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후 우울증, 항우울제로 치료하면 아이 정신건강에 도움"

 산후 우울증을 신세대 항우울제인 선별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로 치료하면 아기의 정상적인 발달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출산 후 4주에서 12개월 사이에 발생하는 산후 우울증은 슬픔, 불안, 극심한 피로 증상이 나타난다.

 심한 경우 태어난 아기를 돌보지 않고 아기를 해칠 수 있으며 자살 생각을 하게 될 수도 있다. 첫 아이를 낳은 여성은 10~15%가 산후 우울증을 겪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영국 킹스 칼리지 런던(KCL) 정신의학·심리학·신경과학 연구소(IPPN)의 케이트 류 박사 연구팀이 노르웨이 대학 연구팀과 함께 '노르웨이 부모-자녀 동일집단 연구' 데이터 중 어머니-자녀 6만1천81쌍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헬스데이 뉴스가 최근 보도했다.

 이 중 어머니 8천671명(14.2%)은 산후 6개월에 산후 우울증 진단을 받았고 그중 177명(2%)에게 산후 우울증 치료를 위해 SSRI 계열의 신세대 항우울제가 처방됐다.

 연구팀은 아이가 생후 1.5년, 3년, 5년 되었을 때 어머니의 우울증과 아이들의 정서장애, 행동장애 검사를 진행했다.

 이와 함께 산후 6개월, 1.5년, 3년에 배우자와의 관계에 관한 어머니의 만족도를 조사했다.

 그 결과 산후 우울증 치료를 위한 SSRI 계열의 항우울제 투여가 아이의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장애(ADHD) 증상을 완화하고 배우자와의 관계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산후 우울증 어머니의 SSRI 항우울제 복용이 자녀의 정서장애, 행동장애, 운동·언어 발달 지연과 연관이 있다는 증거는 발견할 수 없었다.

 오히려 SSRI 항우울제 투여가 어머니의 우울증과 함께 산후 우울증과 관련된 아이들의 행동 장애를 완화할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고 연구팀은 말했다.

 연구팀은 산후 우울증은 질병으로 올바로 인식되지 못하고 따라서 치료도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면서 산후 우울증은 본인과 아기는 물론 가족들에게까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심각한 정신 질환이라고 강조했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 의사 협회 저널 네트워크 오픈(JAMA Network Open) 최신호에 발표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공부 잘하는 약으로 알려진 '메틸페니데이트' 오남용, 생명 위협도"
모든 약물은 오남용을 유의해야 하지만 학구열 강한 우리나라에서 특히 주의를 요구하는 약이 있다.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ADHD) 치료제로 잘 알려진 '메틸페니데이트'가 그것이다. 메틸페니데이트는 중추신경계에 존재하는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과 교감신경계를 자극해 집중력을 조절하는 노르에피네프린을 증가시키는 약물로 의료용 마약류(향정신성 의약품)에 해당한다. 화학식은 C14H19NO2다. 6세 이상 소아 및 청소년의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등 증상을 나타내는 정신과 질환인 ADHD 치료 등에 활용된다. 복용 시 도파민 등 수치를 높여줘 집중력, 업무 수행 능력 등을 일시적으로 향상하기 때문에 '공부 잘하는 약'으로도 와전돼 있다. 하지만, 이 약을 오남용할 경우 두통, 불면증, 식욕 감소 등 부작용은 물론 심각한 경우 환각, 망상, 자살 시도까지 나타날 수 있다. 또, ADHD 환자가 아닌 사람이 사용할 경우 생산성 향상에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호주 멜버른 대학 신경과 전문의 엘리자베스 바우먼 교수 연구팀은 ADHD 환자가 아닌 사람이 메틸페니데이트 등을 사용하면 문제를 해결하려는 의욕은 높아질 수 있어도 막상 작업 생산성은 감소한다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