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방 '과잉치료'…0~3세 보험금 청구 9개월간 1만2천건

갓난아이 부황 치료도 500건…손보업계 "진료수가 기준 구체화 필요"

 자동차 사고를 당한 유아가 한방치료를 받았다며 보험금을 청구한 사례가 지난해 1~9월 누적 기준으로 1만2천건 가까이에 달했다. 이렇게 받아 간 보험금은 40억원을 넘는다.

 심지어 갓난아이가 부항이나 뜸 치료를 받았다며 보험금을 받은 경우도 500건이나 됐다.

 업계는 한방에서 과잉진료가 상대적으로 많이 발생하고 있다며 제도 개선을 요구하고 있다.

 9일 연합뉴스가 삼성화재·현대해상·DB손해보험·KB손해보험·메리츠화재 등 상위 5개사의 자료를 취합한 결과 만 4세 미만이 추나요법, 약침, 침술, 부황, 뜸 등 한방치료를 받았다며 받아 간 자동차보험 보험금이 2019년 1월부터 9월까지 42억3천700만원으로 집계됐다. 건수로는 1만1천893건에 달했다.

 2018년보다 더 늘어난 모습이다. 2018년 한해 전체 건수와 보험금은 각각 1만2천735건, 39억8천300만원이었다.

 특히 만 1세 미만이 부항이나 뜸 치료를 받았다며 보험을 타간 사례도 524건에 달했다.

 부항은 부항단지 안에 음압을 조성, 피부에 흡착해 피를 뽑거나 울혈을 일으켜 물리적 자극을 주는 치료이고, 뜸은 열 자극을 가해 기혈을 돌게 하는 치료다. 갓난아이에게 조치하기 쉽지 않은 치료법이다.

 한 한의원 원장은 "진료 여부는 전문가인 한의사가 판단할 사안이지만 현재 과잉진료가 있기는 하다"며 "만 2∼3세 이하는 꼭 필요한 경우에만 조심스럽게 시술해야 함에도 보험금을 염두에 둔 진료도 있어 자제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대형 보험사 관계자는 "몽고점을 빼기 위해 부항 치료를 받고 보험금을 청구하는 사례도 있다"고 전했다.

 손해보험업계는 지난해 자동차보험의 손해율이 크게 오른 데에는 한방 과잉진료 탓이 큰 것으로 보고 있다.

 한방과 양방 진료비를 비교하면 한방 진료비가 월등히 높게 나온다는 점을 제시한다.

 현대해상 교통기후환경연구소가 2018년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1인당 통원(외래) 진료비가 의원급 기준으로 한방(6만2천631원)이 양방(2만4천597원)의 3배 가까운 수준이다.

 병원급 역시 한방이 6만9천120원으로 양방(3만628원)의 2배 이상 됐다.

 현대해상이 자사 자동차보험에서 대인사고로 보험금이 지급된 42만건을 분석한 결과를 보면 가장 가벼운 상해 등급인 14등급에 해당해 보험금이 지급된 경우 1인당 한방진료비(46만3천278원)가 양방 진료비(18만2천886원)의 2.5배 수준이었다.

 전체 지급 건수에서 차지하는 14등급의 비중은 68%였다. 14등급은 병원에서 진료만 받으면 누구나 다 받을 수 있는 등급이다.

 업계는 자동차보험 진료수가 심사 절차와 기구를 신설해 진료수가 기준을 명확히 해야 과잉진료를 막을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자동차보험 진료수가 기준이 구체적이지 않아서 한의업계가 이를 악용해 고가 비급여 위주의 진료를 하고 보험금을 청구하고 있다고 의심하고 있다.

 정수은 현대해상 교통기후환경연구소 박사는 "건강보험과 비교해 명확한 자동차보험 진료수가 기준이 없어 비급여(한방진료) 과잉진료가 손해율 증가에 큰 영향을 주는 만큼 경상자의 적정 의료 행위 기준이나 치료범위 제한을 검토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석수선의 K-디자인 이야기…'K-의료' 관광이 연 감정산업
의료관광은 더 이상 진료나 시술 중심의 산업만이 아니다. 디지털 전환과 감성 콘텐츠 소비가 일상이 된 오늘날 병원을 찾는 많은 사람은 치료만을 원하지 않는다. 그들은 위로받고 싶어 하고, 감정적으로 연결되고 싶어 한다. 특히 우리나라의 의료관광은 K-팝, K-드라마, K-뷰티 같은 한류 콘텐츠를 매개로 문화적 친숙함과 감정적 몰입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독보적인 강점을 지닌다. 빠르고 효율적인 병원 진료만이 아닌 감정 회복의 여정을 제공하는 산업으로 진화할 수 있는 결정적 가능성이다. 오늘날의 환자는 진료의 전문성보다도 그 과정을 어떻게 '느끼는가'를 중심에 둔다. 진료 전 대기 시간의 불안, 치료 중의 고통, 회복기의 고립 등이 극복 요소다. 이 모든 순간에 정보보다 감정의 흐름이 더 크게 작용한다. 병원에 들어서는 순간부터 환자는 스스로 치유하고 있다는 감각을 원한다. 특히 방한한 외국인 환자에게 한국은 시술받는 장소만이 아니라, 자신이 동경해온 문화가 살아 있는 '감정 공간'이다. K-콘텐츠를 통해 한국에 친숙해진 이들은 병원 침대가 아닌, 드라마 속 장면과 닮은 회복 공간에서 자신만의 치유 서사를 경험하길 원한다. 여기에 디자인 요소도 필수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의사 엄융의의 'K-건강법'…무엇을, 어떻게 먹을까
이전 칼럼에 언급한 대로 씨앗과 채소, 과일 등의 신선 식품을 가공하지 않은 채로 먹는 것이 대부분의 장내세균이 좋아하는 식생활이다. 일례로 채소가 몸에 좋다고 하는데 구체적으로 왜 그럴까? 채소는 비타민 등 우리 몸이 꼭 필요로 하는 영양소를 공급하고, 섬유질이 많아 대장운동을 촉진한다. 이게 결국 장내세균이 살아가기 좋은 환경을 만든다. 장내세균이 좋아하는 환경을 위해 되도록 첨가물이 적고 원래 식자재의 형태를 알아볼 수 있는 음식을 먹는 것이 좋다. 유럽 사람들이 엄청난 예산을 들여서 장내세균을 조사했다. 현대적 기법으로 장내세균 분포를 조사해본 결과 사람의 장내세균 분포가 서너 가지로 나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장내세균의 패턴에 따른 체질, 수명, 또는 특정 질병과의 관계에 대해서도 지속해 연구하고 있다. 아직 뚜렷한 결과는 없지만 그래도 분명히 흥미로운 결과가 나올 거라고 기대한다. 인간을 네 부류로 나눈다는 관념에는 굉장히 흥미로운 구석이 있다. 동서양을 막론하고 이런 전통이 있었다. 일반적으로 혈액형을 A, B, O, AB형 네 가지로 나누고, 한의학에서도 체질에 따라 태양, 태음, 소양, 소음 네 가지로 나눈다. 또 서양의학의 선구자라 불리는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