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생제, 염증성 장 질환 '크론병·궤양성 대장염' 위험↑"

 항생제가 염증성 장 질환(IBD: inflammatory bowl disease)인 크론병(CD: Crohn's disease)과 궤양성 대장염(UC: ulcerative colitis) 위험을 높인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

 염증성 장 질환은 면역체계가 대장 또는 소장을 표적으로 오인해 공격함으로써 장 점막에 다발성 궤양과 출혈, 설사, 복통을 일으키는 만성 난치성 장 질환이다. 완화-재발이 반복하며 진행된다.

 염증성 장 질환은 소화기관 전체에서 발생할 수 있지만, 크론병은 대장과 소장이 연결되는 부위에서 발병하는 경우가 많고 궤양성 대장염은 대장에서 발생한다.

 미국 뉴욕 대학 랑곤 건강센터(Langone Health)의 애덤 페이 인구보건학 교수 연구팀이 덴마크의 전국 환자 기록부와 전국 처방 기록부에 등재된 610만4천245명(10세 이상, 여성 50%)의 2000년부터 2018년까지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의학 뉴스 포털 메드페이지 투데이(MedPage Today)가 최근 보도했다.

 이 중 91%가 최소한 한 차례 이상 항생제 치료를 받았다.

 연구 기간에 3만6천107 명이 궤양성 대장염, 1만6천881 명이 크론병 진단을 받았다.

 연구팀은 이 자료를 근거로 포아성 회귀분석(Poisson regression) 방법을 이용, 항생제 노출 후 IBD 발생률을 계산했다.

 그 결과 소화관 내 병원균을 표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니트로이미다졸(nitroimidazoles)계 항생제와 플루오로퀴놀론계(fluoroquinolones)계 항생제가 IBD 위험과의 연관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예를 들어 60세 이상인 경우 니트로이미다졸(nitroimidazoles)계 항생제 사용이 IBD 위험 61% 증가, 플루오로퀴놀론계(fluoroquinolones)계 항생제 사용이 54% 증가와 연관이 있었다.

 이러한 연관성은 모든 연령층에서 나타났다. 다만 10~40세는 28% 높아지는 데 그쳤다.

 좁은 범위 페니실린(narrow-spectrum penicillin) 같은 항생제들도 비교적 약하긴 하지만 IBD 위험과의 연관성이 있었다.

 IBD 위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항생제는 니트로퓨란(nitrofurantoin)계 항생제가 유일했다.

 전체적으로 소화관 내 병원균 치료에 사용되지 않는 것을 포함해 많은 항생제가 장 내 세균총(intestinal microbiome)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항생제 처방 횟수가 늘어날수록 IBD 위험과의 연관성은 더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40~60세는 항생제 치료 횟수가 1회 늘어날 때마다 IBD 위험은 15%씩 높아졌다.

 60세 이상의 경우 항생제 치료 횟수가 5번 이상일 때 IBD 위험은 거의 2배인 95%까지 높아졌다.

 IBD 위험은 항생제 노출 후 1~2년 사이가 가장 높았다.

 40~60세의 경우 항생제 노출 후 1~2년 사이에 IBD 위험이 66%, 4~5년 후는 21%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연령, 성별과 기타 사회경제적, 인구통계학적 요인들을 고려한 것이다.

 이 외에도 장 내 세균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프로톤 펌프 억제제(PPI) 계열의 위산 분비 억제제, 항진균제, 항바이러스제의 사용도 고려했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이 연구 결과는 영국 소화기내과 학회(British Society of Gastroenterology) 학술지 '위장관'(Gut) 최신호에 발표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美FDA, 코로나19 백신접종 대상 '65세 이상·고위험군' 제한 추진
미국 보건·의약당국이 코로나19 백신 접종 대상을 65세 이상 노령층과 고위험군으로 제한하는 방안을 추진한다고 미 언론이 21일(현지시간) 전했다. 블룸버그 통신과 미 ABC 방송 등에 따르면 식품의약청(FDA)은 향후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65세 이상 또는 기저 질환을 가진 사람들로 제한하기로 하는 계획을 전날 발표했다. 또 FDA의 마틴 마카리 청장과 백신 책임자 비나이 프라사드 박사는 '뉴잉글랜드 의학 저널'에 발표한 글에서 건강한 성인과 어린이·청소년에 대한 코로나19 백신은 제약사들이 장기 위약 대조군에 대한 대규모 임상시험을 하지 않을 경우 승인하지 않을 방침이라고 밝혔다. 미 언론은 이런 백신 규제 방침이 제약사들의 비용 부담을 크게 늘려 새로운 백신 개발에 장벽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지난 몇 년간 코로나19 백신은 변종을 거듭해 왔기 때문에 제약사들은 호흡기 바이러스에 취약한 겨울철을 앞두고 변이 바이러스에 대응하기 위해 백신을 업데이트해왔다. 하지만 FDA 측은 젊고 건강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백신 접종의 경우 위험 대비 효과가 떨어진다고 주장했다. 화이자와 모더나 등 제약사들은 코로나19 백신에 관해 FDA와 논의를 진행 중이라면서 젊

메디칼산업

더보기
중기부, 제약바이오벤처 자문단 출범…"급변하는 시장 대응"
중소벤처기업부는 제약바이오 산업 특성을 고려한 실효성 있는 정책 추진을 위해 '제약바이오벤처 자문단'을 출범했다고 밝혔다. 자문단은 제약바이오 기업인과 유관 협회·단체, 중견 제약사, 벤처캐피탈(VC) 등 제약바이오 생태계 핵심 주체들 12명으로 구성했다. 자문단은 급변하는 세계 시장 환경과 기술 트렌드에 대응해 국내 제약바이오 벤처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 방향을 논의하고, 현장 수요에 맞게 전문적인 정책제언을 담당한다. 분기별로 자문위원이 제약바이오벤처 육성정책 방향을 설정하면 월별로 자문위원들이 추천한 실무위원들이 정책기획 방향에 따른 지원정책을 구체화할 계획이다. 구체화한 방안은 다음번 자문단 회의에서 점검해 정책을 빈틈없이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중기부는 지난 19일 대전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에서 자문단 첫 회의를 열고 자문단 운영계획과 제약바이오 중소벤처 육성정책 추진현황, 현장 애로사항 등에 대해 논의했다. 오영주 중기부 장관은 "제약바이오 분야는 개별 기업의 자금 지원만으로는 부족하고 다양한 생태계 구성원 간 협력이 필요하다"며 "자문단의 다양한 제언을 바탕으로 제약바이오벤처 육성정책을 고도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