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20일 조간)

▲ 경향신문 = '사드 배치 지연' 수사 의뢰한 감사원, 감사권 남용 아닌가

채 상병 수사 용산·경찰 겨눈 공수처, 성역 없이 외압 밝히라

법원장 추천제 폐지한 대법, '법관 관료화' 대안도 내놔야

브로커 활개로 멍드는 실손보험… 방치하면 서민만 손해

▲ 동아일보 = N수생-사교육비만 늘려 놓고 "개혁 뿌리내렸다"는 교육부

與, 남의 허물만 들추지 말고 제 허물부터 제대로 털어내야

尹 "미-중 양자택일 아냐"… '초불확실' 대응 위해선 변화 불가피

▲ 서울신문 = 눈귀 번쩍 뜨일 개각 아니고서는 '쇄신' 의미 없을 것

헌법 재판관, 방통위원, 특별감찰관… 여야 서둘러 추천을

하청업체 기술 탈취, 중소기업 등치는 '갑질' 발 못 붙이게

▲ 세계일보 = 中 눈치 보며 사드 배치 지연 文 정부, 엄정 수사 책임 물어야

"대북전단 방치" 이유로 국방부 장관 탄핵하려는 巨野 횡포

법원장 추천제 폐지, '김명수 대법원' 비정상의 정상화다

▲ 아시아투데이 = 25일 李재판, 엄정한 판결로 무너진 신뢰 회복하길

2급 군사기밀을 중국과 시민단체에 유출하다니…

▲ 조선일보 = 사드 기밀 中·시민단체에 넘긴 文 정부 안보 자해

국방 장관 탄핵 검토라니, 정쟁으로 안보 공백 만들려 하나

집값 급등 촉발시킨 국토부의 "부동산 안정" 자화자찬

▲ 중앙일보 = 윤 대통령 "미·중은 선택의 문제 아냐" … 실용외교 살려가길

재판 지연 초래한 '법원장 후보 추천제' 폐지가 맞다

▲ 한겨레 = 임기 후반까지 오로지 전 정권 표적감사, 탄핵감이다

이젠 야당 대표 법카 유용 혐의 기소, 이런 검찰 있었나

우크라 미-러 갈등 격화, 정부 냉정함 잃지 말아야

▲ 한국일보 = 문 정부, 사드 교체정보를 시민단체·중국에 유출했다니

거세지는 친명계 극단 언행, 여론 반감만 산다

불법추심 싱글맘 사망 뒤에 또 드러난 경찰 태만

▲ 글로벌이코노믹 = 한국 증시 '나 홀로 부진' 탈출 조건

우크라이나에 미사일 봉인 해제한 미국

▲ 대한경제 = 건설경기 어려울수록 필요한 게 '상생'이다

끊이지 않는 금융사고, 우리금융 경영진 확 바꾸는 계기로

▲ 디지털타임스 = 대표 개인재판에 당비 쓰겠다는 巨野, 당이 '이재명 로펌'인가

개탄스런 '文정부 사드 기밀 中유출' 의혹… 국가적 치욕이다

▲ 매일경제 = "필수의료 수가 개선" 1년째 말뿐…무슨 의료개혁한다는 건지

세계 짓누른 우크라 전쟁 1000일…포성 이제 멈춰야

대북전단 안 막는다고 국방장관 탄핵하겠다니

▲ 브릿지경제 = 상·하위 집값 40배 격차…자산 양극화 과도한 것 아닌가

▲ 서울경제 = 가계빚 역대 최대, 쓰나미 밀려오기 전에 촘촘히 부채 관리해야

쌓이는 사법 리스크, 사법부·비명계 겁박은 해법이 아니다

국민 76% "상속세율 높아" … 글로벌 스탠더드 맞게 수술할 때다

▲ 이데일리 = 또 도진 巨野의 탄핵 중독, 국가 안보까지 흔들 건가

폐지되는 '인기투표' 법원장 인사… 만시지탄이다

▲ 이투데이 = 美 0.9% 예산으로 우주 강국 도약 가능한가

▲ 전자신문 = AI 국가전략기술 지정 서둘러야

▲ 파이낸셜뉴스 = 25년째 손못댄 상속세 개편, 더는 미루지 말아야

미·중 외교노선 철칙은 첫째도 둘째도 국익이다

▲ 한국경제 = 알짜 바이오 사업 내놓은 CJ … 선제적 사업재편 바람직하다

대북전단 방치했다며 국방장관 탄핵? … 김여정만 좋아할 일

自强 없인 평화도 없음을 보여준 우크라이나 전쟁 1000일

▲ 경북신문 = 페루에서 대어 낚은 주낙영 경주시장

▲ 경북일보 = TK통합, 경북 22개 시·군 공동 대안 만들어라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제약·바이오, 日 진출 박차…셀트리온 '옴리클로' 등 출시 전망
주요 제약·바이오 기업이 일본 시장 진출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고령화 등에 따른 의약품 수요 증가로 일본 시장이 제약·바이오 '블루오션'으로 굳어졌다는 분석이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셀트리온은 최근 일본 후생노동성 산하 의약품의료기기종합기구(PMDA)에 만성 특발성 두드러기 치료제 '졸레어' 바이오시밀러 '옴리클로' 품목허가를 신청했다. 미국 제넨테크와 노바티스가 개발한 항체 바이오 의약품 졸레어는 작년 기준 글로벌 매출 약 6조원을 기록했다. 앞서 옴리클로는 작년 졸레어 바이오시밀러로는 처음으로 유럽에서 허가받은 뒤 영국, 캐나다, 미국 등에서도 품목허가됐다. SK바이오팜은 올해 안에 일본 파트너사 오노약품공업을 통해 뇌전증 신약 '세노바메이트' 품목허가를 신청할 예정이다. 통상 품목허가 신청 후 1년 내 규제당국으로부터 승인을 받는다는 점을 고려하면 내년에는 미국에 이어 일본에도 세노바메이트가 출시될 전망이다. GC지놈의 경우 다중 암 조기진단 검사 '아이캔서치'를 일본 시장에 공급하고 있다. 이 회사는 일본 파트너사 추가 확보를 위해 최종 조건을 협의하며 일본 내 보험 등재를 위한 임상도 준비하고 있다. 일본 현지 기업과의 협력도 활발하다. 삼성바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