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용 마약류 처방 5월까지만 1천80만 명…연 2천만 넘을 듯

식약처, 월별 의료용 마약류 현황 온라인 공개

 의료용 마약류 처방환자가 올해 처음으로 2천만명을 넘을 것으로 전망된다.

 식품의약품안전처가 23일 공개한 '의료용 마약류 취급현황과 사회재활 월간동향'에 따르면 올해 들어 5월까지 5개월간 의료용 마약류 처방환자가 이미 1천81만9천명으로 1천만 명을 넘어섰다.

 그동안 의료용 마약류 처방환자는 2020년 1천747만5천 명에서 2021년 1천884만4천 명, 2022년 1천946만 명, 2023년 1천990만6천 명으로 해마다 증가했지만, 아직 연간 2천만 명을 넘은 적은 없었다.

 식약처는 마약류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고 안전한 사용과 오남용 방지를 위해 그동안 연간 통계로 발표해 온 의료용 마약류 취급 현황을 마약류 예방교육·사회재활 실적 통계와 함께 월간동향 형태로 이달부터 매월 온라인 공개하기로 했다.

 의료용 마약류 지정·허가·공급현황, 의료용 마약류 처방 현황, 약물별 의료용 마약류 처방현황, 마약류 예방교육 및 사회재활 추진 현황 등을 담은 월간동향은 매월 말 마약류통합관리시스템 홈페이지(www.nims.or.kr)에서 찾아볼 수 있다.

 식약처는 또 의료용 마약류 공급·사용의 증감 요인에 대해 세밀한 분석을 하고 의료현장의 오남용 방지와 사회재활 강화를 위해 필요한 통계 정보를 지속해 발굴·제공할 계획이다.

 채규한 마약안전기획관은 "의료용 마약류 사용과 사회재활 서비스 제공 현황에 대한 최신 정보를 의료전문가와 국민들에게 정기적으로 공개함으로써 사회적 투명성을 높이고 오남용 방지를 위한 합리적 규제 환경 조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의협 "임신중 타이레놀 자폐증 유발 근거無…불안 야기 말아야"
대한의사협회(의협)는 최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타이레놀의 주성분인 아세트아미노펜은 자폐아 출산 위험을 높인다"고 발언한 것과 관련해 "현재까지 과학적으로 확립된 근거는 없다"고 밝혔다. 의협은 25일 서울 용산구 의협 회관에서 정례 브리핑을 열고 이같이 말하며 "국제적으로도 임신 중 아세트아미노펜을 필요시 단기간, 최소 용량으로 사용하는 것은 안전하다는 점이 확인되고 있다"며 "불확실한 주장에 불안해하지 마시고 주치의와 상의해 약을 복용해 달라"고 당부했다. 그러면서 "일부 전문가들이 불확실성을 강조하며 국민 불안을 야기하는 행동에 대해서 강력히 경고한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2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타이레놀의 주성분인 아세트아미노펜이 자폐아 출산 위험을 높인다면서 고열·통증을 타이레놀 없이 참고 견디되, "참을 수 없고 견딜 수 없다면 어쩔 수 없이 복용해야 하겠지만, 조금만 복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부프로펜·아스피린과 달리 아세트아미노펜은 임신부가 해열·진통을 위해 안심하고 복용할 수 있는 거의 유일한 약물로 여겨져 왔다는 점에서 보건·의료계는 물론 정치권에서도 "근거가 뭐냐"는 반발이 일고 있다. 한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