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건강검진 때 구강검진 꼭 받아야…두경부암 예방에 도움"

분당서울대병원, 국가검진 40만명 분석결과…"두경부암 발생률 16% 차이"

 국가건강검진 때 구강검진을 받지 않고 일반건강검진만 받은 사람들의 두경부암 발생률이 16% 높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분당서울대병원(이비인후과 정우진 교수, 치과 이효정 교수, 방사선종양학과 엄근용 교수, 가정의학과 이혜진 교수)·서울특별시 보라매병원(방사선종양학과 위찬우 교수) 공동 연구팀은 2003∼2004년 국가건강검진을 받은 40세 이상 40만8천247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구강검진 여부와 두경부암 사이에 이런 연관성이 관찰됐다고 11일 밝혔다.

 두경부암은 우리 몸의 머리(두부)와 목(경부)에서 뇌와 눈, 식도를 제외한 입·코·혀·목·침샘 등에 생기는 악성종양을 가리키는 말로, 후두암과 구강암, 구인두암(구강 뒤쪽의 암), 하인두암(인두 아래쪽의 암) 등이 대표적이다. 국내에서는 연간 약 5천명의 두경부암 환자가 발생한다.

 연구팀은 분석 대상자를 일반건강검진만 받은 24만2천955명과 구강검진을 추가로 선택해 받은 16만5천292명으로 나눠 두경부암 발병 여부를 10년간 추적 관찰했다.

 이 결과 일반건강검진만 받은 그룹에서는 구강검진을 추가로 받은 그룹보다 두경부암 발생률이 16% 높았다. 특히 구인두암과 구강암에서는 이런 차이가 각각 48%, 20%에 달했다.

 연구팀은 구강검진을 함께 하는 경우 치과 전문의가 진단과 설명을 통해 구강위생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음주, 흡연 등의 생활 습관에 대한 교정을 권고함으로써 치아 관리에 더 주의를 기울이게 되고, 결국 두경부암 발생률도 낮아지는 것으로 추정했다.

 분당서울대병원 치과 이효정 교수는 "평소 구강 위생 관리를 잘하면 구강 내 염증이나 인유두종 바이러스 등을 감소시켜 이에 영향을 받는 두경부암 발생 위험도 줄어드는 것으로 볼 수 있다"면서 "구강검진은 현재 국가건강검진에서 추가 비용이 없는 선택사항인 만큼 검진을 장려하는 정책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방사선종양학과 엄근용 교수는 "두경부암은 환자 수도 상당히 많고 증가세도 가파르지만, 환자들의 경각심은 이에 한참 미치지 못한다"면서 "만약 구강검진이 가능한 검진 기관이라면 국가건강검진을 받을 때 꼭 구강검진을 선택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권고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대한암학회가 발행하는 국제학술지 '암 연구와 치료'(Cancer Research and Treatment) 최근호에 발표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추석 연휴 해외여행 급증…지역별 감염병 '맞춤 예방' 필수
추석 황금연휴를 맞아 해외로 떠나는 이들이 늘면서 출국 전 올바른 감염병 예방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지난달 부산의 한 병원에서 서아프리카 지역을 여행 다녀온 남성이 고열과 기력 저하 증세로 병원을 찾았다. 검사 결과, 그는 열대열 말라리아에 걸린 것으로 확인됐다. 이 남성은 출국 전 예방약을 복용했지만, 내성이 있는 말라리아균에 감염돼 상태가 급속도로 악화했고 결국 숨졌다. 추석 연휴를 맞아 해외여행객이 증가하는 시기에는 여행지별 유행 질병과 그에 맞는 맞춤형 예방 조치가 중요하다. 국가나 지역마다 감염될 수 있는 질병이 모두 다르며 수돗물, 벌레, 야생 동물과의 접촉 등 예상치 못한 상황에서 감염될 수 있다. 특히 한국인들이 많이 찾는 동남아시아에서는 A·B형 간염, 장티푸스뿐 아니라 모기 매개 감염병인 말라리아, 뎅기열, 지카 바이러스 등이 활발히 퍼지고 있다. 이정규 부산대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는 "최근 베트남과 몽골에서는 홍역이 유행 중인데, 우리나라 성인 중에는 항체가 없는 경우도 적지 않다"며 "동남아시아에서 소아 치사율 1위인 뎅기열 역시 우리나라에는 없던 병인데 베트남이나 캄보디아에서 걸리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해외 감염병은 현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