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기 때 식품 알레르기 있으면 천식 위험 더 크다"

 영아기에 식품 알레르기가 나타나면 유아기에 폐 기능이 떨어지면서 천식 위험이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호주 머독 아동 연구소의 레이첼 피터스 교수 연구팀이 식품 알레르기에 관한 연구로 유명한 '헬스너트 연구'(HealthNuts) 대상 아이 5천276명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미국 과학진흥협회(AAAS)의 과학 뉴스 사이트 유레크얼러트(EurekAlert)가 2일 보도했다.

 이 자료 가운데는 영아 때 시행된 땅콩, 계란 알레르기 진단을 위한 피부 단자 검사 및 식품 경구 유발 시험 결과와 6세 때의 폐 기능 검사 결과가 포함돼 있었다. 연구팀은 이 자료를 이용해 식품 알레르기와 폐 기능 사이에 연관이 있는지를 살펴봤다.

 그 결과 영아기에 식품 알레르기가 나타난 아이는 식품 알레르기가 없는 아이보다 6세 때 천식 진단을 받을 가능성이 4배 가까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아이들은 폐 기능이 저하될 위험도 높았다.

 이는 영아기의 식품 알레르기가 자라면서 없어지든 계속되든 나중 폐 기능 저하와 연관이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폐 기능의 발달은 아이의 신장, 체중과도 관계가 있다. 식품 알레르기가 있는 아이들은 다른 아이들보다 키가 작고 체중도 떨어질 수 있다.

 이는 식품 알레르기가 폐 기능 저하와 연관이 있는 이유를 설명해 주는 것일 수 있다고 연구팀은 지적했다.

 따라서 영아기에 식품 알레르기를 보이는 아이는 성장 상태를 면밀히 관찰하면서 영양 전문가들의 도움을 받아 정상적인 성장에 필요한 영양소를 섭취하도록 보살펴야 할 것이라고 연구팀은 강조했다.

 식품 알레르기 발생률은 영아기가 10%, 유아기와 사춘기는 5%이다.

 이 연구 결과는 영국의 의학 전문지 '랜싯 아동·사춘기 건강' 최신호에 발표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달팽이관 닮은 음향 센서 개발…차량 종류까지 구별
한국연구재단은 고려대 한창수 교수·전은석 박사 연구팀이 사람의 달팽이관을 모사해 주파수 검출까지 가능한 인공 음향 센서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달팽이관은 귀의 가장 안쪽에 위치해 소리의 진동(주파수)을 전기신호로 바꿔 뇌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나선형으로 감긴 달팽이관을 펼치면 내부 관을 따라 아주 얇은 세포 경계막인 기저막이 있는데, 폭이 넓고 얇은 기저부에서 시작해 꼭대기로 갈수록 폭이 좁고 두꺼워지는 기저막의 형상 덕분에 우리는 주파수 대역별로 나눠 다양한 소리를 감지할 수 있다. 이런 생체 기능을 모방해 음향 센서를 개발하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기존 음향 센서는 주파수 대역이 좁고 대역 분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소리를 검출·분석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연구팀은 생체 기저막의 3차원 구조 특징을 효과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 달팽이관의 기저막 형상을 정밀하게 모사하는 데 성공했다. 생체 기저막처럼 방향에 따라 폭이 변하도록 인공 기저막 구조를 설계하고, 나선형 구조를 적용해 면적 대비 길이를 최대한 길게 만듦으로써 주파수 대역을 크게 확장했다. 기저막과 청각신경을 모방해 24개의 압전 센서(압력을 전기로 변환하는 센서) 모듈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