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중 오존 노출, 80세 이상 최고령층 사망위험 높인다"

질병관리청 연구보고서…"연령 세분화해 대처 방안 필요"

 대기 중 오존 노출로 인한 사망 위험도가 전체 연령대 중 80세 이상 최고령층에서 증가한다는 사실을 확인한 연구 결과가 나왔다.

 28일 질병관리청이 펴낸 '한국 초고령 노인에서 폭염한파와 오존이 사망에 미치는 단기적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기후변화로 인한 노령인구의 위험도는 연령대별로 동일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통계청 사망원인 통계에 기반해 2006년 1월부터 2020년 12월까지 지역별 일별 사망자 수를 연령군별로 구분해서 추출·분석했다.

 그 결과 오존 노출에 따른 건강 영향은 80세 이상군에서만 유의미하게 관찰됐다.

 일별 8시간 최고 오존 농도가 1ppb(parts per billion) 증가할 때 80세 이상의 비사고사망은 0.07% 증가했고, 다른 연령대(0∼64세, 65∼79세)에서는 유의미한 변화가 없었다.

 보고서는 "대기 중 오존 노출로 인한 사망 증가는 80세 이상 집단에서만 관찰됐다"며 "노화로 인해 근육·면역이 감소하고 최고령층일수록 환경 변화에 대처하는 인지가 감소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고 설명했다.

 폭염이나 한파 기온에서 건강에 대한 위험도 역시 연령대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연중 기온 중 흔한 날씨이자 건강 위험도가 가장 낮은 온도인 '최소사망온도'를 26℃로 설정하고 저온(-12℃), 고온(33℃)일 때는 상대적인 건강 위험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산출했다.

 65세 미만은 저온에서 상대 위험도 지수가 1.12, 고온에서는 위험도가 1.02인데 65∼79세 연령대에서는 각각 1.09, 1.20으로 고온에서의 위험도가 높아졌다.

 80세 이상 연령군의 상대 위험도는 저온에서 1.12, 고온에서 1.07이었다.

 보고서는 "고온 및 저온으로 인한 부정적 건강 영향에 대한 생태학적 연구는 인과성 설명에 한 계가 있으므로 향후 더욱 정교한 연구가 필요하다"며 "고령자는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가 많으므 로 기후변화가 특정 질환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보고서는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환경보건 정책과 사업에서 기준을 65세로 삼기보다는 70세, 80세 이상을 더욱 취약한 집단으로 설정해야 한다"며 "80세 이상 초고령층을 대상으로 오존과 관련해 더욱 효과적으로 알릴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공부 잘하는 약으로 알려진 '메틸페니데이트' 오남용, 생명 위협도"
모든 약물은 오남용을 유의해야 하지만 학구열 강한 우리나라에서 특히 주의를 요구하는 약이 있다.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ADHD) 치료제로 잘 알려진 '메틸페니데이트'가 그것이다. 메틸페니데이트는 중추신경계에 존재하는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과 교감신경계를 자극해 집중력을 조절하는 노르에피네프린을 증가시키는 약물로 의료용 마약류(향정신성 의약품)에 해당한다. 화학식은 C14H19NO2다. 6세 이상 소아 및 청소년의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등 증상을 나타내는 정신과 질환인 ADHD 치료 등에 활용된다. 복용 시 도파민 등 수치를 높여줘 집중력, 업무 수행 능력 등을 일시적으로 향상하기 때문에 '공부 잘하는 약'으로도 와전돼 있다. 하지만, 이 약을 오남용할 경우 두통, 불면증, 식욕 감소 등 부작용은 물론 심각한 경우 환각, 망상, 자살 시도까지 나타날 수 있다. 또, ADHD 환자가 아닌 사람이 사용할 경우 생산성 향상에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호주 멜버른 대학 신경과 전문의 엘리자베스 바우먼 교수 연구팀은 ADHD 환자가 아닌 사람이 메틸페니데이트 등을 사용하면 문제를 해결하려는 의욕은 높아질 수 있어도 막상 작업 생산성은 감소한다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