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내 코로나 상담자 65% '불안·우울' 호소

지난해 정신건강 상담 사례 593명 분석

 (수원=휴먼메디저널) 박희수 기자 = 지난해 경기도 정신건강 상담 전화를 이용한 코로나19  상담자 10명 중 6명이 불안·우울 증상을 호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경기도는 지난해 2월부터 12월까지 '경기도 정신건강위기 상담전화'로 코로나19 관련 상담을 한 593명을 분석한 결과, 64.5%인 382명이 불안과 우울 증상을 호소했다고 26일 밝혔다.

  34.5%(204명)는 불안 증상을, 30.0%(178명)는 우울감을, 24.0%(142명)는 분노 증상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 5.1%(30명)는 불면, 3.0%(18명)는 무기력 증상에 시달리고 있었다.

  극단적 선택의 충동을 느낀 상담자도 3.5%(21명)에 달했다.

  상담 내용은 경제문제가 33.9%(201명)로 가장 많았고 외로움·고독 30.0%(178명), 직장 문제 20.9%(124명), 가정 문제 8.1%(48명), 대인관계 문제 5.1%(30명), 학업 문제 2.0%(12명) 순으로 나타났다.

  도는 상담을 통해 발견된 고위험군에 대해 지역 정신건강복지(자살 예방)센터로 심층 상담을 연계하거나 정기적인 상담과 적절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류영철 경기도 보건건강국장은 "보건 방역과 더불어 심리 방역도 세심하게 살피겠다"며 "도움이 필요하면 언제든지 경기도 정신건강 위기 상담 전화(☎1577-0199)를 이용해달라"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美FDA, 코로나19 백신접종 대상 '65세 이상·고위험군' 제한 추진
미국 보건·의약당국이 코로나19 백신 접종 대상을 65세 이상 노령층과 고위험군으로 제한하는 방안을 추진한다고 미 언론이 21일(현지시간) 전했다. 블룸버그 통신과 미 ABC 방송 등에 따르면 식품의약청(FDA)은 향후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65세 이상 또는 기저 질환을 가진 사람들로 제한하기로 하는 계획을 전날 발표했다. 또 FDA의 마틴 마카리 청장과 백신 책임자 비나이 프라사드 박사는 '뉴잉글랜드 의학 저널'에 발표한 글에서 건강한 성인과 어린이·청소년에 대한 코로나19 백신은 제약사들이 장기 위약 대조군에 대한 대규모 임상시험을 하지 않을 경우 승인하지 않을 방침이라고 밝혔다. 미 언론은 이런 백신 규제 방침이 제약사들의 비용 부담을 크게 늘려 새로운 백신 개발에 장벽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지난 몇 년간 코로나19 백신은 변종을 거듭해 왔기 때문에 제약사들은 호흡기 바이러스에 취약한 겨울철을 앞두고 변이 바이러스에 대응하기 위해 백신을 업데이트해왔다. 하지만 FDA 측은 젊고 건강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백신 접종의 경우 위험 대비 효과가 떨어진다고 주장했다. 화이자와 모더나 등 제약사들은 코로나19 백신에 관해 FDA와 논의를 진행 중이라면서 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