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면무호흡증 방치하면 알츠하이머 치매 위험↑"

 코를 골고 자면서 자주 호흡이 끊기는 수면무호흡증(sleep apnea)을 방치하면 알츠하이머 치매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프랑스 캉(Caen) 대학 시세롱센터(Cyceron Center)의 가엘 세텔라 신경심리학 교수 연구팀이 치매 증세가 없는 노인 127명(평균 69세)을 대상으로 2년에 걸쳐 진행한 연구에서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헬스데이 뉴스(HealthDay News)가 25일 보도했다.

 연구팀은 이들에게 휴대용 수면 추적 장치를 착용하게 해 잠잘 때 수면무호흡증이 나타나는지를 관찰했다. 그 결과 이들 중 약 4분의 3이 수면무호흡증으로 확인됐다.

 연구팀은 이와 함께 뇌 신경영상 검사를 통해 치매의 원인으로 알려진 뇌 신경세포의 변형 단백질 베타 아밀로이드 플라크가 나타나는지와 치매와 관련된 뇌 부위들의 활동과 구조에 어떤 변화가 발생하는지를 지켜봤다.

 그 결과 수면무호흡증이 심한 노인은 치매 관련 뇌 부위들에서 베타 아밀로이드 플라크가 증가하는 등 치매를 촉진할 수 있는 변화들이 나타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 결과는 코골이가 심한 노인은 치매 신호나 증세가 없더라도 수면무호흡증을 치료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이 연구결과는 미국 의학협회 저널 신경학(JAMA Neurology) 온라인판에 실렸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혁신신약 비급여에 치료 미루는 암환자들…보험 적용 앞당겨야"
암 환자와 보호자들이 난치성 질환에 대한 혁신 신약의 건강보험 적용을 앞당겨 달라고 한목소리로 요구했다. 한국혈액암협회와 간환우협회는 29일 한국프레스센터 기자회견장에서 한국의바이오기자협회 주최로 열린 '혁신신약 가치 인정의 명과 암, 환자 사각지대 해소 약가제도 개선 방안' 포럼에서 환자·보호자 119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공개하고, 혁신 신약의 건강보험 급여 적용을 통해 생존율과 삶의 질이 개선돼야 한다고 밝혔다. 혁신 신약은 기존 치료제와 다른 작용 메커니즘 등으로 질병을 치료하거나 아예 치료 옵션이 없었던 미충족 수요를 해결할 수 있는 의약품을 의미한다. 체내 면역체계를 활성화해 면역세포가 암세포를 공격하게 하는 개념의 면역항암제가 대표적이다. 의료계에 따르면 2022년 기준으로 우리나라에서 혁신 신약이 식약처 허가를 받은 후 건강보험에 등재되기까지는 평균 608일(약 20개월)이 걸린다. 이는 같은 시기 독일(281일), 일본(301일), 프랑스(311일) 등에 견줘 현저히 긴 기간이다.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66%는 비급여 신약으로 인해 항암 치료를 고민하거나 결정을 미룬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또 87%는 해외에서 이미 사용 중인 '혁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식약처장 "의료기기, AI와 함께 성장…글로벌 시장 선도 지원"
"의료기기 분야는 인공지능(AI)이나 로봇, 가상·증강현실 등 첨단기술이 디지털 기술과 융합하며 성장하고 있습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가 AI 분야를 선도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습니다." 29일 오유경 식약처장은 서울 강서구 코엑스 마곡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제18회 의료기기의 날' 기념식에서 이렇게 말했다. 식약처는 의료기기에 대한 소비자 이해도를 높이고 안전에 대한 중요성을 널리 알리기 위해 의료기기법 제정·공포일인 5월 29일을 '의료기기의 날'로 지정해 매년 기념식을 개최하고 있다. 특히 올해 기념식은 지난 4월 의료기기의 날이 법정기념일로 지정된 이후 개최되는 첫 행사다. 올해 기념식에는 정부·산업계·학계 등 의료기기 관련 종사자 약 250명이 참석했다. 산업발전 및 안전관리 유공자에 대한 포상도 진행됐다. 이날은 총 10점의 훈·포장과 표창이 수여됐다. 세계 최초 배터리 타입의 휴대용 엑스레이 장비를 개발하는 등 의료기기 산업 발전에 기여한 포스콤 박종래 대표이사에게는 은탑산업훈장이 수여됐다. 의료기기위원회 위원장으로 정부와 협업해 의료기기 안전관리 정책 발전에 기여한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손호성 교수는 근정포장을 받았다. 이번 기념식에서는 정송 한국과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