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생제 내성 '슈퍼박테리아' 잡는 새 항생제 개발됐다"

스위스 제약사 로슈-美 하버드대, '조수라발핀' 내놓아
현재 1차 임상시험 중…상용화까지는 수년 걸릴 듯

  강력한 항생제를 써도 죽지 않는 항생제 내성균, 이른바 '슈퍼박테리아'를 치료하는 새로운 항생제가 개발됐다고 미국 CNN 방송이 최근 보도했다.

 스위스의 글로벌 제약사 로슈와 미 하버드대 연구진은 자신들이 개발한 항생제 '조수라발핀'이 항생제 카바페넴에 내성이 있는 카바페넴 다제내성균(Carbapenem-resistant Acinetobacter Baumannii·CRAB)을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내놓았다.

 이들의 연구 내용은 세계적 과학저널 네이처에 실렸다.

 미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 따르면 CRAB은 폐와 요로, 혈액에 심각한 감염을 일으킨다.

 CRAB은 또 아시아·중동 지역을 중심으로 많이 퍼져 세계적으로 중환자실 내 감염 사례의 최대 20%를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게다가 치료가 매우 까다로워 미 식품의약청(FDA)에서 지난 50여년간 CRAB을 치료하는 항생제가 승인받은 사례가 전무했다.

 2022년 의학저널 랜싯에 실린 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CRAB이나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MRSA)과 같은 내성균은 2019년 세계적으로 약 130만명의 사망을 초래, 에이즈를 일으키는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에 따른 사망자 약 86만명, 말라리아에 의한 사망자 64만명을 앞섰다.

 또한 미국에서는 내성균 감염 사례가 매년 280만 건 이상, 사망자가 3만5천명 이상이라고 CDC가 2019년 보고서에서 전했다.

 연구진은 조수라발핀이 100여종의 CRAB 샘플을 상대로 효과를 나타냈다고 밝혔다.

 또 CRAB 감염으로 폐렴을 앓는 쥐에 조수라발핀을 투여한 결과 균 수치가 상당히 낮아졌고 패혈증에 따른 폐사도 막았다고 전했다.

 조수라발핀은 현재 인체 안전성 등을 확인하기 위해 1차 임상시험을 거치고 있어 실용화까지는 최소한 수년이 더 걸릴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번 연구에 참여하지 않은 세사르 드라 푸엔테 미 펜실베이니아대 교수는 조수라발핀이 매우 유망한 항생제라고 CNN에 평가했다.

 다만 조수라발핀의 약점은 CRAB 등 특정한 세균만 죽인다는 점이라고 연구진은 밝혔다.

 이에 대해 드라 푸엔테 교수는 여러 항생제가 사람에게 이로운 세균까지 죽이는 데 비하면 특정 세균에만 작용하는 항생제가 오히려 전체적인 보건에는 나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미·유럽서 모기 매개 감염병 웨스트나일열 발생…"여행자 주의"
질병관리청은 미국, 유럽에서 모기 매개 감염병 웨스트나일열이 발생했다며 여행시 주의해야 한다고 8일 밝혔다. 웨스트나일열은 '웨스트나일 바이러스'에 감염된 매개 모기에 물려 감염된다. 감염시 70~80%에게는 무증상이거나 발열, 두통, 전신 통증, 관절통, 구토, 설사, 발진 등 가벼운 증상이 나타나며 대부분 자연 회복된다. 다만 감염된 사람 중 신경계 감염을 일으킨 경우 10% 치사율이 나타나므로 고령자, 만성질환자, 장기이식 환자 등은 각별히 조심해야 한다. 특히 감염된 사람의 수혈, 모유 수유 등으로 전파될 가능성도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이 감염병은 중동, 미국, 동유럽, 아프리카, 서아시아 등에서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데, 올해는 이스라엘에서 6월 이후 감염자가 늘어 지난 6일까지 796건의 감염이 발생했다. 지난 6일까지 미국에서는 네바다주 등 24개 주에서 103건이 발생했으며 유럽에서는 지난달 31일까지 그리스와 이탈리아 등에서 27건 발생이 보고됐다. 한국에서는 2012년 해외유입 감염 사례 보고 후 추가 발생은 없었다. 웨스트나일열의 매개 모기인 빨간집모기와 지하집모기가 서식 중이지만 국내에서 감염된 사례는 1건도 없다. 예방을 위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