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행성 허리디스크 통증, 후천적 유전자 변화 영향"

자생한방병원, 동물실험으로 규명…"새 치료법 개발에 응용 기대"

 자생한방병원 척추관절연구소 홍진영 선임연구원 연구팀은 퇴행성 허리디스크(요추추간판탈출증)로 통증이 만성화되는 과정에 후성유전학적인 영향이 있다는 사실을 동물실험으로 규명했다고 19일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셀즈'(Cells) 최근호에 발표됐다.

 노화를 설명하는 학설 중 하나인 후성유전학은 각기 다른 생활환경에 의해 유전자의 후천적 변화가 발생한다고 보는 이론이다. 처음부터 유전자가 결정돼 수명이 정해진다고 보는 유전적 이론과 대비된다.

 연구팀은 쥐에 퇴행성 허리디스크를 일으키고 나서 4주가 지난 이후부터 디스크의 주요 구성요소인 섬유륜(수핵을 둘러싼 두꺼운 막)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관찰했다.

 이 결과 후성유전학적인 변화 여부를 판별하는 데 사용되는 지표(5mC,TRPV1 단백질)의 발현이 정상 쥐보다 훨씬 두드러졌다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퇴행성 디스크 부위에 후성유전학적인 변화가 가해짐으로써 디스크 통증이 더욱 심해졌다는 것이다.

 홍진영 선임연구원은 "퇴행성 허리디스크에도 후성유전학적 변화가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처음으로 확인한 연구 결과"라며 "향후 후성유전학적인 변화에 관여하는 특정 항체와 효소를 표적으로 한 새로운 치료법을 연구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정은경 복지장관 취임 일성 "국민 중심 의료개혁 추진하겠다"
정은경 신임 보건복지부 장관은 22일 "국민과 의료계가 모두 공감할 수 있는 국민 중심 의료 개혁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정 장관은 이날 취임사에서 "국민에게 필요한 진료를 적시에 제공하고 보건의료체계의 지속 가능성도 확보하겠다"며 이같은 포부를 밝혔다. 그는 "의료인력 수급추계위원회를 도입해 적정 인력 규모에 대한 과학적 추계를 시행하겠다"며 "지역·필수·공공 의료인력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고 충분한 보상도 하겠다"고 말했다. 또 "국립대병원 업무를 복지부로 이관해 지역 내 공공·필수의료 컨트롤타워로 육성하고 환자의 안전성과 편의성 모두를 보장하는 방향으로 비대면 진료 제도화를 추진하겠다"고 덧붙였다. 정 장관은 "장기화한 의정갈등, 지역·필수·공공의료 위기, 초고령화에 따른 돌봄 수요 증가와 세계 최고 수준의 노인 빈곤율과 자살률 등 복지부가 해결해야 할 현안이 산적해 있다"며 "모두가 함께 잘 사는 대한민국을 만들기 위해서는 사회안전망 강화와 국민 건강 증진이라는 복지부 본연의 업무가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한 시기"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 아동수당의 점진적 확대 ▲ 국민·기초연금 내실화▲ 기초생활보장제도 강화 ▲ 상병수당 확대 ▲ 대상별 맞춤형 고독 대

학회.학술.건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