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6시간 반 자는 한국 노인들…수면 시간과 질 '꼴찌'

 

 한국 노인들의 수면 시간과 수면의 질이 전 세계에서 꼴찌를 다투는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삼성전자 뉴스룸에 따르면 삼성리서치가 건강관리 플랫폼 '삼성 헬스'를 통해 전 세계 17개국 노년층(65세 이상)의 수면 시간을 측정·분석한 결과 우리나라 노년층은 하루 평균 390분(6시간 30분) 자는 것으로 집계됐다.

 국내 노년층의 평균 수면 시간은 전 세계 평균(423분)보다 33분 짧았다. 조사 대상 국가 중 인도(386분)를 제외하면 한국보다 짧은 나라는 없었다.

 노인 수면 시간이 가장 긴 핀란드(459분)보다는 1시간 이상 덜 자는 셈이다.

 전체 평균은 64.9점이었고, 평균 수면 시간이 가장 긴 핀란드(66.3점)가 수면 점수로도 1위에 올랐다.

 수면 시간 최하위권인 한국 노인들이 하루 걷는 시간은 세계에서 가장 긴 것으로 조사됐다.

 우리나라 노년층이 하루 평균 걷는 시간은 60.7분으로 전체 17개국 중 유일하게 1시간을 넘었다.  전체 평균(43.8분)을 거의 17분 상회한 결과로, 걷는 시간이 가장 짧은 브라질(33.2분)의 2배에 육박했다.

 삼성전자의 선행 연구개발(R&D) 조직인 삼성리서치가 10월 '노인의 달'을 맞아 진행한 이번 조사는 한국 외에 미국, 일본, 독일, 영국, 인도네시아 등 17개국의 삼성 헬스 사용자 기록을 토대로 산출됐다.

 한편, 삼성전자가 전 세계 삼성 헬스 사용자의 데이터 7억1천600만 개를 토대로 분석해 이날 별도로 공개한 '수면 건강 연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6월부터 올해 5월까지 1년간 조사 대상자의 하루 평균 수면 시간은 6시간 59분으로 1년 전(7시간 3분)보다 4분 줄어들었다.

 이는 미국 국립수면재단(NSF)의 최소수면 권장 시간(7시간)을 밑돈 것으로,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 지역의 평균 수면 시간이 6시간 34분으로 가장 짧았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공부 잘하는 약으로 알려진 '메틸페니데이트' 오남용, 생명 위협도"
모든 약물은 오남용을 유의해야 하지만 학구열 강한 우리나라에서 특히 주의를 요구하는 약이 있다.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ADHD) 치료제로 잘 알려진 '메틸페니데이트'가 그것이다. 메틸페니데이트는 중추신경계에 존재하는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과 교감신경계를 자극해 집중력을 조절하는 노르에피네프린을 증가시키는 약물로 의료용 마약류(향정신성 의약품)에 해당한다. 화학식은 C14H19NO2다. 6세 이상 소아 및 청소년의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등 증상을 나타내는 정신과 질환인 ADHD 치료 등에 활용된다. 복용 시 도파민 등 수치를 높여줘 집중력, 업무 수행 능력 등을 일시적으로 향상하기 때문에 '공부 잘하는 약'으로도 와전돼 있다. 하지만, 이 약을 오남용할 경우 두통, 불면증, 식욕 감소 등 부작용은 물론 심각한 경우 환각, 망상, 자살 시도까지 나타날 수 있다. 또, ADHD 환자가 아닌 사람이 사용할 경우 생산성 향상에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호주 멜버른 대학 신경과 전문의 엘리자베스 바우먼 교수 연구팀은 ADHD 환자가 아닌 사람이 메틸페니데이트 등을 사용하면 문제를 해결하려는 의욕은 높아질 수 있어도 막상 작업 생산성은 감소한다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