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리통, 심혈관 질환 위험과 관계있다"

 생리통이 심혈관 질환 위험과 연관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마운트 시나이 디지털 건강 연구소(HPI-MS) 인공지능·인간건강 연구실의 유제니아 알레바 교수 연구팀이 50세 이하 여성 5만5천800명의 전자 건강기록을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메디컬 뉴스 투데이가 최근 보도했다.

 이들 중 3만500명은 생리통 진단을 받았다.

 전체적으로 생리통을 겪는 여성은 생리통이 없는 여성보다 허혈성 심장질환 위험이 2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생리통을 겪는 여성은 현재 또는 장기간 허혈성 심장질환 위험이 2배, 협심증 위험이 3배 이상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협심증은 심장 근육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이 좁아진 상태에서 계단을 오르거나 운동을 하는 등 힘든 일을 했을 때 심장이 압박을 받아 흉통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연구팀은 생리불순도 심혈관 질환 위험 요인으로 알려지고 있다면서 이는 생리가 여성의 전반적인 건강, 특히 심혈관 건강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라고 연구팀은 설명 했다.

 이 연구 결과에 대해 프로비던스 세인트 존스 헬스 센터의 심장전문의 니톨 웨인버그 박사는 여성의 호르몬 변화가 심혈관 질환과 연관이 있다는 연구 결과들이 많지만 대부분 폐경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면서 그 이전의 생리 관련 병력도 심혈관 건강 위험 요인이 될 수 있음을 이 연구 결과는 보여주고 있다고 논평했다.

 이 연구 결과는 오는 11일부터 필라델피아에서 열리는 미국 심장 협회(AHA) 연례 학술회의에서 발표될 예정이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신경세포 파킨슨병 환자 뇌에 이식해 안전성과 증상 개선 효과 확인
일본 연구팀이 유도만능줄기세포(iPS)로 만든 신경세포를 파킨슨병 환자의 뇌에 이식해 안전성과 함께 증상 개선 효과를 확인했다고 요미우리신문 등 현지 언론이 18일 보도했다. 교토대iPS세포연구소의 다카하시 준 교수 등 연구팀은 2018년부터 파킨슨병 환자 7명의 뇌에 건강한 사람의 iPS로 만든 신경세포를 각각 500만∼1천만개 이식한 결과 안전성에 문제가 없는 것을 확인했다. 특히 안전성만 조사한 환자 1명을 제외하고 치료 효과를 평가한 6명은 이식 세포에 의한 도파민 생성이 모두에게서 확인됐으며 이 가운데 4명은 운동 기능 등 증상이 개선됐다. 이번 임상시험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에도 게재됐다. 다카하시 교수는 "환자의 증상 개선을 확인할 수 있었던 것은 큰 수확"이라고 밝혔다. 연구팀은 이번에 개발한 치료 기술을 제품화해 대형 제약사인 스미토모파마와 손잡고 1년 이내에 제품 제조 판매 승인을 신청할 계획이다. 알츠하이머처럼 고령자에게 주로 발생하는 파킨슨병은 신경세포가 줄면서 손발이 떨리거나 몸이 경직되는 퇴행성 질환으로, 현재 근본적인 치료법은 없고 도파민 분비를 촉진하는 약으로 증상을 억제하는 수준에 머물러있다.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