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만할 수 있는 산부인과 전국 463곳…10년간 34.4% 급감

지난해 12월 기준 전국 시군구 250곳 중 72곳은 분만 '불가'
분만취약지 지원금 상향…이달부터 고위험임산부 정책수가 신설

  전국에서 분만할 수 있는 산부인과가 최근 10년간 30% 넘게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부인과가 없거나 산부인과가 있어도 분만이 어려운 시·군은 70곳을 넘어섰다.

 3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전국에서 분만을 받는 산부인과 수는 463개로, 2013년 706개 대비 243개(34.4%) 감소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분만 관련한 수가를 청구한 입원명세서 건수를 산출해 분석한 결과다.

 분만할 수 있는 의원급 산부인과는 2013년 409개에서 지난해 말 195개까지 줄면서 사실상 반토막이 났다.

 정부는 산부인과의 감소가 신생아 수 감소에 따른 운영 비용 증가와 의료사고 위험 등 근무 환경 악화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지난해 말 기준 전국 시군구 250곳 중 산부인과가 없거나 산부인과가 있어도 분만이 어려운 시군은 72곳에 달했다.

 산부인과 의료기관이 아예 없는 지역이 22곳, 산부인과가 있으나 분만실이 없는 지역이 50곳이다.

 산부인과가 없는 22곳은 전부 군이었고, 경북 6곳, 강원 5곳, 전북 4곳, 전남 3곳, 경남 2곳, 충북 1곳, 대구 1곳이었다.

 산부인과는 있으나 분만실이 없어 사실상 분만할 수 없는 50곳은 전남 10곳, 경기 8곳, 충남 6곳, 경남 6곳 등이었다.

 현재 정부는 분만 인프라를 개선·유지하고자 2011년부터 분만 취약지를 선정, 산부인과가 설치·운영될 수 있도록 시설·장비비와 운영비 등을 지원하는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올해부터는 분만 취약지 의료기관당 지원액을 기존 12억5천만원에서 17억원으로 늘렸다.

 시설·장비비는 지난해 10억원에서 올해 12억원으로, 운영비는 2억5천만원에서 5억원으로 상향 조정됐다.

 정부는 분만 취약지 지원사업을 지속해서 실시하는 한편, 고위험 산모가 안전하게 치료받을 수 있도록 보상을 강화하는 방안도 마련했다.

 정부는 분만 수가를 개선하기 위해 2천600억원을 투입하기로 결정했고, 이달 1일부터는 '고위험 임산부 통합진료 정책수가'를 신설해 집중치료실 입원환자 1인당 1일 20만원을 최대 7일간 지원 하고 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유전자가위 동시에 켜고 끈다…이중모드 크리스퍼 가위 개발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이주영 교수와 한국화학연구원 노명현 박사 공동 연구팀은 대장균(박테리아의 일종)에서 원하는 유전자를 동시에 켜고 끌 수 있는 '이중모드 크리스퍼(CRISPR) 유전자 가위'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2일 밝혔다. 유전자 가위는 인간·동식물 세포의 특정 염기서열을 찾아내 해당 부위 데옥시리보핵산(DNA)을 절단함으로써 유전체를 교정하는 기술이다. 대표적으로 '크리스퍼 카스9 유전자가위'(CRISPR-Cas9)가 널리 활용되고 있는데, 절단 효소인 카스9(Cas9) 단백질과 교정할 유전자 부위를 찾아주는 '가이드 리보핵산(RNA)'이 결합해 유전체를 편집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다만 '끄기'(억제) 기능에 특화돼 유전자 발현을 막는 데는 뛰어나지만, 유전자를 켜 활성화하는 기능은 제한적이다. 그나마 사람·식물·동물 등 다세포 생물의 기본 단위인 진핵세포에서는 켜는 것이 가능하지만, 박테리아에게서는 유전자 켜기가 되지 않는다는 한계가 있다. 박테리아는 구조가 단순하고 빠르게 증식하면서도 다양한 유용 물질을 생산할 수 있어, 합성생물학(미생물을 살아있는 공장처럼 만들어 의약품과 화학물질 등을 생산할 수 있는 핵심 기술)의 기반이 된다. 합성생물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