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주요 신문 톱뉴스](12일 조간)

▲ 경향신문 = '두 동강'난 국회 민의를 외면하다

▲ 국민일보 = 입법독주 현실화 의회정치 무력화

▲ 매일일보 = 민주 '의회 1당독재' 尹 아무것도 못한다

▲ 서울신문 = 독선과 무능, 공멸의 정치

▲ 아시아투데이 = 나홀로 국조·청문회… 巨野의 '국회 독재'

▲ 일간투데이 = 모비에이션 '본에어' 서비스 공개

▲ 조선일보 = "이재명에게 보고" 진술 신빙성 인정

▲ 중앙일보 = 공장닫고 '파산법원' 줄섰다 중기 10곳 중 3곳 신용 위험

▲ 한겨레 = 권익위, 김건희 명품백 제공자 조사도 안 했다

▲ 한국일보 = 민주당 입법 독주… '정치 파행'의 전주

▲ 글로벌이코노믹 = 혁신 빠진 애플AI "삼성전자 웃는다"

▲ 대한경제 = "선도지구 첫차 타자"… 주민동의율 전쟁

▲ 디지털타임스 = 巨野 '독재국회'에 벌벌 떠는 기업들

▲ 매일경제 = 소상공인 88% "최저임금 차등적용을"

▲ 브릿지경제 = 제네시스 전기차 '쇼크'… 한달 169대 팔렸다

▲ 서울경제 = '상폐用 공개매수' 벌써 작년건수 훌쩍

▲ 아시아타임즈 = 유럽 견제에 늑장 지원… K-방산 시련

▲ 아주경제 = 더 팍팍해진 삶… 세탁소 끊고 택시도 안 탄다

▲ 에너지경제 = 투르크 '가스전·플랜트' 협력 尹, 60억달러 수주 물꼬 텄다

▲ 울산경제 = 울산, 때이른 무더위에 이틀째 '폭염주의보' 산업계 '피해 제로' 총력

▲ 이데일리 = 반값 임대… 아이 낳을 용기 북돋웠다

▲ 이투데이 = 한강뷰 '불변의 가치' 집값 年10% 뛰었다

▲ 전자신문 = 모바일 신분증 선점 은행 vs 빅테크 각축

▲ 파이낸셜뉴스 = 3나노 열세 삼성전자 갤럭시 칩 수율 사활

▲ 한국경제 = '물가 반영'한 공사비 증액 가능해진다

▲ 전국매일 = 지자체장, 극심한 재난시 '재난선포' 가능해진다

▲ 경기신문 = 도의회 윤리특위, 권한 쥐고 '제 식구 감싸기' 논란 초래

▲ 경기일보 = 셔터 내린 '케이파츠'… 내팽개쳐진 도민 권익

▲ 경인일보 = 국가에 헌신 무색한 '토사구팽' 은퇴견

▲ 기호일보 = 인천 72개 공공기관 3단계로 헤쳐모여

▲ 신아일보 = 독주하는 野 22대 국회 속수무책 與 최악의 첫단추

▲ 인천일보 = 쌓여가는 빚 … 잃어가는 빛

▲ 일간경기 = 김동연 "대북전단 살포, 단호 대처"

▲ 중부일보 = 남북협력기금 쌓이는데 '곳간은 텅텅'

▲ 현대일보 = "경기도, 외국 의료관광객 유치 적극 나서라"

▲ 강원도민일보 = 첨단산업 인재양성 시급한데 도내 대학 엇박자

▲ 강원일보 = "AI시대, 반도체·미래차 산업으로 대도약"

▲ 경남도민신문 = 통영에 대규모 해양관광단지 조성한다

▲ 경남도민일보 = 노동계 '대형마트 일요일 의무 휴업' 법에 명시 요구

▲ 경남매일 = 통영 도산면에 복합해양관광단지 추진

▲ 경남신문 = 통영에 '축구장 600개 규모' 해양관광단지 만든다

▲ 경남일보 = 통영에 대규모 해양관광단지 짓는다

▲ 경북매일 = 대구시 'TK통합추진단' 본격 가동한다

▲ 경북신문 = 안동대·경북도립대, '국립경국대' 로 통합 출범

▲ 경북일보 = 野 '입법 독주' 與 '보이콧' 22대 국회 '최악의 첫단추'

▲ 경상일보 = 울산 수소차 생산∼안전인증 원스톱 서비스 구축

▲ 국제신문 = 에어부산 분리매각 선 그은 산은 회장 "대한항공 소관"

▲ 대경일보 = 대구시 TK통합추진단 다음 주부터 본격 가동

▲ 대구신문 = 가덕도 공사 유찰…TK신공항 '법적 보강' 급선무

▲ 대구일보 = 시장 직속 '대구경북행정통합 추진단'가동

▲ 매일신문 = '巨野의 폭주' 상임위원장 18개 싹쓸이할 듯

▲ 부산일보 = 특혜 의혹 솔솔… 이기대 아파트 '수상한 용적률'

▲ 영남일보 = 환경부 "맑은물 하이웨이 日 취수량 46만t 적절"

