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13일 조간)

▲ 경향신문 = 고양지청서 민낯 드러난 검찰 특활비, 이대로 둘 건가

민주당 승리 아니라는 이재명 대표, 혁신·민생 힘 모아야

민심 이반 고개 숙인 여권, 국정·당정관계·협치 새 틀 짜라

▲ 국민일보 = "하마스, 영유아까지 무더기 학살"…더 큰 보복 부를 뿐

김행 후보자 사퇴는 쇄신의 끝 아닌 시작이어야

▲ 서울신문 = 규탄받아 마땅한 中 '탈북 600명' 집단 북송

李 '백현동' 피소…친명 강화는 독이 될 뿐

여당의 활로, 정치 복원과 쇄신 둘뿐이다

▲ 세계일보 = 아시안 게임 끝나자마자 탈북민 북송한 G2 국가의 민낯

'백현동' 추가 기소, 이재명 재판 신속한 진행 촉구한다

여권, 국정 기조 변화·인적 쇄신 없으면 총선 전망도 암울

▲ 아시아투데이 = 탈정치화 한전 2노조, 노동운동 변화 주도하길

강서구청장 선거, 민생 경쟁 계기 삼아야

▲ 조선일보 = 탈북자 북송은 살인, 야만적 중국과 무기력한 정부

이번엔 野 보좌관 가담한 '대선 가짜 뉴스', 黨은 몰랐나

대통령 여당 안 바뀌면 중대 국정개혁 다 물 건너가

▲ 중앙일보 =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무고한 민간인·약자 희생 막아야

여권의 총체적 쇄신과 성찰 없이는 국정 신뢰 회복 어렵다

▲ 한겨레 = 검찰 특활비 의혹, 국정조사·특검 외에 규명 방법 없다

'50년 만기' 대출 정부가 이끌곤, 책임론에 '은행 탓' 발뺌

김행 사퇴, '선거 민심' 따른 국정 쇄신 시작이어야

▲ 한국일보 = 감사원 중간 발표 남발, 정치성 없다 말할 수 있나

김행 사퇴…'마이웨이 국정' 변화 의지 보여야

수원서도 전세 사기 확산, 정부 대책·특별법도 무용지물

▲ 디지털타임스 = 경기 활성화 세수 확대 정공법 外 재정건전성 확보 길은 없다

"마누라·자식 빼고 싹 바꾸라" 여당 향한 국민 명령이다

▲ 매일경제 = 국가채무 1100조 돌파…총선 앞두고 포퓰리즘 안된다

김행 자진사퇴…보선 참패 정부·여당 '분골쇄신' 계속돼야

미국서 처음 열린 한상대회, 한미 경제동맹의 첨병 기대

▲ 브릿지경제 = 정의선 리더십 3년과 '글로벌 톱3' 의미와 과제

▲ 서울경제 = 주담대 또 6.1조 증가…은행 탓 말고 빈틈없이 리스크 관리해야

독선 버리고 상식의 정치 복원해야 민심의 심판 피할 수 있다

벌써 중앙정부 채무 1110조…선거 앞두고 돈 풀기 경쟁 말아야

▲ 이데일리 = 13개월 만의 수출 청신호, 무역수지 흑자로 이어져야

자원개발 역주행…경쟁국 뛸 때 우리는 26개 사업 손절

▲ 이투데이 = 1100조원 돌파한 국가채무…재정 준칙 어디 있나

▲ 전자신문 = 1100조 넘은 나랏빚

해외 사업자, 국내 제도 제대로 이행해야

▲ 한국경제 = 국민 편의 외면한 의료계 기득권 고수, 부끄럽지 않나

민주당과 北, 통일부 협공에 어떻게 이렇게 손발 잘 맞나

기업부채 어느새 2700兆…구조조정 더 이상 미룰 수 없다

▲ 대한경제 = 다주택자 기준 완화해 지방소멸에 대응해야

집권 여당 프리미엄은 민생 챙길 때 따라온다

▲ 파이낸셜뉴스 = 세관 직원이 마약 반입에 가담했다는 게 사실인가

핵심 광물 中 의존 심화, 비상시 피해 극심할 것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복지장관, 자살대응 현장 실무자 간담회…"예방센터 보강"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은 "자살예방센터를 보강하겠다"고 밝혔다. 정 장관은 지난 8일 서울 중구 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 자살 예방 분야 현장 실무자 간담회를 열어 자살 예방 사업 현황과 애로 사항 등을 논의한 뒤 이같이 말했다. 정 장관은 "자살은 조용한 재난"이라며 "고립의 사회에서 연결의 사회로 나아갈 수 있도록 현장의 신속한 위기 대응과 정부의 정책 지원이 함께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자살예방센터는 자살 예방을 위한 교육·홍보, 고위험군 발굴, 자살 시도자 등의 위기 지원, 자살 사망 사후 대응 등의 사업을 수행하는 기관이다. 전국에 255개소가 있지만, 예산 부족 등으로 인해 55개소만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있고 나머지는 정신건강복지센터에 소속된 팀 등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고 한다. 복지부는 자살 사망자 유족에 대한 원스톱 심리·법률·일시 주거·행정 처리 지원 서비스 지역을 9개에서 12개 시도로 확대했으며 전국 확대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배활립 서울 중구 정신건강복지센터장은 "관련 인력이 자살예방센터 1개소당 3.6명으로 열악해 고위험군을 밀착 관리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박준희 서울 노원경찰서 형사와 홍승택 서울시 소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