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생아실 [연합]](http://www.hmj2k.com/data/photos/20250626/art_17511898915884_b94459.jpg)
분만 의료 이용이 어려운 분만취약지 내 의료기관 운영비 등을 지원하는 사업에도 불구하고 해당 지역의 전체 산부인과 의사 수는 오히려 감소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재정적' 지원만으로는 지역 필수의료를 확충하기 위한 의료인력을 확보하는 데 한계가 있다는 사실이 확인된 것이다.
장원모 서울대병원 운영 서울시보라매병원 공공의학과 교수 연구팀은 분만취약지 지원사업이 시작된 2011년부터 2020년까지 10년간 가임기 여성 1천명 당 산부인과 전문의 수 변화를 분석한 결과를 최근 대한의학회지(JKMS)에 게재했다.
연구에 따르면 분만취약지 지원사업 정책이 시행된 후 가임기 여성 1천명 당 산부인과 전문의 수는 도리어 3.39명 줄었다.
전일제로 근무하는 산부인과 전문의는 0.083명 늘었으나, 시간제 근무 전문의 수가 3.47명 감소하면서 증가분을 상쇄했다.
분만취약지 지원사업 시행으로 시간제로 근무하던 전문의가 전일제로 근무 형태를 전환한 데 그친 것으로 연구팀은 추정했다.
연구팀은 분만취약지에 대한 보조금 등 재정적 지원이 산부인과 전문의와 같은 의료인력을 확보하는데 충분하지 않다는 점을 보여주는 대목이라고 짚었다.
분만취약지 지원사업이 일부 긍정적 변화를 유도하긴 했으나 전반적인 인력 부족은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앞서 의료계에서도 지역 내 필수의료 인력 확충을 위해서는 단순히 재정적 지원을 넘어 열악한 근무 환경과 지역 정주 여건 등을 개선해야 한다고 주장한 바 있다.
연구팀은 "보조금 지급 등에만 의존하면 분만취약지에 산부인과 전문의 등 의료인력의 적절한 공급을 유지하는 데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을 것"이라며 "의료인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해서는 재정적인 부분뿐 아니라 비재정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