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체류 외국인 한센병 무료검진 12→15회로 확대

26일 세계 한센병의 날…작년 국내 신환자 5명 모두 외국인

 국내 체류 외국인 한센병 환자의 조기 발견과 치료를 위해 방역 당국이 올해 무료 검진을 늘리기로 했다.

 질병관리청은 지난 26일 세계보건기구(WHO)가 지정한 '세계 한센병의 날'을 맞아 국내외 한센병 발생 현황과 퇴치·예방 정책 등을  발표했다.

 한센병은 '나균' 감염에 의해 걸리는 만성 감염병으로, 다중약물치료로 완치가 가능하다.

 WHO는 한센병에 대한 사회적 편견을 없애고 병을 예방하기 위해 매년 1월 마지막 일요일을 기념일로 정했다.

 지난해엔 모두 5명이 나왔는데 모두 해외에서 감염된 외국인이다.

 이에 질병청은 외국인 한센병 신환자 발견을 위한 한센병 무료 검진 횟수를 작년 12회에서 올해 15회로 늘리고, 접근성 향상을 위해 결핵, 에이즈 등 타 감염병과의 통합 검진도 추진할 계획이다.

 정부는 한센병 환자의 치료와 재발 방지를 위해 가톨릭한센병연구소 및 한국한센복지협회와 이동·외래·입원 진료사업을 진행 중이다.

 아울러 치료 종료 후 재활과 재발 관리가 필요한 이들을 위해선 생활환경 개선과 생계비 지원사업도 수행하고 있다.

 국내 한센병 사업 대상자는 작년 기준 총 7천135명으로, 평균 연령은 80.9세다.

 지영미 질병청장은 "국내 한센병 환자 대부분이 오랜 기간 사회적 편견과 차별로 인해 기본 인권을 보호받지 못한 사회적 약자"라며 "이분들의 생활 안정을 위해 더욱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 다.

 지 청장은 "국내 한센병은 안정적으로 관리되고 있지만 아직 근절되지 않았고, 해외 유입을 통한 발생이 가능하기 때문에 적극적인 검사와 감시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척수손상 장애인 앉은키 8~9㎝ 작아…"휠체어 등 제품 설계 배려 필요"
척추 손상으로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의 앉은키가 비장애인보다 8∼9㎝가량 작고, 상체 둘레는 더 크지만 하체 둘레는 더 작은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데이터를 장애인을 위한 제품, 공간, 서비스 설계에 활용하고 각종 시설에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을 확대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제언이 나온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국표원)은 장애인의 날을 앞두고 지난 17일 서울 광진구 장애인복지관에서 '사이즈코리아 성과 발표회'를 열고 이 같은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국표원은 지난해 국내의 만 20∼60세 이상 성인 가운데 휠체어를 사용하는 척수 손상 장애인 338명(남자 246명·여자 92명)을 대상으로 인체치수를 조사했다. 29개 항목에 대한 직접측정과 45개 문항에 대한 심층 설문조사를 통해 앉은키, 앉은 눈높이, 앉은 배꼽 수준 허리둘레, 앉은 장딴지 둘레, 몸무게 등에 대한 조사가 이뤄졌다. 조사 결과 척수 손상 장애인의 앉은키는 남성의 경우 비장애인보다 8.4㎝, 여성의 경우 9.4㎝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앉은 눈높이도 남성과 여성이 각각 7.4㎝, 9.2㎝씩 낮았다. 상체 둘레 항목인 앉은 배꼽 수준 허리둘레는 남녀가 비장애인보다 각각 10

메디칼산업

더보기