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구성 높인 누에 천연 단백질로 인공판막 만든다"

세브란스병원·연세대 연구진…'실크 피브로인' 활용 가능성 확인

 나방의 유충인 누에의 천연 단백질로 안전성과 내구성을 함께 갖춘 인공 판막을 만들 가능성을 국내 연구진이 찾아냈다.

 세브란스병원은 이 병원 소아심장과 정세용 교수와 연세대 화공생명공학과 홍진기 교수 공동 연구팀이 천연 단백질 실크 피브로인(silk fibroin)을 심장판막질환 환자를 위한 인공 판막 제작에 활용할 가능성을 확인했다고 26일 밝혔다.

 연구팀은 실크 피브로인의 엉킴 현상을 극대화해 심장판막 모양을 만든 뒤 성능을 평가했다. 실크 피브로인은 누에가 만드는 질긴 실을 구성하는 섬유 형태의 단백질로, 무색·무취하며 인체에 무해하다.

 연구팀이 만든 인공 판막에 실제 심장의 박동과 비슷한 압력을 가하는 등의 방법으로 내구성을 확인한 결과, 일반적인 천연 실크로 만든 판막에 비해 강도가 13.8배, 탄성도가 10.1배 높았다.

 인공 판막은 현재 금속으로 만든 기계 판막과 소나 돼지 등 동물의 판막으로 만든 동물 조직 판막이 사용되고 있다.

 기계 판막을 사용하면 혈전이 잘 발생해 피가 굳는 것을 막는 항응고 요법을 평생 받아야 하고 출혈로 인한 합병증 위험성이 크다. 동물 조직 판막의 경우에는 판막 기능 부전(저하)이 발생할 위험 때문에 재수술 또는 시술을 받아야 하는 단점이 있다.

 정세용 교수는 "후속 실험을 통해 반복적인 수술 등으로 고통받는 판막 질환 환자들의 편의성과 안정성을 높이겠다"며 "동물을 기반으로 하는 판막 제작 사용을 줄일 수 있어 환경에도 좋은 영향을 줄 것"이라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신소재 분야 세계적 권위 학술지 어드밴스드 펑셔널 머터리얼즈(Advanced Functional Materials, IF 19.0) 최신 호에 실렸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미·유럽서 모기 매개 감염병 웨스트나일열 발생…"여행자 주의"
질병관리청은 미국, 유럽에서 모기 매개 감염병 웨스트나일열이 발생했다며 여행시 주의해야 한다고 8일 밝혔다. 웨스트나일열은 '웨스트나일 바이러스'에 감염된 매개 모기에 물려 감염된다. 감염시 70~80%에게는 무증상이거나 발열, 두통, 전신 통증, 관절통, 구토, 설사, 발진 등 가벼운 증상이 나타나며 대부분 자연 회복된다. 다만 감염된 사람 중 신경계 감염을 일으킨 경우 10% 치사율이 나타나므로 고령자, 만성질환자, 장기이식 환자 등은 각별히 조심해야 한다. 특히 감염된 사람의 수혈, 모유 수유 등으로 전파될 가능성도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이 감염병은 중동, 미국, 동유럽, 아프리카, 서아시아 등에서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데, 올해는 이스라엘에서 6월 이후 감염자가 늘어 지난 6일까지 796건의 감염이 발생했다. 지난 6일까지 미국에서는 네바다주 등 24개 주에서 103건이 발생했으며 유럽에서는 지난달 31일까지 그리스와 이탈리아 등에서 27건 발생이 보고됐다. 한국에서는 2012년 해외유입 감염 사례 보고 후 추가 발생은 없었다. 웨스트나일열의 매개 모기인 빨간집모기와 지하집모기가 서식 중이지만 국내에서 감염된 사례는 1건도 없다. 예방을 위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