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人, 아토피·천식 치료 잘 안되는 이유?.."면역계 교란 때문"

미국 글래드스턴 연구소, 저널 '네이처'에 논문

 보통 아토피성 피부염에 걸린 생쥐에게 면역치료를 하면 증상이 빠르게 호전된다.

 그런데 비만한 생쥐에게 아토피성 피부염이 생겼을 때 같은 치료를 하면 오히려 피부 염증이 더 나빠진다.

 이런 일이 왜 생기는지를 미국 글래드스턴 연구소(Gladstone Institutes) 과학자들이 밝혀냈다.

 비만한 생쥐는 면역계 교란으로 알레르기성 염증을 유발하는 분자 메커니즘이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자들은 비만한 인간에게도 똑같은 현상이 나타난다는 걸 확인했다.

 글래드스턴 연구소의 알렉스 마슨 박사팀이 수행한 이 연구 결과는 30일(현지 시각) 저널 '네이처'(Nature)에 논문으로 실렸다.

 마슨 박사는 현재 글래드스턴 연구소와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대(UCSF)가 공동 설립한 '유전체 면역학 연구소'의 소장직을 맡고 있다.

 이 연구엔 UCSF와 소크 생물학 연구소 과학자들도 참여했다.

 이번 연구는 비만한 사람의 면역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집중 조명했다.

 비만한 사람이 아토피성 피부염이나 천식 등에 걸렸을 때 더 효과적으로 치료하는 길을 열었다는 의미도 있다.

 논문의 수석저자인 마슨 박사는 "먹는 음식과 신체 구성이 달라지면 면역계에 그 여파가 미칠 수 있다"라면서 "면역계와 연관된 질병이 사람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살펴봐야 한다"라고 말했다. 

 비만은 세계 보건 의료계의 심각한 현안으로 부상한 지 오래다.

 오는 2030년이 되면 미국 성인의 절반이 '비만 상태'로 분류될 거라는 암울한 전망도 나왔다. (2019년 12월 미국 '뉴잉글랜드 저널 오브 메디신' 논문 참고)

 비만은 종종 '만성 염증'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과학자들은 비만이 면역계에 변화를 가져오는 경로가 무수히 많을 거로 보고 있다.

 비만한 환자는 단순 감염증부터 암에 이르기까지 질병 경로와 치료 반응이 다른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연구의 최대 성과는, 비만한 사람의 면역계가 구체적으로 어떤 경로를 거쳐 변하는지 밝혀낸 것이다.

 연구팀은 먼저 비만이 분자 수준에서 아토피성 피부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심을 가졌다.

 고지방 먹이로 살찐 생쥐는 마른 생쥐보다 피부염이 훨씬 더 심해지는 경향을 보였다.

 연구팀은 생쥐에게 피부염이 생길 때 어떤 면역세포와 분자가 활성화하는지 분석했다. 그랬더니 비만한 생쥐와 마른 생쥐 사이에서 예상치 못한 큰 차이가 드러났다.

 두 그룹에 동일한 유형의 염증이 나타나더라도 비만 생쥐가 훨씬 더 심할 거라는 게 일반적 예측이었다.

 하지만 비만 생쥐에겐 완전히 다른 유형의 염증이 생겼다.

 다시 말해 비만 생쥐와 마른 생쥐는 염증을 일으키는 '도움 T세포'(helper T cells)의 유형이 서로 달랐다.

 대개 도움 T세포는 염증 방지에 도움을 주지만, 자가면역 질환이나 알레르기 반응에선 과잉 활성화하는 경향을 보인다.

 도움 T세포는 TH1, TH2, TH17 세 그룹으로 나뉘는데 아토피성 피부염은 'TH2 질환'으로 분류된다, TH2가 피부 염증을 일으킨다는 의미다.

 그런데 아토피성 피부염에 걸린 생쥐에겐 TH2가 아닌 TH17이 활성화했다.

 분자 수준에서 볼 때 비만한 생쥐의 아토피성 피부염은 보통의 그것과 완전히 다르다는 걸 시사한다.

 보통 생쥐에게 효과를 보이는 약이 비만한 생쥐에겐 듣지 않을 수 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실제로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제(TH2 억제제) 중 하나를 비만 생쥐에 적용하자 염증이 되레 악화했다. 치료제가 되레 강한 역효과를 보인 셈이다.

 논문의 교신저자 중 한 명인 마슨 교수팀의 사가 바파트 박사는 "쌍둥이가 같은 질병으로 병원을 찾았을 때 한 명은 살쪘고 한 명은 말랐다면 똑같은 약을 쓸 수 없다는 걸 시사한다"라고 지적했다.

