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30일 조간)

▲ 경향신문 = 군마현 한국인 추도비 철거, 일본은 '역사지우기' 멈추라

6일 만에 다시 '윤·한 회동', 국민 궁금한 현안부터 답해야

이재명 대표 지체 말고 '준연동형 비례제' 결단하라

▲ 국민일보 = 우려되는 이준석 개혁신당의 젠더·세대 갈라치기 공약

중국 수출 급감에 트럼프 변수까지… 특단 대책 마련하라

▲ 서울신문 = 서비스산업 살려야 경제가 산다

비례대표 임기 쪼갠다니, 뭐가 정의당인가

막 오른 공천심사, 총선 승부 이제 시작이다

▲ 세계일보 = 이태원특별법 '거부'해도 피해자 지원책은 소홀함 없어야

미군 사망에 중동 악화일로… 공급망·유가 대비책 세우길

尹·韓 민생 협력 논의, 국민 불안케 하는 정치 더는 안 된다

▲ 아시아투데이 = 징벌적 상속세, 기업할 의욕도 일자리도 없앤다

北 육해공 핵 위협에 정치권 미국만 바라보나

▲ 조선일보 = '김명수 코드' 판사의 유일한 유죄 선고, 납득 어려운 이유

이럴 바엔 정의당은 간판을 내리는 것이 정의다

21대 국회 마지막을 30조원 방산 수출 발목 잡기로 끝내나

▲ 중앙일보 = 'AI 딥페이크 쓰나미' 막을 방파제 필요하다

민주당 또다시 '전 당원 투표' 뒤에 숨으려 하나

▲ 한겨레 = '정권 보위용' 정치심의 남발 방심위, 존재 이유 있나

기업 임원보수 공시, '주식 보상' 포함해 투명성 높여야

자기 수사하는 공수처를 감사하겠다는 감사원장

▲ 한국일보 = 바이든·스위프트도 당한 딥페이크, 대비 확실하게

이태원특별법 거부 가닥… 유족 원하는 게 지원책인가

"민생만 논의"… 핵심 현안 해법이 아쉬운 尹·韓 2차 회동

▲ 글로벌이코노믹 = IPO 실적이 말해주는 주식시황

중국과 러시아의 실용주의 무역

▲ 대한경제 = 국회 핑계 말고 부처에서 혁파 가능한 규제는 우선 처리돼야

대출 연체액 2년새 3배로… 부동산·건설업 위기 방치 안된다

▲ 디지털타임스 = 재계, 한시적 규제 유예 건의… 투자 유인책으로 적극 수용해야

깜깜이 비례대표제, 위성정당 만들어 또 난장판 재현할 텐가

▲ 매일경제 = 환자 학대하는 공포의 요양병원, CCTV설치 의무화해야

정의당 비례대표 2년씩 나눠먹기, 유권자는 안중에도 없나

플랫폼법 발표 임박, 소상공인 보호하되 혁신 싹 잘라선 안돼

▲ 브릿지경제 = 중견기업 '피터팬 증후군' 유예기간으론 부족하다

▲ 서울경제 = '의원 임기 4년' 헌법 무시하고 희화화하는 비례대표 나눠 먹기

'영세 기업 타격' 중대재해처벌법 후폭풍, 巨野 책임질 자신 있나

서비스 산업 갈수록 퇴보…국회는 입법으로 성장 뒷받침하라

▲ 이데일리 = 설 자리 잃는 중국내 한국산, 30년 전 수준 후퇴라니

막판 임시국회, 민생법안 처리로 진흙탕 오명 씻어야

▲ 이투데이 = '딥페이크'가 선거 민심 더럽히는 불상사 없어야

▲ 전자신문 = 금융권, 클라우드 도입 확장해야

▲ 파이낸셜뉴스 = 기부 후진국 벗어나려면 공익법인 규제 풀어야

자동차 팔아 번 돈, 서비스 적자가 갉아먹는 현실

▲ 한국경제 = 의원 꼼수 사직, 비례대표 2년씩 나눠먹기 … 정의당에 정의가 있나

늘봄학교 지자체에 떠미는 교사들 … 먼저 맡겠다고 해야 할 일 아닌가

탄소중립, RE100 환상 벗고 실현 가능한 CF100으로 가야

▲ 경북신문 = 장기표, 국회의원 부패·특권 심각성 제기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복지장관, 자살대응 현장 실무자 간담회…"예방센터 보강"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은 "자살예방센터를 보강하겠다"고 밝혔다. 정 장관은 지난 8일 서울 중구 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 자살 예방 분야 현장 실무자 간담회를 열어 자살 예방 사업 현황과 애로 사항 등을 논의한 뒤 이같이 말했다. 정 장관은 "자살은 조용한 재난"이라며 "고립의 사회에서 연결의 사회로 나아갈 수 있도록 현장의 신속한 위기 대응과 정부의 정책 지원이 함께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자살예방센터는 자살 예방을 위한 교육·홍보, 고위험군 발굴, 자살 시도자 등의 위기 지원, 자살 사망 사후 대응 등의 사업을 수행하는 기관이다. 전국에 255개소가 있지만, 예산 부족 등으로 인해 55개소만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있고 나머지는 정신건강복지센터에 소속된 팀 등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고 한다. 복지부는 자살 사망자 유족에 대한 원스톱 심리·법률·일시 주거·행정 처리 지원 서비스 지역을 9개에서 12개 시도로 확대했으며 전국 확대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배활립 서울 중구 정신건강복지센터장은 "관련 인력이 자살예방센터 1개소당 3.6명으로 열악해 고위험군을 밀착 관리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박준희 서울 노원경찰서 형사와 홍승택 서울시 소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