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랩, 온전한 나로 살기 위한 새로운 명상의 개념 ‘마인드스캔’ 출간

타인과의 비교와 경쟁에서 벗어나 행복으로 나아가는 방법 제시

(미디어온) 남의 눈에 비친 내가 아닌 온전한 나로 살아야 함을 강조하고 타인과의 비교와 경쟁에서 벗어나 행복으로 나아갈 것을 권하는 신개념 명상 서적이 출간됐다.

북랩이 명상을 통해 자신의 마음을 들여다보고 이를 통해 진정한 행복을 찾는 방법인 제나아리 명상을 정리한 토우의 ‘마인드스캔’을 출간했다고 밝혔다.

이 책은 저자가 자신의 수련 경험을 토대로 정립한 새로운 명상 개념인 마인드스캔을 제시하고 있다. 마인드스캔은 자신의 내면을 세밀하게 관찰하여 자기도 몰랐던 본성을 깨닫도록 하는 명상 기법으로, 타 명상에서 행하고 있는 보디스캔과는 다른 개념이다. 마인드스캔의 궁극적 목적은 온전한 나를 깨닫고 본연의 나로서 사는 것인데, 이를 저자는 제나아리, 제나사리라고 한다. 온전한 나를 뜻하는 ‘제나’와 앎을 뜻하는 ‘아리’, 안 그대로 산다는 뜻의 ‘사리’의 합성어다.

보통의 사람들은 ‘사람=살+앎’을 모르고 살기에 눈에 보이는 ‘살’, 즉 몸에만 치중하여 산다. 그래서 비교하고 경쟁하느라 불행해진다. 하지만 사람의 또 다른 측면인 ‘앎’, 즉 마음을 알게 되면 본성대로 살 수 있게 된다. 있는 그대로의 온전한 자신으로 살 수 있게 되어 자연스레 행복해진다는 것이다. 저자는 사람들이 명상을 통해 이런 상태로 거듭나야 한다고 강조한다.

책은 총 6장에 걸쳐 명상의 일반적인 상식과 제나아리 명상의 방법 그리고 단계를 설명한다. 저자의 경험과 스토리텔링 위주로 기술하여 명상을 처음 접하거나 새로운 명상의 방법을 찾는 이들 모두 이 책을 가지고 쉽게 명상에 관하여 이해하고, 제나아리 명상을 시작할 수 있을 것이다.

저자는 “많은 사람들이 겉으로 드러난 몸에 치중하며 살고 있지만 내면의 마음을 알게 되면 상대방의 눈에 보여지는 나로 사는 것이 아니라 자기 자신으로서 살 수 있게 된다”며 “비교하거나 경쟁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의 자신으로서 살아가는 삶, 거기에 흔들리지 않는 행복이 있다”고 책의 핵심 내용을 말했다.

저자는 명상학 박사 과정을 수료했다. 2007년 8월에 제나아리 명상 보급에 뜻을 두고 중등 교사직에서 명예퇴직을 했으며 2017년 2월에 ‘제나아리 명상원’을 열었다. 저서로 ‘참살앎’, ‘제대로 살기’가 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달팽이관 닮은 음향 센서 개발…차량 종류까지 구별
한국연구재단은 고려대 한창수 교수·전은석 박사 연구팀이 사람의 달팽이관을 모사해 주파수 검출까지 가능한 인공 음향 센서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달팽이관은 귀의 가장 안쪽에 위치해 소리의 진동(주파수)을 전기신호로 바꿔 뇌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나선형으로 감긴 달팽이관을 펼치면 내부 관을 따라 아주 얇은 세포 경계막인 기저막이 있는데, 폭이 넓고 얇은 기저부에서 시작해 꼭대기로 갈수록 폭이 좁고 두꺼워지는 기저막의 형상 덕분에 우리는 주파수 대역별로 나눠 다양한 소리를 감지할 수 있다. 이런 생체 기능을 모방해 음향 센서를 개발하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기존 음향 센서는 주파수 대역이 좁고 대역 분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소리를 검출·분석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연구팀은 생체 기저막의 3차원 구조 특징을 효과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 달팽이관의 기저막 형상을 정밀하게 모사하는 데 성공했다. 생체 기저막처럼 방향에 따라 폭이 변하도록 인공 기저막 구조를 설계하고, 나선형 구조를 적용해 면적 대비 길이를 최대한 길게 만듦으로써 주파수 대역을 크게 확장했다. 기저막과 청각신경을 모방해 24개의 압전 센서(압력을 전기로 변환하는 센서) 모듈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