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용량 아스피린 장기 복용, 뇌출혈 위험 38%↑"

  저용량 아스피린(100mg)을 매일 수 년 동안 복용하면 뇌내출혈(intracranial bleeding) 위험이 38%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호주 모나쉬 대학의 제프리 클라우드 신경과학 교수와 미국 웨이크 포레스트 대학의 제프 윌리엄슨 노인의학 교수 연구팀이 심혈관 질환이 없는 65세 이상 노인 1만9천114명(평균연령 74세, 여성 56.4%)을 대상으로 진행한 임상시험(ASPREE)에서 이 같은 결과가 나왔다고 헬스데이 뉴스가 최근  보도했다.

연구팀은 이들을 무작위로 두 그룹으로 나누어 한 그룹(9천525명)엔 저용량 아스피린을, 다른 그룹(9천589명)엔 위약(placebo)을 4∼5년 동안 투여했다.

 전체적인 결과는 뇌혈관이 막혀 발생하는 허혈성 뇌졸중(뇌경색) 발생률은 아스피린 그룹이 1.5%, 대조군이 1.7%로 거의 차이가 없었다.

 뇌혈관이 파열돼 발생하는 출혈성 뇌졸중 발생률도 아스피린 그룹이 0.5%(49명)로 대조군의 0.4%(37명)보다 높았다.

 이 결과는 저용량 아스피린의 장기 복용이 뇌경색 위험을 낮추는 효과는 거의 없으면서 뇌내출혈 위험을 상당히 높일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오래전부터 중년 또는 노년기에 들어서면 뇌졸중 또는 심근경색으로 이어질 수 있는 혈전 위험을 줄이기 위해 '베이비 아스피린'이라고 불리는 저용량 아스피린 복용이 권장되어왔다.

 아스피린은 출혈 때 혈액을 응고하는 기능을 지닌 혈소판의 응집을 억제해 혈전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지만 위장 또는 뇌 출혈 같은 내출혈 위험이 높아지는 부작용이 있다. 그래도 실보다는 득이 크다고 사람들은 믿어왔다.

 그러나 미국 심장 협회(AHA)와 미국 심장 학회(ACC)는 최초의 심근경색이나 뇌경색 예방 목적으로는 아스피린 사용을 피하고 전에 심근경색, 뇌졸중을 겪었거나 또는 개심술을 받은 일이 있는 사람만 재발 예방 목적으로 저용량 아스피린을 복용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AHA의 임상과학 담당 최고 책임자인 미첼 엘킨드 박사는 이 임상시험 결과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한 것이지만 AHA를 비롯해 전문 학회들은 연령과 관계없이 모든 사람이 심혈관 질환의 1차 예방 목적으로 아스피린을 사용하지 말도록 권고하고 있다고 밝혔다.

 다만 연령대가 40~70세이면서 심근경색이나 뇌졸중 위험이 매우 높고 아스피린에 의한 내출혈 위험이 낮은 사람은 예외일 수 있다고 그는 덧붙였다.

 예를 들어 매우 강한 심혈관 질환 가족력이 있거나 관상동맥 칼슘 수치가 높아 동맥경화 위험이 있는 사람들이 이에 해당한다고 그는 지적했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 의사 협회 저널 네트워크 오픈에 발표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AI가 돼지 임신도 판정한다…농진청, 세계 최초 프로그램 개발
숙련된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했던 어미돼지 임신 판정을 농가에서도 손쉽게 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AI)을 활용해 돼지의 임신 여부를 확인하는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9일 밝혔다. 돼지의 임신 여부는 일반적으로 인공수정 이후 25일이 지나고 자궁 초음파 영상을 판독하는 방식으로 확인한다. 이 방법은 관리자 숙련도에 따라 임신 판정 정확도나 시기가 달라질 수 있어 전문인력이 부족한 양돈 농가에서는 애를 먹고 있다. 농진청 연구진은 이를 해소하고자 고화질(5MHz) 자궁 초음파 영상 정보를 수집하고 인공지능 학습을 수행해 연산 방식(알고리즘)을 적용한 농가 보급형 돼지 임신 판정 프로그램을 개발했다. 어미돼지의 복부 초음파 영상을 10초 이상 찍은 다음, 이 프로그램을 작동시키면 인공지능이 임신 여부를 신속하게 알려준다. 인공수정 이후 18∼21일은 88.4%, 22∼25일은 95.7%의 판정 정확도를 보여 신뢰성도 확보했다. 농진청은 이 프로그램을 활용하면 영농후계자나 외국인 노동자 등 비전문가도 돼지의 임신 여부를 빠르게 확인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경기도 연천군에서 농장을 운영하는 이창번 대표는 "자궁 초음파 영상 판독을 교육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