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16일 조간)

▲ 경향신문 = 플랫폼·특고 노동 보호, '노동자 인정'이 우선이다

총수 피해가려는 '김범석 쿠팡' 꼼수, 공정위 또 눈감았다

국민 갈라치기만 하는 윤 대통령, 정책 반대가 적인가

▲ 서울신문 = 흠결 점입가경 오동운, 공직수사 이끌 수 있겠나

巨野 국회 독식, 협치와 거리 멀다

의정 갈등 해결 절박하나 원칙은 잃지 말아야

▲ 세계일보 = 사람과 똑같은 AI까지 등장, '기본법'조차 없는 우리 현실

아내 운전기사에 정치 후원금이라니… 공수처장 자격 있나

의장 후보 "明心이 民心" 궤변까지… 일극 체제 우려스럽다

▲ 아시아투데이 = 변호사 출신 국회의원 당선인 전력, 공개 검증돼야

거대야당의 反헌법적 '대통령 무력화' 개헌 추진

▲ 조선일보 = 전셋값 51주 연속 상승, 손 놓고 있으면 집값으로 옮겨붙는다

연금 개혁 '내는 돈' 13% 합의만이라도 먼저 처리하라

국가 서열 2위를 이런 식으로 뽑아도 되나

▲ 중앙일보 = 부인을 운전기사 채용했다는 공수처장 후보자, 사실인가

개헌, 필요하지만 정략적 접근으론 안 된다

▲ 한겨레 = 끝내 사익편취 규제 피해간 쿠팡, 모니터링 더 강화해야

민생토론회 재개 윤 대통령, 야당 협조 얻을 방안 있나

채 상병 수사 외압도 갈수록 뚜렷, 더 이상 '방탄' 안 된다

▲ 한국일보 = '3000명 증원' 제안했다고… 좌표 찍고 때리는 과격 의사들

당정 "공정·상식 무너졌다" 소장파 반성문 새겨들어야

미, 중국 전기차에 관세폭탄… 현대차 반사이익 반길 때 아냐

▲ 글로벌이코노믹 = 글로벌 반도체 주도권 잡으려면

금 신고가 경신한 중국 개미의 힘

▲ 대한경제 = 조달청의 심의제도 개선, 기술형 입찰 새바람 기대한다

투자자 기대에 크게 미흡한 홍콩 ELS 분쟁조정안

▲ 디지털타임스 = '대통령 거부권' 제한하겠다는 巨野, 독재의 길 가겠다는건가

가열되는 美中 관세전쟁… 강 건너 불구경 말고 만반 대비를

▲ 매일경제 = 22대 당선자 절반 "상속세 완화 찬성"… 개원 즉시 법개정을

美-中 관세전쟁, 강 건너 불구경할 때 아니다

인간에 더 가까워진 생성형AI, 우리는 준비됐나

▲ 브릿지경제 = 중기부 딥테크 '창업-BuS'가 가야 할 방향

▲ 서울경제 = 북중러 밀착 가속, 한중일 정상회의서 中 건설적 역할 촉구해야

경제 발목 잡는 정치 리스크 해소 못하면 미래 없다

AI 패권전쟁…'3대 강국 도약' 구호를 행동으로 옮겨라

▲ 이데일리 = 위협받는 국회의장의 중립성 의무… 민주, 이래도 되나

집값 더 올린 양도세 중과세, 언제까지 더 놔둘 건가

▲ 이투데이 = 낡고 빛바랜 규제망에 'K팝' 하이브 담은 공정위

▲ 전자신문 = 日정부, 말 바꿔선 안 된다

▲ 파이낸셜뉴스 = 3천명 증원 요청한 병원협의회 신상 터는 의사들

美中 관세 전쟁, 분야별 이해득실 잘 따져 대처를

▲ 한국경제 = 다시 폐지되는 사전청약 … 잘못된 정책은 피해자 만든다

野 돌연 "25만원 선별 지원도 가능" … 슬쩍 후퇴보다 철회가 정답

공정위 일감 때문에 대기업집단 지정제 폐지 안 하나

▲ 경북신문 = 이철우, 대한민국 저출생 극복정책 선봉장

▲ 경북일보 = 독도를 반일 정치선동의 도구화하지 말라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긴 연휴에 아이 열나면?…부모가 꼭 알아야 할 대처요령
올해 추석 연휴는 개천절과 임시공휴일, 한글날이 이어지면서 무려 1주일의 황금연휴가 됐다. 가족과 함께 오랜만에 여유를 만끽할 기회지만, 어린 자녀를 둔 부모라면 긴 연휴가 마냥 반갑지만은 않다. 낯선 지역을 방문하거나 문을 여는 병원을 찾기 어려운 상황에서 아이가 갑자기 열이라도 나면 당황하기 쉽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이런 때일수록 불안해하기보다 차분하게 아이의 상태를 살피고, 연휴 전 미리 방문할 지역의 응급 의료기관을 확인해두는 게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 아이 발열은 정상 면역반응…"잘 먹고 잘 자면 해열제 불필요" 발열은 바이러스나 세균이 몸에 침투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정상적인 면역반응으로, 체온이 38도 이상일 때를 말한다. 39∼40도 이상이면 고열로 분류된다. 발열 자체가 곧 위험 신호는 아니다. 아이가 열이 있으면서도 평소처럼 잘 먹고, 잘 놀고, 잘 자는 상태라면 지켜보는 것으로 충분하다. 다만, 만성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열로 인해 질환이 더 악화할 수 있는 만큼 해열제를 먹여야 한다. 발열 후에는 아이의 전신 상태를 꼼꼼히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 기침, 가래, 천명, 쌕쌕거림 등의 증상이 동반되면 폐렴이나 모세기관지염을, 다른 증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