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에 문여는 병원·약국 응급의료포털서 확인…중증은 119상담

주요 포털에서 '응급' '응급실' 등 검색하면 응급의료포털 안내

 추석 연휴 갑자기 몸이 아파 병원에 가야 한다면 응급의료포털에서 문 여는 병의원과 약국을 확인하고, 가까운 동네 병의원을 방문하면 된다.

 다만 중증으로 의심되거나 증상에 대해 혼자 판단하기 어려운 경우 119로 신고해 상담받는 게 좋다.

 보건복지부는 2일 장기간의 추석 연휴를 앞두고 이 같은 내용의 연휴 기간 의료기관 이용 방법을 안내했다.

 전국 권역응급의료센터 44곳, 지역응급의료센터 137곳, 지역응급의료기관 232곳 등 응급의료기관 413곳은 연휴 내내 24시간 운영한다.

 문 여는 병의원과 약국 정보는 응급의료포털에서 확인할 수 있다. 주요 포털 사이트에서 '응급', '응급실', '문 여는 병원', '응급의료' 등을 검색하면 응급의료포털을 안내해준다.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앱)이나 홈페이지를 통해서도 응급 상황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응급똑똑앱은 사용자가 입력한 증상 정보를 바탕으로 관련 지침을 제공하는 앱이다. 중증일 경우 응급실 방문을 안내하고, 경증이면 가까운 병의원을 우선 방문하게 하거나 스스로 할 수 있는 응급처치 정보를 제공한다.

 사용자 위치 정보를 파악해 가까운 병의원, 달빛어린이병원, 응급실 등도 알려준다.

 12세 이하 소아 환자가 있는 경우에는 전문의료인이 24시간 상담을 제공하는 소아전문상담센터 아이안심톡을 이용하면 된다.

 아이안심톡은 사용자가 입력한 증상 정보를 기반으로 진료가 필요한 경우에는 119 신고나 의료기관 이용을 권하고, 상담으로 가능한 경우에는 일대일 게시판에 문의케 한다.

 일대일 문의에서 의료인은 소아 환자의 현재 증상, 과거 병력을 바탕으로 집에서 가능한 처치, 상비약 이용 안내, 추후 증상 변화에 따른 추가 조치 등을 게시판 답글 또는 전화로 안내한다.

 다만 호흡곤란이나 갑작스러운 팔다리 저림, 혀가 마비돼 말이 하기 어려운 경우 등 중증 질환에 흔히 동반되는 심각한 증상이 있다면 즉시 119에 신고해야 한다.

 119 상담을 통해 증상에 대해 상담받을 수 있고, 119 구급대의 중증도 판단에 따라 적합한 병원으로 바로 이송이 가능하다.

 증상에 대해 혼자 판단하기 어려운 경우에도 119로 신고하면 의학적인 상담이 가능하므로 적극적으로 활용하면 된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젊은 암 늘자 '가임력 보존' 관심…"출산 계획 환자부터 지원"
젊은 암 환자가 많아지면서 '가임력 보존'에 대한 관심이 커지는 가운데, 환자와 의사 대부분이 가임력 보존 시술에 대한 정부 지원 필요성에 공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출산 계획이 있는 암 치료 대상자부터 지원해야 한다는 데에도 환자와 의사 사이에 이견이 없었다. 대한가임력보존학회가 보건복지부의 의뢰로 수행한 '가임력 보존 및 향상을 위한 가이드라인 연구'에 따르면 지난해 11~12월 가임기 여성 환자와 이들을 진료하는 의사를 대상으로 각각 설문조사를 한 결과 이러한 사실이 확인됐다. 최근 의료계에서는 암 발병 연령이 낮아진 데 따라 젊은 암 환자의 완치 이후의 삶에 대해 주목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국가암등록통계에 따르면 2022년에 암을 새롭게 진단받은 20∼39세 환자는 1만9천575명에 달한다. 특히 가임력 보존은 저출생 시대 젊은 유방암 환자 등이 증가한 데 따라 관심이 커지는 분야로 꼽힌다. 학회는 서울아산병원, 세브란스병원 등 병원 7곳에서 외래 진료를 받은 여성 환자 153명을 대상으로 가임력 보존 시술에 대한 인식과 경험에 대해 조사했다. 이들 중 유방암 등을 진단받고 가임력 보존 시술을 받은 환자는 53명이었다. 우선 응답자의 83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