▲ 울산매일 = '건축물 미술작품' 설치하면 끝? 사후관리 부실 도심흉물 전락

▲ 울산신문 = 온산국가산단 일대 주차대란 숨통 트인다

▲ 울산제일일보 = '샤힌프로젝트' 주차대란 해결 국면

▲ 창원일보 = 고령화도 지역 불균형 군 단위 지역 높아

▲ 광남일보 = 제10회 DK·광남일보배 전국아마추어골프대축전 시상식 성료

▲ 광주매일 = 광주시장·전남지사·무안군수 7월 '3자 회동'…공항 문제 논의

▲ 광주일보 = 광주·전남 폭염 기습…'더위와의 전쟁' 시작됐다

▲ 남도일보 = 광주 민·군공항 무안 이전 '물꼬' …내달 '3자 회동'

▲ 전남매일 = 꽉 막힌 광주 민간·군공항 이전 '대화 재개' 새국면

▲ 전라일보 = 새만금 하이퍼튜브 재추진 기대감 솔솔

▲ 전북도민일보 = 韓牛가 韓憂로… 1마리당 순손실 142만원

▲ 전북일보 = 전북 상임위 구성 완료 국가예산 정상화 '시동'

▲ 금강일보 = 소중히 '타슈'

▲ 대전일보 = 개발 vs 개악… 두 갈래로 찢어진 금강 세종보

▲ 동양일보 = 황희찬 '다 비켜'

▲ 중도일보 = 아지랑이 핀 도로

▲ 중부매일 = "충청권 하계U대회 성공" 4개 시·도 문화재단 협약

▲ 충남일보 = 학교·기관 속속 유치… '충남혁신도시 완성' 가까워진다

▲ 충청신문 = '김' 가격 폭등… 충남도, 김 생산지 4개 시군 확대 추진

▲ 충청일보 = 충북도, 투자유치 목표액 100조로 상향

▲ 충청투데이 = 국내 사업체 50% 301만개 수도권 위치… 지방이전 유도 절실

▲ 뉴제주일보 = 빠져나갈 구멍 막혔다 큰비 오면 물바다 될라

▲ 제민일보 = 여유로운 시간보내는 말 가족들

▲ 제주매일 = '뜨거워지는 제주바다' 기후위기로 아열대화 '심각'

▲ 제주일보 = 국토부·기재부 7개월째 줄다리기

▲ 한라일보 = 제주, 마을기업 육성 의지 '의문'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제천은 한방과 약초의 고장" 국제한방천연물산업엑스포 D-30
2025제천국제한방천연물산업엑스포 개막이 한 달 앞으로 다가왔다. 내달 20일 충북 제천의 한방엑스포공원에서 개막하는 한방천연물산업엑스포는 '천연물과 함께하는 세계, 더 나은 미래를 만나다'를 주제로 10월 19일까지 한 달간 펼쳐진다. 산업과 학술, 문화가 어우러진 국내 유일의 천연물 통합형 행사로, 전 세계 천연물산업을 들여다볼 수 있다. 조선시대 3대 약령시장 중 하나인 제천은 월악산 등 천혜의 산간 지형 덕에 다양한 약용식물이 자생하며, 이런 지리적 장점 속에 오랜 세월 약초 유통 및 생산의 중심지 역할을 해 왔다. 2010년 '한방바이오', 2017년 '한방바이오산업'에 이어 3번째로 한방 관련 정부 승인 국제행사를 개최하는 배경이다. 이번에는 한방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천연물 영역까지 주제를 확대했다. 천연물은 자연에서 얻어지는 식물과 동물, 미생물 및 이들의 대사산물을 뜻하며, 한약재와 생약, 한약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일상의 의약품이나 건강식품, 화장품, 한방제품 등에 쓰여 미래 고부가가치 산업분야로 여겨진다. 이번 엑스포의 얼굴 격인 '주제전시관'에선 한방과 천연물산업의 과거와 현재, 미래를 조망한다. 특히 인공지능(AI)이 바꾸는 천연물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약물 투여 없이 세포 대사 경로 조절해 난치성 뇌종양 치료
국내 연구진이 세포의 대사경로를 조절하는 것만으로도 난치성 뇌종양을 치료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다. 한국연구재단은 고려대 김형기 교수와 가천대 박종휘 교수 연구팀이 외부 약물 투여 없이 교모세포종의 뇌종양줄기세포 내부 대사 경로를 조절하는 방법으로 분화와 사멸을 유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했다고 21일 밝혔다. 교모세포종은 가장 공격적이고 예후가 나쁜 대표적 악성 뇌종양이다. 특히 미분화 상태의 뇌종양줄기세포는 종양의 확산과 재발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기존 외부에서 줄기세포 분화 유도 물질을 투여하는 방식은 정상세포에도 영향을 미쳐 부작용이 크고, 고형암에서는 효과가 제한적이었다. 연구팀은 뇌종양 줄기세포에서 특이적으로 발현되는 'DHRS13 단백질'에 주목했다. 세포 내 미토콘드리아에 주로 존재하는 DHRS13 단백질이 레틴산(retinoic acid)의 축적을 억제해 뇌종양 줄기세포가 미분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DHRS13을 억제하면 세포 내 레틴산이 쌓이면서 사흘 안에 분화가 일어나고, 이후 미토콘드리아 활성산소종이 급격히 증가하면서 구조 손상과 미토파지(미토콘드리아 자가포식)로 이어지면서 세포 사멸이 일어나는 것으로 나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