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암병원 톱10에 한국병원 3곳 …삼성·서울아산·서울대병원

미국 뉴스위크 선정…서울아산 5위·서울대병원 8위·세브란스 23위
서울아산, 내분비·소화기·신경·비뇨기 등 5개 분야서 10위 안에 들어
서울대병원 10개분야·세브란스병원 9개분야서 100위권

 한국 의료기관 3곳이 미국 시사주간지 뉴스위크가 선정한 세계 암병원 평가에서 10위권에 포함됐다.

 18일 뉴스위크 발표에 따르면 뉴스위크의 '월드베스트 전문병원'(World's Best Specialized Hospitals)의 암(종양학·oncology) 분야 평가에서 삼성서울병원과 서울아산병원, 서울대병원이 각각 3위와 5위, 8위를 차지했다.

 국내 의료기관 중 암 분야 100위권에 포함된 곳은 세브란스병원(23위), 은평성모병원(37위), 국립암센터(40위), 분당서울대병원(57위)까지 7곳이었다. … ·

 1위와 2위는 MD 앤더슨 암센터, 메모리얼 슬로언케터링 암센터 등 미국 의료기관이었고, 프랑스 구스타브 루시 암센터는 4위였다.

 삼성서울병원은 소화기(6위), 비뇨기(9위), 내분비(14위), 신경(16위), 호흡기내과(23위), 정형외과(39위), 심장(64위) 분야에서도 100위권 내에 이름을 올렸다.

 이 병원은 이번 평가와 함께 발표된 '세계 최고 스마트병원' 평가에서 작년보다 7계단 상승한 18위에 올라 4년 연속 국내 병원 중 가장 스마트한 병원으로 뽑혔다.

 서울아산병원은 암 분야 외에도 내분비(3위), 소화기(4위), 비뇨기(5위), 신경(8위) 등 5개 분야에서 10위 안에 포함됐다. 정형외과(12위), 심장(24위), 호흡기내과(25위), 심장수술(42위), 소아(55위), 산부인과(94위) 등 11개 분야에서 100위 안에 들었다.

삼성서울병원, 뉴스위크 암병원 평가 3위…톱10에 한국병원 3곳 - 2

 서울아산병원은 "세계 5위 권에 4개 분야를 진입시킨 병원은 국내에서 서울아산병원이 유일하며 전 세계적으로도 5곳 안에 들 만큼 드물다"며 "내분비, 소화기, 신경, 심장, 심장수술 등 5개 분야에서 국내 1위를 차지했으며, 특히 내분비 분야에서는 3년 연속 세계 3위에 오르며 세계 최정상급 의료기관들과 어깨를 나란히 했다"고 강조했다.

 뉴스위크는 독일 글로벌 마케팅 전문 조사업체인 스타티스타와 함께 12개 임상 분야에 대해 수만명 의료진에 의한 추천, 인증 데이터, 환자 치료 결과 등을 반영해 평가를 진행했다.

 이번 평가에서 서울대병원은 암 분야에서 8위를 차지한 것을 비롯해 비뇨기(4위), 내분비(5위), 소아(10위), 신경(25위), 호흡기내과(28위), 정형외과(29위), 소화기(38위), 심장(56위), 산부인과(92위) 등 10개 분야에서 100위 안에 랭크됐다.

 세브란스병원은 정형외과(10위), 내분비(12위), 신경외과(15위), 비뇨기(20위), 암(23위), 소화기(29위), 호흡기내과(35위), 신경(48위), 산부인과(68위) 등 9개 분야에서 100위 안에 들었다.

 서울성모병원은 내분비(10위), 소화기(15위), 비뇨기(18위), 신경(37위), 소아(85위)에서, 고대안암병원은 소화기(33위), 비뇨기(36위), 소아(83위), 심장(89위)에서 100위권에 포함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전공의들, 환자단체 찾아 "의정갈등으로 불편 겪은 국민께 사과"
전공의들이 28일 환자단체를 찾아 장기간 이어진 의정 갈등으로 불편과 불안을 겪은 국민에게 사과했다. 한성존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서울 영등포구 한국환자단체연합회 사무실에서 환자단체 대표들과 만나 "1년 5개월 이상 길어진 의정갈등으로 인해 불편을 겪고 불안하셨을 국민 여러분께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며 "이 사태가 장기화한 데 대해 의료계 또한 책임에서 자유롭지 않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한 위원장은 "아울러 의료계를 대표하고 이끄는 위치에 있었던 일부 의사들의 부적절한 언행으로 국민 여러분께 심려를 끼쳐드린 점도 대한민국의 일원인 젊은 의사로서 깊이 사과드린다"며 "저희는 앞으로 전문성을 바탕으로 사회적인 책무를 다하고 보다 나은 의료 환경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의정갈등 당시 일부 의료계 인사가 "정부는 의사를 이길 수 없다"고 하거나, 메디스태프와 같은 익명의 의사 커뮤니티에서 "환자 죽어도 감흥 없다" "죽을 뻔한 경험 쌓여야 의사 존경한다"는 등 선 넘는 발언이 나온 상황을 지칭한 것으로 보인다. 그는 또 "긴 세월 국민과 의료계 모두 상처받고 힘든 시간을 보냈다"며 "이런 일이 다시 생기지 말아야 한다는 점

학회.학술.건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