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역세포 증식 막아 간암 일으키는 원리 밝혀"

KAIST "종양 미세환경에서 '세포독성 CD8+ T세포' 증식 억제"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의과학대학원 정원일 교수 연구팀이 종양 미세환경에서 '종양 관련 대식세포'(TAM)와 '간 성상세포' 간 상호 작용으로 일어나는 '세포독성 CD8+ T세포'의 증식 억제를 간암 발병의 원리로 제시했다고 9일 밝혔다.

 간암은 암종별 사망 원인(2021년 기준)에서 폐암에 이어 2위로 많다.

 현재 간암 치료에 사용되는 면역관문억제제(체내 면역 시스템을 활성화해 암세포를 공격하는 치료제)는 반응률이 낮아 효과적인 치료 표적이 요구되고 있다.

 대식세포는 종양 미세환경에서 암세포를 제거하는 역할을 하지만 조건에 따라 오히려 암의 성장과 전이를 돕는 종양 관련 대식세포로 바뀌기도 한다.

 연구팀은 이 대식세포들이 활성화된 간 성상세포와 근접해있으며, 서로 상호작용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암세포 침투를 위한 신호 전달 분자인 'CX3CR1 케모카인'을 발현하는 종양 관련 대식세포가 암 주변 조직 내로 이동해 간 성상세포와 상호 작용하는 것을 확인했다.

 이어 활성화된 간 성상세포에서 분비되는 레티노익산이 종양 관련 대식세포의 '아르기나아제 1' 발현을 유도, 아르기닌 대사를 촉진함으로써 세포독성 CD8+ T세포의 증식을 막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포독성 CD8+ T세포는 암세포를 공격해 제거하는 역할을 하는 면역세포로, CD8+ T세포 증식에 필요한 아르기닌이 고갈되면 군집이 감소하면서 간암 발병으로 이어지게 된다.

 정원일 교수는 "간암 종양 미세환경 내 면역세포와 간 성상세포의 상호작용 기전을 대사적 측면에서 처음 규명했다"며 "새로운 간암 치료 표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정종민 박사와 최성은 박사과정이 공동 제1 저자로 참여한 이번 연구 성과는 국제 학술지 '간학'(Hepatology) 지난달 19일 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진료권별 필수의료체계 구축' 법안 복지위 소위 통과
'필수의료 강화 지원 및 지역 간 의료격차 해소에 관한 특별법'(필수의료법)이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위원회를 통과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법안심사제2위소위원회는 지난 23일 소위원회를 열어 필수의료 개념을 명확히 규정하고 이에 대한 국가 차원의 재원 마련 및 지원방안을 담은 특별법(필수의료법)을 의결했다. 법안에 따르면 필수의료는 '적절한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생명·건강에 직접적·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의료 분야 중 국가의 정책적 추진이 필요하다고 보건복지부 장관이 정한 것'으로 정의된다. 보건복지부는 5년마다 실태조사에 기반한 필수의료 종합계획을 세우고 이에 따른 시행계획을 매년 수립해야 한다. 의료 수요·자원 현황에 따라 진료권을 나누고 보건복지부 장관과 시·도지사가 진료권별 진료 협력체계를 구축·운영하도록 하는 내용도 포함됐다. 여야는 기존 발의 법안에 포함됐던 지역의사제 조항은 별도 법안에서 다루기로 했다. 다만 '지역필수의사 등 지역 의료기관에 종사할 의료인력 양성·지원책을 마련한다'는 내용은 이번 특별법에 들어갔다. 복지위는 전날 법안심사제1소위원회에서 전공의 연속수련 시간을 현행 최장 40시간에서 28시간으로 줄이는 내용의 전공의 수련환경 개선법

학회.학술.건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