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들 인지 발달, 장내 미생물과 연관 있어"

  장내 특정 미생물이 아이들의 인지 발달과 연관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웰즐리(Wellesley) 대학의 반야 클레팍-세라이 생명과학 교수 연구팀이 '환경이 아동 건강에 미치는 영향'(ECHO) 연구의 일환으로 진행된 동일집단 연구(RESONANCE) 대상 아동 381명(생후 18개월~10세)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메디컬 익스프레스(MedicalXpress)가 최근 보도했다.

 연구팀은 이 아이들이 10세가 될 때까지 연령 적합 인지기능 평가를 여러 차례 시행했다. 평가 1주일 전에 분변 샘플을 채취해 장내 미생물 집단에 대한 분석도 진행했다.

 전체적으로 나이가 올라가면서 장내 미생물 집단이 더욱 다양해진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알리스티페스 오베시(Alistipes obesi)와 블라우티아 웩슬레라레(Blautia wexlerae) 같은 미생물들이 다양해지고 유박테리움 엘리겐스(Eubacterium eligens)와 피칼리박테리움 프로스니치(Faecalibacterium prausnitzii) 같은 단쇄 지방산 분비 종들이 많아지면서 인지기능 점수가 올라갔다.,

 반면 인지기능 성적이 낮은 아이들은 루미노코쿠스 그나부스(Rumonococcus gnavus) 같은 미생물들이 많았다.

 이 결과는 소아기 장 건강의 중요함을 보여주는 것이며 따라서 어려서부터 식생활과 생활 습관 관리가 필요하다고 연구팀은 강조했다.

 최근 장내 미생물이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알츠하이머 치매, 파킨슨병, 우울증 등 신경 발달 장애와 연관이 있다는 연구 결과들이 나오고 있다.

 이는 장과 뇌 사이에 신호 전달 경로가 존재한다는 장-뇌축(gut-brain axis) 이론을 뒷받침하는 것이다.

 장-뇌축 이론은 장내 박테리아의 세포에서 떨어져 나온 부산물들이 혈액을 타고 돌면서 뇌 기능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장-뇌축은 최근 민감한 연구 분야 중 하나로 떠오르고 있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 과학진흥협회(AAAS) 학술지 '과학 발전'(Science Advances) 최신호에 발표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전공의 없는 병원 '새그림' 나온다…'전공의 없이 상급종합병원 운영
하반기 모집을 통해서도 대다수 전공의가 돌아오지 않을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정부가 전공의 없이도 상급종합병원이 운영되도록 하는 구조 전환 방안을 내달까지 확정한다. 의대생들까지 내년도 의사 국가시험(국시)에 10% 남짓만 원서를 접수함에 따라 신규 의사 배출이 사실상 중단될 것으로 보여 정부는 전공의 비중을 확 줄인 의료체계 구축에 속도를 낼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정부는 전공의 인력에 과도하게 의존하며 몸집을 키워온 상급종합병원을 전문의 중심으로 바꿔 중증·응급 진료에 집중하게 할 방침이다. ◇ 하반기 복귀 전공의 적을 듯…'예비 의사' 의대생도 국시 보이콧 28일 정부와 의료계 등에 따르면 오는 9월부터 수련을 시작하는 전공의 하반기 모집이 이달 31일까지 진행된다. 전공의 수련 관련 사항을 결정하는 보건복지부 심의기구인 수련환경평가위원회(수평위)가 정한 하반기 전공의 모집 인원은 7천645명이다. 정부가 9월 수련에 지원할 경우 전문의 자격 취득이 늦어지지 않도록 특례를 적용하기로 했으나 하반기 모집에 지원할 전공의는 극소수에 그칠 것으로 예상된다. 전공의 대다수는 수련병원에 돌아오기보다 일반의로서 개원가로 나가거나 입대 등 다른 길을 선택할 것으로 보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스마트폰 중독, 자녀로 전이된다"…중독 부모 둔 자녀 78% 중독
스마트폰 중독이 부모에게서 자녀로 전이된다는 사실이 연구를 통해 확인됐다. 부모가 스마트폰 의존도가 높으면 자녀도 스마트폰 사용이 지나쳐 일상생활에 장애가 있거나, 없으면 불안해하는 등의 문제가 있는 경우가 80% 가까이 됐다. 28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보건사회연구' 최근호에 실린 '부모의 스마트폰 의존도와 자녀의 스마트폰 의존도의 전이관계'(김소연 외) 논문에 따르면 초등학교 6학년 어린이와 부모의 스마트폰 의존도가 갖는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이렇게 분석됐다. 연구팀은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한국아동 청소년 패널 조사의 3차년도 데이터 중 스마트폰 관련 문항에 응답한 초등학교 6학년생 2천229명과 이들의 부모(어머니 2천51명, 아버지 178명)를 스마트폰 저의존형, 평균형, 고의존형으로 분류했다. 스마트폰 의존 정도는 ▲ 스마트폰의 지나친 사용으로 업무능률(학교성적)이 떨어진다 ▲ 스마트폰을 사용하느라 일(공부)에 집중이 안된 적이 있다 ▲ 스마트폰을 사용하지 못하면 온 세상을 잃은 것 같은 생각이 든다 ▲ 스마트폰이 없으면 안절부절못하고 초조해진다 ▲ 스마트폰 사용에 많은 시간을 보내는 것이 습관화됐다 등 15개 질문에 대한 4점 척도(전혀 그렇지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