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변이 노란색 띠는 이유는…"장내 미생물 효소 작용 때문"

美 연구팀 "적혈구 분해 과정서 효소 작용으로 노란색 색소 생성"
"장내 미생물 효소, 유아 황달·장 질환 발생에 영향 가능성"

 소변이 노란색을 띠는 것은 우로빌린(urobilin)이라는 색소 때문으로 알려졌지만, 이 색소의 생성 과정은 미스터리로 남아 있었다.

 미국 연구팀이 수명이 다한 적혈구가 분해되는 과정에서 장내 미생물 효소의 작용으로 우로빌린이 생성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미국 메릴랜드대 벤틀리 홀 교수팀은 4일 과학 저널 네이처 미생물학(Nature Microbiology)에서 우로빌린이 '빌리루빈 환원효소'라는 장내 미생물 효소가 적혈구 잔해를 분해할 때 만들어진다는 사실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이 연구를 통해 과학자들이 한 세기 넘도록 풀 못했던 의문에 대한 해답을 얻게 됐다며 이 결과를 앞으로 황달과 염증성 장 질환 같은 질병을 포함한 장 건강에 대한 연구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적혈구는 만들어진 지 6개월이 되면 수명을 다하고 분해되는데, 이때 빌리루빈(bilirubin)이라는 밝은 주황색 색소가 부산물로 생성된다.

 빌리루빈은 보통 장으로 분비돼 배설되지만, 일부는 재흡수되거나 장내 세균에 의해 다른 분자로 전환될 수 있다.

 빌리루빈이 과도하게 재흡수되면 혈액에 빌리루빈이 축적되면서 피부와 눈이 노랗게 변하는 황달을 일으킬 수 있다.

 연구팀은 이 연구에서 장내 미생물이 분비하는 효소에서 빌리루빈을 무색의 부산물인 우로빌리노겐(urobilinogen)으로 전환하는 빌리루빈 환원효소(bilirubin reductase)를 찾아냈다.

 홀 박사는 "빌리루빈은 우로빌리노겐으로 전환된 다음 소변이 노란색을 띠게 만드는 우로빌린으로 자연 분해된다"며 "빌리루빈 환원효소 발견으로 소변의 노란색 뒤에 숨겨진 미스터리가 풀렸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이번 발견은 소변 색깔에 관한 과학적 수수께끼를 푸는 것 외에도 건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건강한 성인은 거의 모두 빌리루빈 환원효소를 가지고 있지만 신생아와 염증성 장 질환 환자는 종종 이 효소가 없는 경우가 있다며 빌리루빈 환원효소의 부재가 유아 황달과 색소성 담석 형성을 일으킬 가능성을 제기했다.

 이어 장내 미생물은 황달과 염증성 장 질환 외에도 알레르기, 관절염, 건선 등 다양한 질병과 연관돼 있다며 이번 발견으로 장내 미생물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전체적인 이해에 한 걸음 더 다가서게 됐다고 덧붙였다.

 홀 박사는 "소변의 색깔이라는 일상적인 생물학적 현상이 이렇게 오랫동안 설명되지 않았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고 이를 풀게 돼 기쁘다"며 "이 연구 결과는 장내 미생물이 건강에 매우 중요한 또 다른 이유를 보여준다"고 말했다.

 ◆ 출처 : Nature Microbiology, , 'BilR is a gut microbial enzyme that reduces bilirubin to urobilinogen', http://dx.doi.org/10.1038/s41564-023-01549-x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공부 잘하는 약으로 알려진 '메틸페니데이트' 오남용, 생명 위협도"
모든 약물은 오남용을 유의해야 하지만 학구열 강한 우리나라에서 특히 주의를 요구하는 약이 있다.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ADHD) 치료제로 잘 알려진 '메틸페니데이트'가 그것이다. 메틸페니데이트는 중추신경계에 존재하는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과 교감신경계를 자극해 집중력을 조절하는 노르에피네프린을 증가시키는 약물로 의료용 마약류(향정신성 의약품)에 해당한다. 화학식은 C14H19NO2다. 6세 이상 소아 및 청소년의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등 증상을 나타내는 정신과 질환인 ADHD 치료 등에 활용된다. 복용 시 도파민 등 수치를 높여줘 집중력, 업무 수행 능력 등을 일시적으로 향상하기 때문에 '공부 잘하는 약'으로도 와전돼 있다. 하지만, 이 약을 오남용할 경우 두통, 불면증, 식욕 감소 등 부작용은 물론 심각한 경우 환각, 망상, 자살 시도까지 나타날 수 있다. 또, ADHD 환자가 아닌 사람이 사용할 경우 생산성 향상에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호주 멜버른 대학 신경과 전문의 엘리자베스 바우먼 교수 연구팀은 ADHD 환자가 아닌 사람이 메틸페니데이트 등을 사용하면 문제를 해결하려는 의욕은 높아질 수 있어도 막상 작업 생산성은 감소한다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