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장질환 사망률, 부산이 서울보다 50% 높은 이유는

작년 인구 10만명당 심장질환 사망률 서울 23.5명 vs 부산 35.5명
"일반인 심폐소생술 시행률 2배 차…만성질환·생활습관도 차이"

  심장질환은 암에 이어 우리나라 사망 원인 2위다.

 통계청의 사망원인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인구 10만 명당 26.1명(연령표준화 사망률)이 심근경색증, 협심증, 심부전 등 심장질환으로 숨졌다.

심장질환 사망률은 지역별로 격차가 꽤 크다.

 지난해 17개 시도 중 인구 대비 심장질환 사망률이 가장 높은 곳은 울산(10만 명당 36.1명)으로, 가장 낮은 대전(18.9명)보다 2배 가까이 높았다.

 서울(23.5명)과 부산(35.5명)만 비교해봐도, 부산이 서울보다 50% 이상 사망률이 높다.

 왜 이런 차이가 나는 것일까.

 오창모 경희대 예방의학교실 교수는 지난 19일 질병관리청이 개최한 '건강한 사회 포럼'에서 '지역 간 건강수준 격차 추이 및 활용도 제고 방안'에 대해 발표하면서 부산과 서울의 심장질환 사망률 격차를 분석했다.

 오 교수는 우선 심장질환 발생 이후 대응 과정에서의 차이를 살펴봤는데, 심근경색증 조기증상 인지율은 서울은 48.4%, 부산이 56.3%(질병청 지역사회건강조사)로, 오히려 부산이 높았다.

 심근경색 발생 2시간 이내에 응급실에 도착한 환자의 비율은 서울 35.4%, 부산 36.8%로 역시 미세하게 부산이 앞섰다.

 유일하게 두드러진 차이는 심정지 환자에 대한 일반인 심폐소생술 시행률로, 서울(44.9%)이 부산(20%)보다 2배 이상 월등히 높았다.

 급성심장정지 환자에게 일반인이 심폐소생술을 시행한 경우 생존율이 1.7배 높아진다는 통계도 있는 만큼, 두 지역의 심폐소생술 시행률 차이가 사망률 차이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분석된다.

 그보다 더 근본적으로는 심장질환 발생률 자체에서부터 차이가 있었다.

 오 교수에 따르면 2013∼2021년 질병청 심뇌혈관 발생 통계에서 줄곧 부산이 서울보다 심근경색 발생률이 높았다.

 2021년 기준 부산은 10만 명당 40.1명, 서울은 34.7명이었다.

 심근경색을 유발할 수 있는 당뇨병 유병률(30세 이상)과 비만율도 지난해 부산이 각각 8.7%, 32.1%로, 서울의 8.5%, 28.8%보다 높았다.

 현재 흡연율(부산 18.8%, 서울 17.9%)과 고위험 음주율(부산 12.6%, 서울 11.2%)도 부산이 더 높은 반면 중강도 이상 신체활동 실천율(부산 24.4%, 서울 26.2%), 걷기 실천율(부산 64.3%, 서울 53.2%)은 서울이 앞섰다.

 결국 두 지역 시민 생활습관 등의 차이가 심장질환 발생에 유의미한 차이를 가져온 데다 일반인 심폐소생률 실시율의 차이가 사망률 격차를 더 벌렸을 것이라는 추론이 가능하다.

 오 교수는 이 같은 격차 해소를 위해 "부산에서 실습을 동반한 심폐소생술 교육과 홍보가 더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며 "심장질환 선행질환인 당뇨병, 비만 등 유병률을 낮추고 금연, 금주, 걷기 실천을 유도하기 위한 정책도 강조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오 교수는 진료가 필요함에도 받지 못한 인구의 비율인 미충족 의료율이 부산에서 더 높게 나타난 점도 언급하며 "심장질환 환자들의 병의원 접근성 저하와 관련이 있는지에 대해 추가적인 분석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의사 엄융의의 'K-건강법'…미네랄과 금식의 역설
◇ 알려지지 않은 무기질의 위험성 건강한 식생활에 꼭 필요한 요소로 비타민과 미네랄을 꼽는다. 그런데 독자 여러분은 미네랄 중에서도 먹어서는 안 되는 해로운 미네랄이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는가? 우선 미네랄이 무엇인지에 대해 이야기하겠다. 미네랄이라고 하면 대개 미네랄워터를 떠올릴 것이다. 미네랄워터는 칼슘, 마그네슘, 칼륨 등의 광물질이 미량 함유된 물을 뜻한다. 그렇다면 미네랄이란 칼슘, 마그네슘, 칼륨 등의 광물질을 뜻한다. 그렇다. 미네랄은 광물, 광석, 무기물이란 뜻으로 무기질이라고도 한다. 무기물에 대해서는 과학 시간에 배웠을 것이다. 돌이나 흙을 구성하는 광물에서 얻을 수 있는 물질로, 탄소를 포함하지 않는 양분을 바로 무기물이라고 한다. 미네랄이라고 했을 때는 단순히 몸에 좋은 어떤 물질 같았는데, 그 정의를 파고들다 보니 함부로 먹어서는 안 될 것 같지 않은가? 실제로 그렇다. 우리가 흔히 섭취하는 미네랄 중에는 인체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적지 않다. 대표적인 예가 알루미늄이다. 음료수 캔이나 포일을 만들 때 쓰이는 은백색의 가볍고 무른 금속이다. 알루미늄 섭취에 유의해야 한다고 말하면 대부분의 사람이 알루미늄을 왜 먹느냐고 생각할 텐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