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바이러스 빠르게 대량 증식하는 원리 밝혀"

화학연, 갑상샘암 치료제 '반데타닙'의 코로나19 치료 효과 확인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인체 내에서 빠르게 대량 증식하는 원리를 국내 연구진이 밝혀냈다.

 한국화학연구원은 김성준 박사 연구팀은 코로나19 바이러스가 빠른 증식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에너지를 만들어내는 세포 소기관인 '미토콘드리아'와 '상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EGFR)'의 기능 변형을 지목했다.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한 감염병은 2003년 사스(SARS), 2015년 메르스(MERS), 2019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병(코로나19) 등으로 지속해 발생하고 있다.

 연구팀은 통상적으로 바이러스가 숙주 세포에 진입하면 미토콘드리아 막전위(세포막의 전위차)가 감소하게 되는데, 코로나19의 경우 오히려 막전위가 상승했음에 주목했다.

 미토콘드리아는 막전위가 높을수록 ATP(세포 에너지) 생성이 활발해지게 된다.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우리 몸 속 세포에 침입한 뒤 세포 속 미토콘드리아의 구조와 기능을 바꿔 바이러스 복제에 필요한 에너지를 비정상적으로 많이 만들어낸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또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세포 바깥의 성장·분화 신호를 세포 안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EGFR 단백질의 변형을 유도, 바이러스 대량 증식 유지에 활용한다는 것을 밝혀냈다.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EGFR 신호 전달 체계가 활성화되면서 일부 변형된 EGFR의 위치가 미토콘드리아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코로나19 감염 시 바이러스 대량 복제가 일어나면서 주변에 전파될 확률이 높아진다.

EGFR 표적 치료제를 활용하면 코로나19 치료에도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연구팀이 미국 식품의약청(FDA)의 승인을 받은 EGFR 성장 신호 활성을 제어하는 12가지 약물을 활용해 실험한 결과 갑상샘암 치료제 '반데타닙'에서 뛰어난 코로나19 항바이러스 효능이 확인됐다.

 코로나19에 감염된 실험 쥐에 반데타닙을 매일 25㎎/㎏을 투여한 결과 사흘 뒤 폐 세포에 남아있는 바이러스 RNA(리보핵산)가 10분의 1 수준으로 감소했다.

 6일 뒤 폐 세포의 염증 상태를 관찰한 결과 코로나19 바이러스에 의한 폐 병변이 현저히 줄어든 모습이 확인됐다.

 알파·델타·오미크론 등 다양한 코로나19 변종 바이러스에 대한 감염 실험에서도 우수한 항바이러스 효능을 보였다.

 김성준 책임연구원은 "기존 승인된 치료제의 용도 변경을 통해 바이러스 감염병 억제 약물 재창출 가능성을 제시했다"며 "미래 감염병 대응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권위 있는 국제 학술지 '신호 전달 및 표적 치료'(Signal Transduction & Targeted Therapy) 지난달 호에 실렸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효소는 유전자가 설계한 기계처럼 작동한다"
우리 몸의 생화학 반응을 조율하는 효소가 실제로는 유전자가 설계한 나노 기계처럼 작동한다는 사실을 국내외 공동 연구진이 입증했다. 4일 울산과학기술원(UNIST)에 따르면 이 대학 물리학과 츠비 틀루스티 특훈교수팀은 이스라엘 와이즈만 연구소의 일라이셔 모지스 박사팀과 함께 효소 내부의 점탄성이 효소의 생물학적 기능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실험적으로 밝혀냈다. 효소는 음식물 소화, 에너지 생성, DNA 복사, 노폐물 처리 등 화학 과정을 활성화하는 생체 단백질이다. 효소는 작동할 때 구조가 열리고 닫히는 움직임을 반복하는데, 이때 단백질 전체가 단단하지도 흐물흐물하지도 않고 마치 스프링처럼 탄력 있게 움직이며 충격을 흡수하는 성질인 점탄성을 보인다. 효소는 점탄성을 통해 구조적 유연성과 안정성을 유지한다. 연구팀은 효소의 기계적 특성이라고 할 수 있는 점탄성이 망가지면 화학적 기능인 활성도 크게 떨어지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첨단 측정 기술을 통해 효소에서 기계의 완충 장치인 '쇼크 옵서버'와 같은 역할을 하는 '고변형 영역'을 찾아내 이 영역의 아미노산 1개를 바꿔 돌연변이를 만드는 실험으로 이 같은 사실을 밝혀냈다. 고변형 영역은 효소 안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