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8일 조간)

▲ 경향신문 = 반대 여론 높은 AI 디지털교과서 도입, 서둘지 말라

민주당의 '민생·경제 영수회담' 제안, 윤 대통령도 답하길

안세영이 공개 제기한 '후진적 스포츠 행정' 바로잡아야

'민생 대화' 말문 튼 여야… 입법 성과로 이어져야

▲ 서울신문 = 최저임금 선까지 주저앉은 공무원 봉급

헌재 '10월 공백' 전 탄핵 심리 서둘러야

'약골' 증시 재확인… 금투세 폐지 등 다각 처방을

▲ 세계일보 = 소리만 요란했던 '50억 클럽' 檢 수사, 이렇게 끝낼 건가

폭염 계속되는데 벌써 전력 경고등, 차질 없도록 만전을

'여야정 협의체' 구성 가닥, 민생 법안부터 신속히 처리해야

▲ 아시아투데이 = 금투세 폐지, '코리아 디스카운트' 개선에 큰 도움

우리금융 횡령사고 재발, 언론 보도 외면한 탓

▲ 조선일보 = 장군들 고소장에 담겨 만천하에 알려진 대한민국 군 기밀

'의회, 상생' 삭제, 당 강령까지 이재명 색깔로 바꾸는 민주당

정쟁서 독립된 '여야정 협의체'로 민생 법안만 전담하길

▲ 중앙일보 = 안 그래도 OECD 1위 자살률, 올해 10% 더 늘었다

구글 독점 수술 나선 미국, 아직은 혁신이 더 필요한 한국

▲ 한겨레 = 열사병 중대재해법 첫 기소, '폭염 산재' 경각심 높여야

역사기관 장악한 '뉴라이트', 역사왜곡 정지작업인가

사도광산 '외교 참사', 윤 대통령이 직접 해명하라

▲ 한국일보 = 의혹 남긴 '50억 클럽' 수사 결국 용두사미인가

사도광산 '강제노동' 표현 거부 당하고 성과로 포장한 정부

여야 경제·민생 협치, 지금부터 달려도 늦다

▲ 글로벌이코노믹 = 구글 독점 판결, 경쟁 촉진 계기로

밀 가격 4년 최저…식품 가격은

▲ 대한경제 = 아파트 전기차 충전시설 의무 설치법 시행 더 유예해야

'작업중지권' 활성화… 비용대책 등 보완사항 많아

▲ 디지털타임스 = 송전망 없어 놀고있는 발전소가 7기… 황당 현실 방관할 건가

여야 민생법 처리 모처럼 한 목소리… 만시지탄이나 속도내길

▲ 매일경제 = 115개월째 여행수지 적자…관광객 늘었다고 안주한 결과 아닌가

英 폭력사태 부추긴 SNS 가짜뉴스…한국도 위험하다

이제야 만난 여야 정책위의장, 금투세부터 확실히 해결하라

▲ 브릿지경제 = K-배터리 글로벌 승부수는 '안전성' 강화에 있다

▲ 서울경제 = 기밀 유출 이어 내부 맞고소전…정보기관 기강 다잡아야

與野, 대화 채널 논쟁 접고 '경제 살리기' 실질 대책 논의하라

'AI 피크아웃' 우려에 빅테크 규제까지, 수출 불확실성 대비해야

▲ 이데일리 = 불확실성 커진 하반기 경제, 금리인하 실기하면 안 돼

민주, 대규모 경제 공부 모임 발족… 중요한 건 내용이다

▲ 이투데이 = 정부는 '전공의 미복귀' 전제로 새 골격 짜야

▲ 전자신문 = 티메프 대책 '교각살우' 경계해야

▲ 파이낸셜뉴스 = 증시 체력 더 떨어뜨릴 금투세, 야당 고집 버려야

전력 사용 급증에 대처할 발전소 건설 속히 착수를

▲ 한국경제 = 소멸 위기 한국, 외국인 인재 유치는 불가피한 선택

이번엔 K-2 전차 … 경제안보 시대 첨단기술 유출은 간첩죄로 다뤄야

영수회담 하자는 이재명, 입법 폭주부터 멈춰라

▲ 경북신문 = 한국원자력환경공단, 카드잔치 도마 위?

▲ 경북일보 = 中 저가공세, 지역제조업 보호 대책 세워야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약물 투여 없이 세포 대사 경로 조절해 난치성 뇌종양 치료
국내 연구진이 세포의 대사경로를 조절하는 것만으로도 난치성 뇌종양을 치료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다. 한국연구재단은 고려대 김형기 교수와 가천대 박종휘 교수 연구팀이 외부 약물 투여 없이 교모세포종의 뇌종양줄기세포 내부 대사 경로를 조절하는 방법으로 분화와 사멸을 유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했다고 21일 밝혔다. 교모세포종은 가장 공격적이고 예후가 나쁜 대표적 악성 뇌종양이다. 특히 미분화 상태의 뇌종양줄기세포는 종양의 확산과 재발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기존 외부에서 줄기세포 분화 유도 물질을 투여하는 방식은 정상세포에도 영향을 미쳐 부작용이 크고, 고형암에서는 효과가 제한적이었다. 연구팀은 뇌종양 줄기세포에서 특이적으로 발현되는 'DHRS13 단백질'에 주목했다. 세포 내 미토콘드리아에 주로 존재하는 DHRS13 단백질이 레틴산(retinoic acid)의 축적을 억제해 뇌종양 줄기세포가 미분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DHRS13을 억제하면 세포 내 레틴산이 쌓이면서 사흘 안에 분화가 일어나고, 이후 미토콘드리아 활성산소종이 급격히 증가하면서 구조 손상과 미토파지(미토콘드리아 자가포식)로 이어지면서 세포 사멸이 일어나는 것으로 나타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