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요양 수급자 1인당 3.5가지 만성질환…하루 약 8.3개 복용

2022년 장기요양 실태조사 보고서…"재가급여 수급자 40% 독거가구"

  장기요양 수급자들은 고혈압, 당뇨병 등 만성질환을 1인당 평균 3.5개 앓고 있으며, 하루 평균 8.3개의 약을 복용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은 지난해 7월 장기요양 수급자와 기관, 장기요양요원 등 총 1만1천 명을 대상으로 '2022년 장기요양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최근 이같은 보고서를 공개했다.

 노인장기요양보험은 고령 또는 노인성 질병 등의 사유로 혼자 일상생활을 수행하기 어려운 이들에게 신체활동 또는 가사활동 지원 등을 제공하는 제도로, 정부는 법에 따라 3년마다 장기요양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24일 보고서에 따르면 조사 대상 장기요양 수급자의 70.4%가 80세 이상이었으며, 남성이 27.7%, 여성이 72.3%였다.

 조사 시점에 장기요양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수급자는 77.5%였는데, 이용하고 있는 서비스는 방문요양이 53.2%로 가장 많고, 노인요양시설 19.9%, 주야간보호 14.6%, 방문목욕 9.2% 등의 순이었다.

 수급자들은 평균 3.5가지 만성질환을 갖고 있었으며, 23.7%는 5가지 이상의 질환을 한꺼번에 앓고 있었다.

 고혈압(61.3%), 치매(54.4%), 당뇨병(31.7%), 골관절염이나 류머티즘(28.7%) 순으로 많이 보유하고 있었다.

 수급자들은 하루 평균 8.3개의 약을 복용하고 있으며, 15개 이상을 먹는 수급자도 13.2%나 됐다.

 집에서 머물며 방문요양이나 방문목욕, 방문간호 등의 장기요양 서비스를 이용하는 재가급여 이용자들의 40.2%는 홀로 사는 독거가구였다. 자녀동거가구는 31.1%, 부부가구 22.4% 등이었다.

 재가급여 수급자의 8.9%는 지난 1년간 욕창이 발생한 적이 있다고 했다.

 보고서는 "재가급여의 다양화가 요구된다"며 "특히 1인 가구 비중 증가를 고려한 통합재가서비스 확대 등 지원방식 개편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장기요양기관의 적극적인 서비스 질 향상을 위해 인센티브 도입 등을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며 "장기요양 인력 확대를 위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한편 국민건강보험공단의 '2022 노인장기요양보험 통계연보'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장기요양보험 등급을 인정받은 사람은 101만9천여 명으로, 전체 노인 인구의 10.9%였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공부 잘하는 약으로 알려진 '메틸페니데이트' 오남용, 생명 위협도"
모든 약물은 오남용을 유의해야 하지만 학구열 강한 우리나라에서 특히 주의를 요구하는 약이 있다.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ADHD) 치료제로 잘 알려진 '메틸페니데이트'가 그것이다. 메틸페니데이트는 중추신경계에 존재하는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과 교감신경계를 자극해 집중력을 조절하는 노르에피네프린을 증가시키는 약물로 의료용 마약류(향정신성 의약품)에 해당한다. 화학식은 C14H19NO2다. 6세 이상 소아 및 청소년의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등 증상을 나타내는 정신과 질환인 ADHD 치료 등에 활용된다. 복용 시 도파민 등 수치를 높여줘 집중력, 업무 수행 능력 등을 일시적으로 향상하기 때문에 '공부 잘하는 약'으로도 와전돼 있다. 하지만, 이 약을 오남용할 경우 두통, 불면증, 식욕 감소 등 부작용은 물론 심각한 경우 환각, 망상, 자살 시도까지 나타날 수 있다. 또, ADHD 환자가 아닌 사람이 사용할 경우 생산성 향상에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호주 멜버른 대학 신경과 전문의 엘리자베스 바우먼 교수 연구팀은 ADHD 환자가 아닌 사람이 메틸페니데이트 등을 사용하면 문제를 해결하려는 의욕은 높아질 수 있어도 막상 작업 생산성은 감소한다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