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26일 조간)

▲ 경향신문 = 'e커머스 거품' 터진 티몬·위메프, 소비자 피해 없게 해야

특검법 또 폐기, 해병의 '억울한 죽음' 규명이 이리 어려운가

'세수 결손·불평등' 심화시킬 상속세 인하, 국회가 막아야

코로나 소상공인 지원금 3조원 넘게 잘못 지급됐다니

▲ 서울신문 = 티몬·위메프 사태… 소상공인 자금 경색 막아야

저출생 극복 초점 맞춘 세제 개편, 野 동참을

4박5일 국회 본회의, 이런 코미디가 없다

▲ 세계일보 = 방송장악 위해 방통위 부위원장까지 탄핵 나선 巨野 횡포

범죄단체에 코로나 지원금이라니, 책임 묻고 혈세 환수하라

상속세 25년 만에 인하, 세수감소 대책도 보완해야

▲ 아시아투데이 = 정부안서 빠진 종부세 인하, 여야 협치로 다루길

이젠 방통위 부위원장… 민주당의 탄핵 굿판 남발

▲ 조선일보 = 국민 세금 3조원으로 '눈먼 돈' 대잔치 벌인 문 정부

MBC 하나 지킨다고 IT 통신 정책까지 희생시키겠다니

28년 만의 상속세 개편안 나와도 '현실감' 들지 않는 이유

▲ 중앙일보 = 엉뚱하게 줄줄 샌 코로나 소상공인 지원금 3조

24년 만의 상속세 수술 … 감세 유지하되 치밀한 세수 대책도

▲ 한겨레 = 이진숙, 어느 모로 봐도 방통위원장 자격 없다

티몬·위메프 사태, 피해 최소화하고 재발 방지책 세워야

상속세까지 오기 부리듯 '부자감세', 민심 상처 덧낸다

▲ 한국일보 = 중대위협 北 오물풍선 문제, 언제까지 방치할 건가

또 부결 채상병 특검… '제3자 추천' 협상 나서야

세수 부족한데 상속 최고세율 인하, 초부자만 혜택 보나

▲ 글로벌이코노믹 = 지연

▲ 대한경제 = 일상화된 극한호우, 시설물 안전점검 중요성 커졌다

종합부동산세 빠졌지만 야당 설득해 세법 개정 완수해야

▲ 디지털타임스 = 감세에 방점 둔 세법개정안, 위험수위 '세수 펑크' 대책은 있나

野, 이번엔 방통위 직무대리 탄핵… 해도 너무하는 것 아닌가

▲ 매일경제 = "파업조장법 재고" 오죽하면 경총 회장이 의원들에 편지 썼겠나

2분기 경제성장 '뒷걸음'… 내수 살릴 尹정부 능력 보여줘야

중산층 부담 줄여줄 상속세 완화, 야당도 협조를

▲ 브릿지경제 = 2분기 마이너스 성장, '깜짝 성장' 기저효과인가

▲ 서울경제 = 티메프 사태 악화…소비자·판매자 보호 위해 이커머스 정비해야

2분기 역성장, 기업 활력 제고해 경기 회복 궤도 올려라

李 "조세는 징벌 수단 아니다"…국정 훼방 접고 세제 개혁 협조해야

▲ 이데일리 = 티메프발 이커머스 대혼란, 고강도 수습책 시급하다

2분기 성장률 급락, 내수 살리기 총력전 펼쳐야

▲ 이투데이 = 약탈적 상속세, 당파적 이해 벗어나야 해결된다

▲ 전자신문 = 클라우드 계획에 안전대책 담아야

▲ 파이낸셜뉴스 = 개인정보 中에 넘긴 알리, 철저한 방지책 서두르길

상속세율 40%로 인하, 재정악화 대책 함께 세워야

▲ 한국경제 = 하반기 우려 키우는 2분기 역성장 … 투자 소비 되살려야

물불 안 가리는 야당의 특검법 공세, 이 정도면 중증이다

고민 흔적 역력한 상속·증여세 개편안, 야당도 협조를

▲ 경북신문 = 야, 당 대표 후보 개헌 제안… 골든 타이밍?

▲ 경북일보 = 검경, 약자 등치는 '스미싱과의 전쟁' 선포해야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지방의료 붕괴 현실로…수도권-지방 '수명 격차' 13년
사는 곳이 어디냐에 따라 기대수명이 13년이나 차이 나는 현실이 수치로 드러났다. 이는 단순히 통계적 차이를 넘어 수도권과 지방 간에 깊어진 의료 불균형이 국민의 생명권마저 위협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명백한 경고등이다. 서울 서초구의 기대수명은 90.11세에 달하지만, 경북 영덕군은 77.12세에 그친다. 이런 '수명 격차'의 근본 원인으로 의료 인프라의 극심한 지역 편중이 지목된다. 의사와 대형병원이 수도권에 집중되면서 지방의 필수의료 체계는 붕괴 직전으로 내몰리고 있으며, 이는 곧 지역 소멸을 앞당기는 악순환의 고리가 되고 있다. 3일 국회입법조사처의 분석에 따르면 의료자원의 불균형은 통계로도 명확히 드러난다. 인구 10만 명당 의사 수는 수도권이 211.5명인 데 반해 비수도권은 169.1명에 불과하다. 300병상 이상의 대형병원 역시 수도권과 대도시에 몰려있고, 의료인력의 연평균 증가율마저 수도권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어 격차는 시간이 갈수록 벌어지는 추세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지방에 거주하는 주민들은 중증 질환 발생 시 KTX를 타고 '원정 진료'를 떠나는 것이 당연한 일이 돼버렸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지역 의료의 마지막 보루 역할을 하던 공중보건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