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킨슨병 새 원인으로 세포 소기관 '퍼옥시좀' 제시

생명연 "파킨슨병 치료제 개발에 기여"

 국내 연구진이 파킨슨병의 원인이 될 수 있는 세포 내 기관을 제시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이규선 센터장이 경북대 조동형 교수 연구팀과 공동 연구를 통해 파킨슨병 연구 분야에서 세포 소기관 '퍼옥시좀'(peroxisome)의 중요성을 새롭게 규명했다고 20일 밝혔다.

 파킨슨병은 뇌의 흑질에 분포하는 도파민 분비 신경세포가 점차 소실돼 발생하는 신경계 퇴행성 질환이다. 떨림, 경직, 도보 이상 등 다양한 운동장애 증상이 나타난다.

 세포 내 발전소 역할을 하는 세포 소기관 미토콘드리아의 기능 이상이 주된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팀은 파킨슨병의 원인 유전자 단백질인 'HSPA9'의 돌연변이로 인한 세포소기관 퍼옥시좀의 감소가 파킨슨병의 새로운 원인이 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초파리 동물모델에서 퍼옥시좀이 감소한 모습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퍼옥시좀은 과산화수소를 생성해 체내에 침입한 미생물을 파괴하고 지방산을 분해하거나 콜레스테롤을 합성하는 역할을 한다.

 퍼옥시좀을 생성하는 유전자에 문제가 생기면 '젤웨거 증후군'과 같은 선천성 뇌신경계 발달 장애로 이어질 수 있다.

 연구팀은 HSPA9 유전자 돌연변이를 일으킨 초파리 실험모델에서 산화 스트레스 증가로 인해 퍼옥시좀이 급격히 감소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특히 스트레스 조건에서 퍼옥시좀은 자신의 일부를 분해하는 자가포식 작용(autophagy)을 일으켜 감소 현상이 더 심해지는 것이 확인됐다.

 그동안 미토콘드리아의 역할에만 집중됐던 파킨슨병 연구에 새로운 표적 인자를 제시함으로써 치료제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규선 센터장은 "신경 퇴행성 질환을 비롯한 암, 대사질환, 노인성 관련 질환 등 분야의 치료제 개발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오토파지'(Autophagy) 지난달 22일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의정갈등 터널 끝 보일까…李 '해답찾기' 주문 속 의료계도 화답
이재명 대통령이 취임 첫 기자회견에서 의정 갈등과 관련해 '신뢰 회복'과 '대화'의 메시지를 내면서 정부와 의료계 간의 대화를 통한 갈등 해소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이 대통령이 곧바로 수석보좌관회의에서 의료대란의 해법 찾기를 주문한 가운데, 의료계도 장기화한 사태 해결의 바람을 담아 화답하고 나섰다. 이 대통령은 지난 3일 청와대에서 열린 취임 한 달 기자회견에서 의정 갈등 해법에 대한 질문에 "신뢰를 회복하고 대화를 충분히 하고, 또 적절하게 필요한 영역에서 타협해 나가면 충분히 해결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고 답했다. 이 대통령은 "(의대생이) 2학기에 가능하면 복귀할 수 있는 상황을 정부 차원에 많이 만들어내야 하겠다"며 "빠른 시간 내에 대화하고, 이것도 역시 솔직한 토론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번 발언은 이 대통령 취임 후 의정 갈등과 관련한 첫 공개 발언이다. 이 대통령은 이어진 대통령실 수석보좌관회의에선 "제가 가장 어려운 의제로 생각했던 의료대란 문제와 관련, 해답이 있을지 가능하면 찾아봐 달라"며 "의사단체 및 관련 의료단체와의 대화도 치밀하고 섬세하게, 충분하게 해주길 부탁드린다"고 주문하기도 했다. 구체적인 해법까지 제시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성별·연령별 정상 혀 색깔은…" 한의학연, 국가참조표준 개발
한국한의학연구원은 한의학계 최초로 혀 색상을 통해 건강 상태를 알 수 있는 국가참조표준을 개발했다고 4일 밝혔다. 국가참조표준은 데이터의 정확도와 신뢰성을 과학적으로 검증·공인해 사회 각 분야에서 활용하게 하는 제도다. 한의건강검진 연구에서 표준화된 측정 방법으로 수집한 한국 정상인의 설 영상 데이터 967건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개발됐다. 설진(舌診·혀의 색깔과 형태를 통해 건강 상태를 진단하는 한의학 진찰 방법) 측정 기기를 통해 측정한 성별·연령별 한국인 정상인의 설질과 설태 색상 데이터가 포함됐다. 설질은 혀의 조직 표면으로 면역 세포의 침윤에 의한 갈라짐, 타액 양에 따른 건조 정도를 관찰할 수 있다. 설태는 설질 위에 깔린 이끼 형태의 물질로, 설질 상피의 각질화 속도 등을 파악해 한의학적으로는 위장관 질환을 예측하는 데 쓰인다. 육안을 이용한 전통적인 설진 측정 방식은 높은 불확도(측정값의 오차범위)로 인해 신뢰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연구팀은 국내에 현존하는 설진 측정 기기를 포괄해 측정 방법을 표준화하고, 불확도를 계산해 한국 정상인의 혀 색상 참조표준을 개발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를 통해 성별·연령별 정상 혀의 설질과 설태 색상을 획득하

메디칼산업

더보기
동아ST, 입센코리아와 성조숙증·전립선암 치료제 공동 판매
동아에스티는 입센코리아와 성조숙증 및 전립선암 치료제 '디페렐린(성분명 트립토렐린)' 공동판매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디페렐린은 글로벌 바이오제약 기업 입센이 개발한 GnRH(생식샘 자극 방출 호르몬) 작용제로, 중추성 성조숙증 및 전립선암에 쓰이는 치료제다. 협약에 따라 양사는 지난 1일부터 디페렐린의 국내 홍보 및 마케팅 활동을 공동으로 진행한다. 종합병원 대상 영업은 양사가 함께 협력하고, 병의원 대상 영업은 동아에스티가 전담한다. 양사는 축적된 역량과 전문성을 바탕으로 시너지를 창출해 디페렐린의 국내 시장 확대에 적극 나설 계획이다. 입센코리아 양미선 대표는 "디페렐린은 조기 사춘기로 고민하는 성조숙증 어린이들과 남성성, 암 치료의 경계에서 고민하는 전립선암 환자들을 위한 글로벌 스탠다드 약제"라며 "입센의 과학적 접근 및 동아에스티의 국내 시장 전문성과 네트워크를 통해 국내 환자들에게 더 가까이 다가갈 것"이라고 말했다. 동아에스티 정재훈 사장은 "입센코리아와의 협력은 디페렐린의 국내 공급 확대와 환자 접근성 향상을 위한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며 "양사의 역량과 전문성이 결합돼 국내 환자들에게 보다 효과적인 치료 옵션을 제공하고 성조숙증 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