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알츠하이머병 협회, 치매 7단계 등급으로 분류

 미국 알츠하이머병 협회(AA)와 국립 노화연구소(NIA)는 알츠하이머 치매를 환자의 인지기능 정도와 생리학적 변화에 따라 7단계의 병기(stage)로 분류하기로 했다.

 AA와 NIA는 알츠하이머 치매의 원인으로 알려진 베타 아밀로이드 플라크와 타우 탱글 등 뇌 신경세포 두 가지를 비정상 단백질을 탐지할 수 있는 검사법의 활용도가 높아짐에 따라 경증, 중등도, 중증 등 증상의 경중에 따라 치매 등급을 매긴 2018년 지침을 바꿔 7단계 등급으로 세분화하기로 했다고 로이터 통신이 최근 보도했다.

 치매의 새로운 단계별 분류 작업에 참여한 메이요 클리닉의 치매 영상의학 전문의 클리포드 잭 박사는 치매를 1…7단계로 구분하는 것은 암을 '1, 2, 3…' 병기로 나누는 것이나 다름없다고 설명했다.

 치매 등급은 치매 진행 단계에 따른 특정 생물지표와 인지기능 변화의 정도에 따라 1~7 병기로 나누고 각 단계는 다시 a, b, c, d 등급으로 세분하게 된다.

 1기 이전의 단계로 0기(stage 0)도 추가됐다.

 여기에는 치매 발생 가능성이 매우 높은 치매 위험 변이유전자를 지닌 사람과 성인이 되면 75%가 치매 증상이 나타나는 다운증후군 환자들이 포함된다.

 이 새로운 치매 등급 시스템은 앞으로 전문가들의 견해를 듣는 공청회를 거쳐 필요한 부분은 수정하게 된다.

 알츠하이머병 협회의 과학 담당 최고책임자 마리아 카리요 박사는 치매의 진행 단계에 따라 특정 생물지표가 나타난다는 사실을 이해하게 됨에 따라 치매 단계에 따른 환자별 맞춤 치료의 시대로 들어서고 있다고 말했다.

 이 새로운 치매 등급 시스템은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서 열린 알츠하이머병 협회 국제학술회의에서 발표됐다.

 단계별 증상은 다음과 같다.

<1기> 인지기능은 정상으로 보이지만 뇌에 병리학적 변화가 나타난다.

<2기> 가벼운 인지장애가 나타난다. 대개는 건망증과 구분이 어렵다.

<3기> 경도인지장애(MCI)로 진입한다. 길을 잃거나 올바른 단어를 찾지 못한다.

<4기> 중등도 치매. 단기 기억력이 떨어지고 자신의 지난날 중 일부를 기억하지 못한다.

<5기> 인지기능이 계속 떨어지면서 일상생활 영위에 다른 사람의 도움이 필요하다.

<6기> 중증 치매. 지속적인 감시와 보살핌이 필요하다. 가족과 친구 대부분을 기억하지 못하고 성격이 변한다.

<7기> 죽음이 가까워지고 있다. 운동기능이 떨어지고 소통이 불가능하다. 대소변을 가리지 못하고 밥을 먹여 주어야 한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공부 잘하는 약으로 알려진 '메틸페니데이트' 오남용, 생명 위협도"
모든 약물은 오남용을 유의해야 하지만 학구열 강한 우리나라에서 특히 주의를 요구하는 약이 있다.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ADHD) 치료제로 잘 알려진 '메틸페니데이트'가 그것이다. 메틸페니데이트는 중추신경계에 존재하는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과 교감신경계를 자극해 집중력을 조절하는 노르에피네프린을 증가시키는 약물로 의료용 마약류(향정신성 의약품)에 해당한다. 화학식은 C14H19NO2다. 6세 이상 소아 및 청소년의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등 증상을 나타내는 정신과 질환인 ADHD 치료 등에 활용된다. 복용 시 도파민 등 수치를 높여줘 집중력, 업무 수행 능력 등을 일시적으로 향상하기 때문에 '공부 잘하는 약'으로도 와전돼 있다. 하지만, 이 약을 오남용할 경우 두통, 불면증, 식욕 감소 등 부작용은 물론 심각한 경우 환각, 망상, 자살 시도까지 나타날 수 있다. 또, ADHD 환자가 아닌 사람이 사용할 경우 생산성 향상에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호주 멜버른 대학 신경과 전문의 엘리자베스 바우먼 교수 연구팀은 ADHD 환자가 아닌 사람이 메틸페니데이트 등을 사용하면 문제를 해결하려는 의욕은 높아질 수 있어도 막상 작업 생산성은 감소한다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