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 [연합]](http://www.hmj2k.com/data/photos/20251040/art_17593714274978_2c6e72.jpg?iqs=0.0416922003270247)
사는 곳이 어디냐에 따라 기대수명이 13년이나 차이 나는 현실이 수치로 드러났다.
이는 단순히 통계적 차이를 넘어 수도권과 지방 간에 깊어진 의료 불균형이 국민의 생명권마저 위협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명백한 경고등이다.
서울 서초구의 기대수명은 90.11세에 달하지만, 경북 영덕군은 77.12세에 그친다. 이런 '수명 격차'의 근본 원인으로 의료 인프라의 극심한 지역 편중이 지목된다.
3일 국회입법조사처의 분석에 따르면 의료자원의 불균형은 통계로도 명확히 드러난다.
인구 10만 명당 의사 수는 수도권이 211.5명인 데 반해 비수도권은 169.1명에 불과하다.
300병상 이상의 대형병원 역시 수도권과 대도시에 몰려있고, 의료인력의 연평균 증가율마저 수도권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어 격차는 시간이 갈수록 벌어지는 추세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지방에 거주하는 주민들은 중증 질환 발생 시 KTX를 타고 '원정 진료'를 떠나는 것이 당연한 일이 돼버렸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지역 의료의 마지막 보루 역할을 하던 공중보건의사마저 급격히 줄어들고 있다.
열악한 처우와 복무 환경으로 인해 지원자가 감소하면서 2024년에는 사상 처음으로 3천명 선이 무너졌고, 2025년에는 1천명 이하로 급감할 것이라는 암울한 전망까지 나온다.
의원이나 약국조차 없는 의료 취약지에서 공중보건의의 부재는 곧 의료 공백으로 직결된다.
1년 넘게 이어진 의정 갈등은 가뜩이나 위태롭던 지역 의료에 결정타를 날렸다. 병원을 떠난 전공의들이 복귀하더라도 수도권 쏠림 현상은 더욱 심화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근무 중인 전공의의 65.6%가 수도권 병원 소속으로 이는 비수도권의 두 배에 가까운 수치다.
특히 지난 2024년 하반기 전공의 추가 모집에서는 비수도권 필수의료 분야 지원자는 단 1명에 그쳐 지역 의료의 암담한 미래를 예고했다.
정부가 병상수급 관리 계획 등을 통해 문제 해결에 나서고는 있지만, 현장의 인력 유출 속도를 따라잡기에는 역부족이라는 지적이 많다.
의료 격차는 더 이상 방치할 수 없는 심각한 사회 문제다. 이는 단순히 불편함을 넘어 국민의 건강과 생명을 위협하고, 국가 균형 발전을 저해하는 핵심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단순한 자원 재분배를 넘어, 지역에서도 양질의 의료 서비스를 안심하고 받을 수 있다는 사회적 신뢰를 회복하기 위한 근본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한목소리로 강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