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22일 조간)

▲ 경향신문 = 실체 없는 산재 카르텔, "혈세 수조 샌다"던 말 어디 갔나

여가부는 '차관부처'로, 윤 대통령 '몽니 인사' 무책임하다

그린벨트 1급지 해제, 총선 급하다고 막 던질 정책인가

당 원로들까지 비판한 불공정 공천… 민주당, 신뢰의 위기다

▲ 서울신문 = '비명 횡사' 논란 민주, 떠나는 민심 안 보이나

"비수도권 그린벨트 해제", 균형발전 디딤돌 되길

결코 아프지 말아야 하는 참담한 현실

▲ 세계일보 = 北 동포 통일 꿈꾸는 계기 될 '북한이탈주민의 날' 제정

환자 내팽개치고 떠난 의사들, 끝까지 법적 책임 물어야

그린벨트 규제 혁신, 선거용 아닌 국토 균형발전 마중물로

▲ 아시아투데이 = 민주당, 공천 싸움만 말고 민생도 신경 써야

그린벨트 해제, 지역경제 활성화 계기 삼길

▲ 조선일보 = 정부는 필수 의료 보수 인상안 구체화해 신뢰 얻어야

'非이재명'은 쳐내고 '反대한민국'엔 국회 진입 길 터준다니

공수처 난파선 만들고 바로 변호사 개업한 前 공수처장과 차장

▲ 중앙일보 = '사천' 논란 들끓는데 의원총회에도 불참한 이재명 대표

그린벨트·농지 규제 완화 필요하지만 난개발 경계해야

▲ 한겨레 = '바이든-날리면' 중징계 방심위, 권력감시 말라는 건가

이번엔 그린벨트, 대놓고 선거운동하는 윤 대통령

국민 생명권 위협하며 '직업선택의 자유'라는 의사들

▲ 한국일보 = 공석으로 둔 여가부 장관, 국정 무책임 키운다

그린벨트 해제, 투기와 난개발 막을 대비도 철저히

공천 학살에 두쪽 난 민주당… 친명 희생부터 보여야

▲ 글로벌이코노믹 = 한국과 수교한 쿠바의 실용주의 노선

우크라이나 전후 복구의 경제 효과

▲ 대한경제 = 국민 감동 공천의 요체는 자기편 희생이다

비수도권 그린벨트 해제, 효율적인 국토활용 기대 크다

▲ 디지털타임스 = 정부, 의료공백 불법에 "구속수사" 천명… 법과 원칙 본때 보이라

민주 '비명횡사' 공천, 총선승리보다 이재명黨 완성이 목적인가

▲ 매일경제 = 민주당 원로들도 '공정한 공천' 요구… 상위자 명단 공개 어떤가

AI반도체 전쟁 뛰어든 삼성, 엔비디아 아성 깰 혁신 나오길

저출생 대책 성패, 컨트롤타워 이끌 인구차르에 달렸다

▲ 브릿지경제 = '메타버스 진흥법', 메타버스 얼마나 진흥할 수 있나

▲ 서울경제 = 꼼수 정치에 혈세 쏟아붓는 정당 국고보조금 제도 대수술해야

巨野, 오락가락 말고 필수·지역 의료 정상화 대책 분명히 밝혀라

'더 내는' 연금개혁 우선 추진하고 추후 '이원화' 신중히 검토해야

▲ 이데일리 = 고금리에도 더 늘어난 가계빚, 주담대 관리 강화해야

먹튀 논란 부른 개혁신당 파탄, 정당보조금도 문제다

▲ 이투데이 = 선 넘은 집단행동, '법 위의 의사'를 꿈꾸나

▲ 전자신문 = 의대쏠림, 미래가 없다

▲ 파이낸셜뉴스 = 의료대란 엄정 대응하되 대화 불씨는 살려야

'그린벨트 해제' 난개발 차단 후속조치 빈틈없게

▲ 한국경제 = 종북·반미 세력과 의석 나눠먹기 … 또 다른 '이석기 사태' 우려된다

위상 강화 저출산委, '큰 정부·옥상옥 논란' 경계해야

농지·녹지 규제 완화 … 바람직한 경제적 자유의 확대

▲ 경북신문 = 이철우, 저출생 문제 해결 팔 걷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복지장관, 자살대응 현장 실무자 간담회…"예방센터 보강"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은 "자살예방센터를 보강하겠다"고 밝혔다. 정 장관은 지난 8일 서울 중구 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 자살 예방 분야 현장 실무자 간담회를 열어 자살 예방 사업 현황과 애로 사항 등을 논의한 뒤 이같이 말했다. 정 장관은 "자살은 조용한 재난"이라며 "고립의 사회에서 연결의 사회로 나아갈 수 있도록 현장의 신속한 위기 대응과 정부의 정책 지원이 함께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자살예방센터는 자살 예방을 위한 교육·홍보, 고위험군 발굴, 자살 시도자 등의 위기 지원, 자살 사망 사후 대응 등의 사업을 수행하는 기관이다. 전국에 255개소가 있지만, 예산 부족 등으로 인해 55개소만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있고 나머지는 정신건강복지센터에 소속된 팀 등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고 한다. 복지부는 자살 사망자 유족에 대한 원스톱 심리·법률·일시 주거·행정 처리 지원 서비스 지역을 9개에서 12개 시도로 확대했으며 전국 확대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배활립 서울 중구 정신건강복지센터장은 "관련 인력이 자살예방센터 1개소당 3.6명으로 열악해 고위험군을 밀착 관리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박준희 서울 노원경찰서 형사와 홍승택 서울시 소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