 비만이 이렇게 염증에 작용하는 덴 PPAR-감마(gamma) 단백질이 연관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995년 발견된 이 단백질은 지방 세포의 총괄 조절인자 중 하나이며 비만 개선제의 표적이다.

 과학자들이 아토피성 피부염이 생긴 비만 생쥐에 PPAR-감마 활성제(rosiglitazone)를 투여하자 염증이 완화되고 염증의 분자적 특성도 TH17에서 TH2로 돌아왔다.

 이와 함께 마른 생쥐에게만 듣던 TH2 염증 개선제가 비만 생쥐에게도 효과를 보였다.

 바파트 박사의 표현을 빌리면 이는 '비만 생쥐의 체중을 줄이지 않은 채 면역학적으로 지방을 제거한 것'과 다름없다.

 이런 염증의 분자적 특성 차이는 인간에게도 비슷하게 나타났다.

 아토피성 피부염, 천식 등 알레르기 환자 수백 명의 의료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비만한 사람은 TH2 염증보다 TH17 염증 신호가 더 많이 나타났다.

 연구팀이 현재 가장 주력하는 부분은, 염증의 특성을 결정하는 도움 T세포 유형이 어떻게 전환되는지 밝혀내는 것이다.

 그러나 TH2 염증을 표적으로 삼아 비만한 아토피성 피부병 환자에게 PPAR-감마 활성제를 투여하면 좋은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한다.

 이번 연구를 통해 충분히 확인된 것이라고 연구팀은 밝혔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질병청 "新 탄저백신, 기존 독소·부작용 없애…올해 비축 시작"
질병관리청은 국내 개발 신규 탄저 백신이 기존 백신과 달리 독소를 포함하지 않아 안전성이 입증됐다며, 올해 내로 생산과 비축을 시작할 것이라고 14일 밝혔다. 질병청은 ㈜녹십자와 협력해 국내 기술로 세계 최초의 유전자 재조합 단백질 방식 흡착 탄저 백신(배리트락스주)을 개발했고 해당 품목은 지난 8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허가를 받았다. 정윤석 질병청 고위험병원체분석과장은 이날 기자단 대상 브리핑에서 신규 백신에 대해 "기존 백신과 가장 큰 차이점은 백신 주원료인 탄저균의 방어 항원 생산 방식"이라며 "기존에는 탄저균 배양액을 정제하다 보니 미량의 독소가 포함돼 부작용 가능성이 있었지만, 이번에는 독소를 생산하지 않는 균주를 사용, 방어 항원만을 순수하게 만들어냈다"고 설명했다. 질병청에 따르면 이렇게 탄저균의 방어 항원 단백질을 유전자 재조합 기술로 제조, 의약품으로 상용화한 사례는 세계 최초다. 흡입 탄저의 경우 치명률이 97%에 달하는 탄저병은 법정 제1급 감염병으로, 그 균은 생물테러에 악용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김갑정 질병청 진단분석국장은 "1997년 기초 연구에 착수해 30년 가까이 준비한 노력이 결실을 보았다"며 "전량 수입에 의존하던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주말에 몰아서 하는 운동, 건강증진 효과는?…"운동량 충분하면 OK"
운동을 매일 하지 않고 주말에 몰아서 하더라도 당뇨병 유병률이 낮아지는 등 건강 증진 효과는 유사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14일 의료계에 따르면 경희의료원 디지털헬스센터 연동건 교수 연구팀은 질병관리청의 지역사회건강조사(2009∼2022년) 데이터를 토대로 성인 242만8천448만명의 당뇨병과 신체활동의 연관성을 분석해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운동량만 충분하다면 운동 빈도 자체는 큰 영향이 없다는 걸 확인한 것으로, 평일에 규칙적으로 하든 주말에 집중적으로 하든 적절한 운동량만 지킨다면 당뇨병 유병률 감소 효과를 낼 수 있다는 의미다. 연구 결과 세계보건기구(WHO)가 권고하는 '일주일에 75∼150분 중강도 또는 75분 이상의 고강도 운동'을 하는 집단의 당뇨병 유병률은 신체활동을 하지 않는 집단에 비해 16%가량 낮았다. 다만 이 수준까지 운동량이 증가하면 당뇨병 유병률이 떨어지지만, 그 이상으로 운동한다고 해서 추가적인 효과가 크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중강도 운동과 고강도 운동을 WHO 권고량 범위 내에서 적절히 병행하는 게 당뇨병 유병률 감소와 가장 크게 연관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주말에 운동을 집중적으로 몰아서 하는 집단과 평일에 규칙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