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왕절개 분만 여성, 차후 가임성 낮아"

 제왕절개 분만 여성은 차후 자연 분만 여성보다 단기 수태율(fecundability ratio)이 낮고 난임(infertility) 가능성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단기 수태율은 일정한 짧은 기간 안에 수태가 일어날 배란주기 당 임신 가능성을 말한다.

 노르웨이 베르겐 대학 의대 1차 의료과의 혜네아베바 시마 교수 연구팀이 부모-자녀 동일집단 연구 자료 중 출산 여성 7만4천24명의 기록을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헬스데이 뉴스(HealthDay News)가 최근 보도했다.

 연구팀은 과거 출산 유형별로 배란주기 당 단기 수태율과 임신까지 12개월 이상이 걸리는 난임의 상대적 위험을 비교 분석했다.

 그 결과 전에 제왕절개로 출산한 여성은 난임률이 9.9%로 전에 자연 분만한 여성의 7.3%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에 제왕절개로 출산한 여성은 단기 수태율도 전에 자연 분만한 여성보다 10% 낮았다.

 이와 함께 12회 또는 그 이상 월경 사이클 안에 임신을 못 한 여성은 2회 월경 사이클 내에 임신한 여성보다 제왕절개 출산율이 57% 높았다.

 이는 단기 수태율과 제왕절개 분만 사이에 역관계가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연구팀은 말했다.

 인구사회학적, 임상학적 위험 요인과 출산 횟수 등 다른 변수들을 고려했어도 결과는 마찬가지였다.

 전체적인 결과는 자녀를 한 명 이상 낳은 여성 중 전에 제왕절개로 출산한 여성은 전에 자연 분만한 여성보다 단기 수태율이 낮고 난임률이 높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연구팀은 지적했다.

 또 임신에 시간이 오래 걸리는 여성은 제왕절개로 출산할 가능성이 크다고 연구팀은 말했다.

 이는 제왕절개 출산과 단기 수태율 사이에 양방향 관계가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다시 말해 제왕절개 수술 자체가 단기 수태율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며 미친다 해도 부분적인 영향일 수 있다는 의미라고 연구팀은 해석했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 산부인과학 저널(Americ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최신호에 실렸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공부 잘하는 약으로 알려진 '메틸페니데이트' 오남용, 생명 위협도"
모든 약물은 오남용을 유의해야 하지만 학구열 강한 우리나라에서 특히 주의를 요구하는 약이 있다.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ADHD) 치료제로 잘 알려진 '메틸페니데이트'가 그것이다. 메틸페니데이트는 중추신경계에 존재하는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과 교감신경계를 자극해 집중력을 조절하는 노르에피네프린을 증가시키는 약물로 의료용 마약류(향정신성 의약품)에 해당한다. 화학식은 C14H19NO2다. 6세 이상 소아 및 청소년의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등 증상을 나타내는 정신과 질환인 ADHD 치료 등에 활용된다. 복용 시 도파민 등 수치를 높여줘 집중력, 업무 수행 능력 등을 일시적으로 향상하기 때문에 '공부 잘하는 약'으로도 와전돼 있다. 하지만, 이 약을 오남용할 경우 두통, 불면증, 식욕 감소 등 부작용은 물론 심각한 경우 환각, 망상, 자살 시도까지 나타날 수 있다. 또, ADHD 환자가 아닌 사람이 사용할 경우 생산성 향상에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호주 멜버른 대학 신경과 전문의 엘리자베스 바우먼 교수 연구팀은 ADHD 환자가 아닌 사람이 메틸페니데이트 등을 사용하면 문제를 해결하려는 의욕은 높아질 수 있어도 막상 작업 생산성은 감소한다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