한 수원 영아 사망사건과 같은 아동의 출생 등록 누락 사례를 막고, 국가가 모든 아동을 보호하기 위한 제도들이다. 정부는 산모가 '최후의 수단'이어야 하는 보호출산제를 고려하기 전 직접 양육을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상담 체계(☎1308)도 구축했다. ◇ 출생신고 누락 없도록…병원 출생 아동, 지자체에 자동 통보 보건복지부는 19일 출생통보제와 위기 임신 지원 및 보호출산제를 동시 시행한다고 밝혔다. 출생통보제는 의료기관이 아동의 출생 사실과 생모의 성명, 출생 연월일시 등 정보를 출생 후 14일 안에 건강보험심사평가원(심평원)에 통보하고, 심평원은 다시 지방자치단체에 통보하는 제도다. 2021년 통계청 인구동향조사에 따르면 출생아의 99.8%가 의료기관에서 출생하는 만큼, 출생통보제를 통해 대부분의 출생아를 공적 체계에 자동으로 등록할 수 있게 된 셈이다. 정부는 제도 시행에 앞서 개별 병원에서 전자 의무기록 시스템에 입력한 출생 정보가 자동으로 가족관계 등록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